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전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위치한 이랜드패션 물류센터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화재는 오전 6시 10분쯤 경비원의 신고로 최초 접수됐으며 신고 직후 불길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대응 1단계가 발령됐다. 이어 오전 7시 1분에는 천안·아산 등 인근 지역의 장비와 인력을 모두 투입하는 대응 2단계로 상향됐다. 현재까지 소방차 63대와 인력 129명이 현장에 투입돼 화재 진압 작업이 진행 중이다. 불은 물류센터 1·2층을 전소시키며 건물 전체로 번졌고 현재는 3·4층을 중심으로 진화 작업이 집중되고 있다. 의류 등 가연성 물품이 밀집된 구조적 특성 때문에 내부 진입이 어려워 진화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이 소방당국의 설명이다. 부분적으로 폭발음이 들렸다는 목격담도 전해지며 화재 규모가 상당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소방과 경찰에 따르면 작업자와 직원 전원이 신속히 대피해 추가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연소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 데 대해 적재 물량과 구조 문제 등을 조사해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한편, 화재가 발생한 이랜드패션 천안 물류센터는 2
경기도 이천에서 다시 한 번 물류센터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 13일 오전, 냉동식품과 생활용품, 리튬이온 배터리 등 다양한 품목이 보관된 대형 물류창고에서 화염이 치솟았다. 정확한 화재 원인은 공식 발표를 기다리고 있지만 한동안 잠잠했던 물류센터 화재 이슈가 재부상하면서 업계와 사회에 다시금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언제든 폭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하는 휴화산처럼 물류센터 화재 사고는 시대를 가리지 않고 반복되고 있다. 이 고리를 끊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또 다시 불탄 물류센터…반복되는 사고의 원인은? ‘물류센터 화재’라는 키워드는 단순한 사고가 아닌 구조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천은 2020년에도 대형 참사를 겪은 바 있다. 냉매 배관 작업 중 발생한 불씨가 우레탄폼 자재에 옮겨붙으며 지하 2층부터 삽시간에 불이 번졌고 총 38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후 정부는 2024년 창고시설 전용 화재안전기준을 제정해 방화구획 강화, 스프링클러 설치 기준 상향, 배전반별 소화기 비치 등을 의무화했다. 그러나 2025년, 이천에서는 또다시 물류센터에 화염이 치솟고 말았다. 이번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라는 신유형의 위험물은 기존 기준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