DX로 넘어선 거대 자본과 대규모 인력의 한계…콘텐츠 산업 개인화는 어디까지 꿈꿀 수 있나 오픈소스로 제작된 《플로우》, 《인사이드 아웃2》《와일드 로봇》《모아나2》 등 픽사·드림웍스·디즈니 대형 스튜디오 제치고 제82회 골든글로브 및 제97회 아카데미 수상 외 글로벌 영화제 다수 수상 소수 제작자가 아카데미에 오른 이유 지난 3월에 열렸던 9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사람들의 눈길을 끈 애니메이션이 있다. 제작비 350만 달러, 주요 제작진 7명을 포함해 스태프까지 몇십 명 남짓한 총 제작 인원, 영화 속 가장 유명한 대사는 “야옹”.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디즈니나 픽사가 영화 한 편을 만들기 위해 1~2억 달러가 넘어가는 비용과 수백 명의 제작 인원을 투입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눈에 띌 수밖에 없는 수치다. 라트비아라는 낯선 나라에서 온 긴츠 질발로디스 감독이 제작한 영화 《플로우》가 소규모 제작의 한계를 뛰어넘고 올해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거머쥐었다. 경쟁 후보군으로는 픽사, 드림웍스, 디즈니 같은 대형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인사이드 아웃2》, 《와일드 로봇》, 《모아나2》 등이 있었다. 영화는 인간이 살았던 흔적만이 남아있는 세상에서 홀로 집을
[헬로티] ▲이번에 아카데미 과학기술상을 수상한 인텔 엠브리 레이트레이싱 기술을 사용한 영화 ‘범블비’ 스틸컷. (출처 : 네이버 영화) 인텔은 인텔 엠브리(Intel Embree)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라이브러리가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서 수여하는 아카데미 과학기술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아카데미는 인텔 엠브리가 제공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기하학적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술이 영화 제작 과정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레이트레이싱 방식은 빛의 물리학과 3D 사물 및 그 표면 재질을 결합해 수학적으로 정확한 반사, 굴절, 그림자 등을 포함한 실제와 같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렌더링 개발자와 그래픽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및 콘텐츠 크리에이이터들은 인텔 엠브리를 사용해 고화질, 하이파이(Hi-Fi: High-Fidelity) 시각적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다. 크리에이터들은 인텔 엠브리를 활용해 머리, 털, 거울과 모든 물체의 반사 및 그림자와 같은 초현실적인 조명 효과를 통해 극사실적인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또 차량, 프로펠러, 조류와 같은 이동 물체에 대한 복잡한 모션블러와 광선 지향(ray-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