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5G 애플리케이션 위한 핵심 기술 역량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돼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이하 키사이트)가 미디어텍과 협력해 실험실 환경에서 12Gbps에 가까운 5G 데이터 처리 속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키사이트의 네트워크 에뮬레이션 솔루션과 미디어텍의 최신 NR-DC(신형 무선 이중 연결) 장치를 활용해 이뤄진 것으로, 차세대 고성능 5G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핵심 기술 역량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5G 환경에서 이처럼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실현하는 것은 단순한 속도 경쟁을 넘어 몰입형 게임, 초고해상도 스트리밍, 저지연 클라우드 컴퓨팅 등 고대역폭 및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첨단 서비스를 가능하게 만드는 핵심 기반 기술이다. 특히 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과 같은 차세대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고속, 저지연, 고신뢰 통신 환경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이번 테스트의 핵심은 실제 5G 네트워크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키사이트의 네트워크 에뮬레이션 솔루션에 있었다. 이 솔루션은 복잡한 통신 시나리오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으며, 미디어텍은 이를 기반으로 NR-DC 장치의 성능을 실험실에서 정밀하게 검
DJI Matrice 4D 및 4TD와 세트로 제공돼...드론 통한 24시간 원격 운영 지원 DJI가 차량에 탑재되는 드론 인 어 박스(Dron in a Box) 솔루션 ‘DJI Dock 3’를 출시했다. DJI Dock 3는 충전·관제 등 드론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용 드론 독(Dock)이다. DJI 차세대 드론 기체 ‘DJI Matrice 4D’와 ‘DJI Matrice 4TD’과 함께 구성됐다. 해당 솔루션을 통해 각종 환경에서 24시간 원격 운영이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공공 안전, 긴급 대응, 인프라 점검 등을 지원한다. DJI Dock 3는 수평 보정 및 클라우드 기반 보정을 지원하며, 한 대의 차량에 두 대의 Dock을 동시에 배치 가능한 효율성을 갖췄다. 아울러 IP56 등급이 적용돼 우수한 방진·방수 성능을 제공한다. 또 예열 시 최고 50°C, 최저 -30°C까지의 온도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며, 충전까지 지원한다. 해당 독에 탑재되는 드론 두 종은 IP55 등급을 기반으로, 최대 전방 비행 시간 54분, 공중 정적 비행을 뜻하는 호버링(Hovering) 시간 최대 47분을 발휘한다. 양 드론은 광각·중간 망원·망원 등 카메라와 레이저 거리
안리쓰는 지난 4월 GCF(Global Certification Forum) CAG(Certification Agreement Group)의 CAG#70 회의에서 업계 최초의 SA 5G NR 듀얼커넥티비티(DC) 프로토콜 테스트 케이스를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NR DC(NR Dual Connectivity)를 사용하면 장치가 두 개의 5G NR 서비스 노드에 동시 연결해 처리량, 커버리지 향상, 지연 시간 및 안정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는 밀리미터파(mmWave)와 sub-6 GHz 주파수에서 NR SA가 동시에 작동하는 첫 번째 테스트로, 5G 장치는 mmWave가 지원하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와 함께 미드밴드 sub-6 GHz 주파수의 넓은 도달 범위를 활용할 수 있다. Conformance 시험은 TS 38.523-1의 3GPP에 의해 정의되며, 이전에 3GPP RAN WG5에서 안리쓰에 의해 검증됐다. 이런 시험은 다가오는 PVG#97 회의에서 승인을 받기 위해 PTCRB(PCS Type Certification Review Board) PVG(PTCRB Validation Group)에도 제출됐다. ME7834NR Protocol Conform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이하 키사이트)가 하나의 장비에서 최대 5GHz의 무선 주파수(RF) 대역폭과 낮은 위상 노이즈를 제공하는 최대 54GHz 주파수의 새로운 4채널 벡터 신호 발생기를 출시했다. 새롭게 출시된 M9484C VXG 벡터 신호 발생기는 까다로운 무선통신 응용 분야를 지원하는 실시간 기능으로 키사이트 VXG 시리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V3080A 벡터 신호 발생기 주파수 확장기를 탑재한 신제품은 주파수 범위가 최대 110GHz까지 확장돼 최신 표준에 대한 요구사항을 해결한다. 새로운 5G, 6G 연구, 위성 통신 및 레이더 분야는 최대 밀리미터파(mmWave) 스펙트럼을 포함한 광범위한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분야를 테스트하려면 높은 대역폭에서 밀리미터파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장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분야는 공간 다이버시티, 공간 멀티플렉싱 및 빔 포밍과 같은 다중 안테나 기술을 채택해 높은 처리량 및 강력한 통신을 위한 다이버시티, 멀티플렉싱 및 안테나 이득을 달성한다. 키사이트의 새로운 M9484C VXG 신호 발생기는 고객이 테스트 시스템 설정의 복잡성을 줄이고 하나의 장비에서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다중 채널 측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