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디펜스는 최근 지능형 다목적무인차량 '아리온스멧'이 미국 국방부가 주관하는 해외비교성능시험(FCT) 대상 장비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FCT는 미 국방부가 동맹국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평가하고 미군이 개발·도입하는 핵심 무기체계에 관련 핵심기술을 확보·적용하고자 시행되는 연구개발 사업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군용 무인차량이 미국에서 진행되는 성능시험에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화디펜스는 현재 미군 주둔지에서의 아리온스멧 성능 시연 방법과 일정 등을 미 군당국과 협의하고 있으며, 이르면 올해 연말부터 성능 테스트가 이뤄질 전망이다. 아리온스멧은 한화디펜스가 2016∼2019년 민군 기술적용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처음 개발한 보병전투지원 다목적무인차량의 최신 성능개량 모델이다. 특히 보병용, 유무인 복합운용 체계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병사 대신 물자·탄약 수송, 부상병 후송, 수색·정찰, 근접전투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서영우 한화디펜스 국방로봇사업부장(전무)은 "K9 자주포 등 한화디펜스의 기동·화력 체계의 글로벌 수출 성과에 이은 낭보"라며 "미국은 물론 세계 방산시장에서 한화디펜스의 국방로봇과 무인시스템 등이 세계
[헬로티] 생산 장비·재료 수급길 막은 데 이어 이번엔 자금줄 차단 효과 노려 미국이 본격적인 성장 단계에 접어든 중국 최대 반도체 회사 SMIC(중신궈지·中芯國際)를 집요하게 때리고 있다. 앞서 미국 상무부가 자국 업체들이 SMIC에 반도체 생산 설비와 재료 등을 자유롭게 팔지 못하도록 하는 규제를 시작한 가운데 미국 국방부까지 나서 SMIC를 블랙리스트에 올리면서 자국 자본이 흘러가는 것을 막기로 한 것이다.' SMIC는 중국이 사활 건 '반도체 자급' 선도 업체 4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SMIC, 중국해양석유(CNOOC), 중국국제전자상무중심그룹(CIECC), 중국건설기술(CCT) 4개 중국 회사를 중국군이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기업으로 간주하고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이로써 미 국방부가 관리하는 중국군 연관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은 총 35곳으로 늘어났다. 새로 목록에 오른 기업 중 특히 눈에 띄는 곳은 SMIC다. SMIC는 중국이 사활을 걸고 추진하는 '반도체 자급' 실현의 최전선에 있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다. 이 회사는 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팹리스)로부터 주문을 받아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두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