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선에 따른 변화로 주요 수치 부정적 영향 예상돼 반도체·휴대전화·자동차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다섯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선에 따른 무역 환경이나 환율 변화 등으로 수출, 경상수지, 물가 등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경상수지는 111억2000만 달러(약 15조5800억 원) 흑자로 집계됐다.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9000만 달러)를 낸 뒤 5월(89억2000만 달러)·6월(125억6000만 달러)·7월(89억7000만 달러)·8월(65억2000만 달러)에 이어 5개월 연속 흑자다. 흑자 규모도 6월 이후 석 달 만에 가장 크고, 8월에 비하면 거의 두배에 이른다. 해마다 9월끼리만 비교하면 역대 3위 기록이다. 1∼9월 누적 경상수지는 646억4000만 달러 흑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167억5000만 달러)보다 478억9000만 달러나 늘었다. 9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106억7000만 달러)가 작년 4월 이후 18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흑자
AI 발전은 인류에 혜택으로 돌아오지만 이면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가 딥페이크다. 해커들은 AI와 딥러닝의 발전으로 인해 진짜 같은 가짜 사진, 영상 및 음성을 생성하는 능력을 증가시켰다. AI를 차치하더라도 단기간의 급격한 기술 발전은 딥페이크와 같은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에 정부 및 주요 기업은 AI가 미칠 부정적인 영향에 대비해 다양한 제도와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추세다. 반면 이 같은 규제가 도리어 AI 발전 속도를 저해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실로 다가온 딥페이크 위협 지난 1월 미국을 대표하는 팝스타인 테일러 스위프트의 얼굴 사진이 합성된 이미지가 SNS를 통해 확산된 사건이 화제가 됐다. 현재 삭제된 이 이미지는 X, 인스타그램, 레딧 등에서 공유되면서 4700만 조회 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끔찍한 합성 이미지를 만드는데 적용된 기술이 딥페이크다. AI 탐지 기업인 리얼리티 디펜더는 이 합성 이미지가 AI 모델을 사용해 생성된 것이라고 확신했다. 딥페이크란 '딥러닝(Deep learning)'과 '가짜(Fake)'란 말의 합성어로, 최근에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낸 부정적인 창작물로서의 의미가 강하다. 같은 달 또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