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이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년 AI스타펠로우십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Human×AI 동반자적 협업을 위한 협력 지능형 에이전트 기술 개발’을 목표로 2025년 7월부터 2030년 12월까지 5년 6개월간 진행된다. 정부 지원금 110억 원을 포함해 총 115억 5000만 원이 투입된다. 아크릴은 이를 통해 LLMOps 플랫폼 ‘조나단(Jonathan)’을 헬스케어 분야 특화 AgentOps 플랫폼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모델 관리·배포 중심의 기존 서비스 체계를 넘어, 자율적 특성을 가진 에이전트의 구성·조율·협력을 빠르게 구현하는 ‘Synergistic AI Multi-Agent’ 기술을 적용한다. 아크릴 관계자는 “조나단은 고객사 개발 비용과 구축 시간을 70% 이상 줄이고, GPU 효율화를 통해 LLM 학습 속도를 53% 이상 높인 검증된 기술”이라며 “이를 AgentOps로 확장해 멀티 에이전트 워크플로우 구성과 운영 자동화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크릴은 글로벌 의료 AI 플랫폼 ‘나디아(NADIA)’와 이번 사업에서 개발할 기술을 결합해 AI 헬스케어 서비스를 선보인다. 멀티 도메인 의료 플랫폼
맞춤형 에이전트 구축, 멀티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등 하이브리드 기술 생태계 공유 IBM이 연례 기술 컨퍼런스 ‘THINK 2025’를 통해 기업용 AI 도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번 발표의 핵심은 AI가 단순한 챗봇을 넘어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에이전트’로 진화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 ‘왓슨x 오케스트레이트’의 강화다. IBM은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 다양한 IT 환경,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AI 기반 업무 자동화 도구를 중심으로 IBM은 맞춤형 에이전트 구축, 멀티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가시성 확보 및 거버넌스 관리까지 포괄하는 하이브리드 기술 생태계를 공개했다. 왓슨x 오케스트레이트는 비개발자도 손쉽게 업무용 AI 에이전트를 생성하도록 직관적인 노코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동시에 숙련 개발자는 프로코드 환경에서 복잡한 API 연동이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IBM은 이 같은 유연성을 통해 기업 내 다양한 부서와 역할의 사용자가 각자의 요구에 맞는 AI 에이전트를 빠르게 생성하고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왓슨x는 인사, 영업, 구매 등 핵심 비즈니스 분야에 즉시 적용 가능한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