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B-Y1’,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MIT·UC Berkeley 등 산·학 현장에 납품돼 미국 법인 확장 및 기술 지원 체계 구축, 인공지능(AI) 개발자 및 연구기관과의 협업 강화 등 시장 공략 활동 전개 예고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자사 차세대 이동형 양팔 로봇 ‘RB-Y1’을 앞세워, 미국 시장 내 입지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앞서 사측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조지아 공과대학교(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등 미국 소재 대학에 RB-Y1을 공급한 바 있다. 여기에 글로벌 기업 연구소에서도 해당 업체를 연구 플랫폼으로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23년에는 미국 일리노이주 샴버그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후, 이를 지난해 하반기에 시카고 인근 알링턴 하이츠로 이전하며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여기에는 데모룸, 기술 지원 센터, 교육 센터가 배치됐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개발자, 연구기관, 시스템통합(SI) 업체 등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현지 엔지니어 채용 및 본사
IMTS 2024서 공작기계, 로봇 자동화 솔루션 등 핵심 기술 공개 스맥이 이달 9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리는 공작기계 산업 전시회 ‘IMTS 2024’에 등판해 미국 시장을 공략했다. 스맥은 이번 전시회에서 공작기계, 로봇 자동화 솔루션 등 자동차·반도체·항공·방산 등 산업에서 활약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공작기계는 5축 가공기 ‘MVF 5000’, 공정 집약형 다축 선반 ‘NS 1600T2Y2’ 등 머시닝센터 5종과 CNC 선반 8종을 전시했다. 로봇 자동화 솔루션은 공작기계와 연동하는 융복합 장비, 협동로봇, 공정 자동화 솔루션 등을 통해 참관객을 모객했다. 특히 실리콘(Si), 실리콘카바이드(SiC), 쿼츠(Quartz) 등 반도체 부품 가공 특화 로봇 ‘LAM DR TYPE’을 소개한다. 여기에 자동차 부품 생산 장비 ‘MCV 4500D’를 선보여 산업 관계자의 눈을 사로잡았다. 스맥 관계자는 “그동안 글로벌 전시회에 지속 참가해 수출 비중을 끌어올렸다”며 “연구개발(R&D), 해외 마케팅 등에 투자를 지속하고, 차별화된 기술력을 확보한 결과 기록적인 실적을 기록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이어 “성장에 발맞춰 기업가치 재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