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단순한 운반 수단을 넘어, 공정 흐름과 생산 효율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물류 및 벌크 자재 운반 라인에서는 벨트 위의 하중과 체적 정보가 곧 시스템의 생산성과 직결된다. 페펄앤드푹스가 개발한 Volume3D는 이러한 필요에 정확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3D 체적 측정 솔루션이다. 컨베이어 하중, 이제는 3D로 본다 Volume3D는 LiDAR 기반 고정밀 측정 기술을 통해 컨베이어 상의 물체 윤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체적과 부피 유량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에는 R2000과 R2300 모델이 사용되며, 전자는 ±3%의 정밀도로 고정밀 측정이 가능하고, 후자는 초당 100회 스캔 속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도 놓치지 않는다. 하나의 측정 지점에는 최대 3대의 LiDAR 센서를 동시 운용할 수 있어, 그림자 효과를 최소화하고 복잡한 형상의 대상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속도와 부피를 동시에, MSEU + 로터리 엔코더 구조 윤곽 데이터만으로는 완전한 3D 분석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Volume3D는 컨베이어 속도 데이터를 함께 취득한다. 페펄앤드푹스의 ENI58IL 인크리멘탈 로터리 엔코더를
AI 기반 물류 최적화 솔루션 ‘루티(ROOUTY)’를 운영 중인 위밋모빌리티가 시스템 구조를 전면 개편하며 대규모 성능 개선을 완료했다. 특히 주문 및 기사 등록과 관련된 프로세스 처리 속도가 기존 대비 약 10배 향상돼 기업 고객들의 업무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개선은 대량의 주문 정보 및 기사 데이터를 엑셀 파일로 일괄 등록하는 기업 고객들의 니즈를 반영한 것이다. 위밋모빌리티는 반복 요청이 많은 주소 정보를 자동 저장하고 병렬 처리 시스템을 도입해 서버 자원 활용도를 최적화했다. 그 결과 업로드 대기 시간은 대폭 줄고, 시스템 응답 속도는 안정적이면서도 비약적으로 향상됐다. 루티의 이번 성능 고도화는 단순한 기술적 개선을 넘어 실제 물류 운영 현장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빠른 배차 처리와 대량 데이터 등록의 실시간 대응은 고객사에게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전반적인 운영 품질을 높이는 기폭제가 된다. 루티는 위밋모빌리티가 자체 개발한 AI 기반 배차 최적화 솔루션으로 총소유비용(TCO) 절감과 배차 연계율 향상, 자산 활용도 제고 등을 지원하는 B2B 물류 플랫폼이다. 배차, 기사 관리, 주문
니어솔루션은 자사의 Warehouse Execution System(WES) 솔루션이 한국에서 최초로 저작권 등록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등록은 물류센터 자동화 및 운영 최적화 기술 분야에서 니어솔루션이 선도적인 입지를 다시 한번 확인한 중요한 성과다. WES 솔루션은 물류센터의 지능화와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기술로,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Gartner가 2023년 Supply Chain Execution Technology 보고서에서 주요 기술로 선정한 바 있다. 또 니어솔루션은 최근 SCI평가정보에서 투자용 기술평가(TCB) 최고 등급 TI-1을 획득하며,기술력과 사업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현재 시리즈 A 투자 유치를 빠르게 마무리하고 있으며,이를 바탕으로 최적화 기술 개발과 SaaS 상품 및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사업본부장 최용덕 전무는 "이번 저작권 등록을 통해 니어솔루션이 국내 최초의 WES 솔루션 기업으로서 위상을 재확인했으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요구에 맞춘 지능화된 물류센터 운영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니어솔루션은 202
올해 2회째 열려… 작업자 동선 시뮬레이션·오류 원인 파악·AI 기반 고객 응대 시스템 등 수상 디지털 물류 플랫폼 ‘아르고’의 운영사 테크타카(대표 양수영)가 사내 해커톤 ‘2024 테커톤’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4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된 이번 ‘2024 테커톤’은 아르고 운영사명인 ‘테크타카’와 ‘해커톤’의 합성어다. 이번 2024 테커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2회째로 다양한 직군의 아르고 구성원이 모여 창의적으로 주제에 맞는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실제 서비스 구현까지 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2024 테커톤은 ‘아르고 풀필먼트 서비스의 판매자 맞춤 차별화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다. 지난해와 달리 아이디어만 기획할 수 있는 ‘아이디어톤’ 분야를 신설, 직무와 상관없이 다양한 구성원들이 창의적인 의견을 내도록 했다. 또 기간도 기존 2일에서 5일로 확대해 기존의 업무에서 벗어나 구현해보고 싶었던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독려했다. 아이디어 기획 부문에는 총 27명(12개 팀)이 12개의 아이디어를, 해커톤 부문에는 총 21명(6개 팀)이 6개의 아이디어로 참여했다. 특히 해커톤 부문은 한 팀당 3~5인이 최소 2개 이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