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기술력에 5개국 생산 네트워크 구축, 초정밀 부품 설루션 강화 1978년 설립된 주식회사 영진아스텍이 레이저, 포토에칭, 전주도금, CNC 기술을 통합한 국내 유일의 전자부품 종합 설루션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회사는 최근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확장하며 반도체·디스플레이·자동차 등 첨단 산업 분야의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통합 기술력으로 40년 외길 걸어온 '토탈 솔루션' 기업 (주)영진아스텍은 메탈마스크, 포토에칭, 전주 도금, 지그 등 전자부품 분야에서 설계부터 제조까지 자체 기술로 구현하는 독보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레이저 마스크(Laser Mask)는 냉연 SUS를 레이저 가공해 PCB 실장에 최적화된 미세 패턴을 구현하며, Quick Delivery & High Accuracy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포토에칭(Photo Etching)과 전주 도금(Electro Forming) 기술은 포토리소그래피와 에칭·도금 공정을 결합해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초정밀 부품을 제작하며, 스크린 마스크(Screen Mask)는 SUS Mesh를 활용한 고정밀 제판 기술로 OLED·MLCC 등 첨단 소재에 적용된다. 또한
오늘날 3D 프린팅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일상에 혁신을 가져온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재료를 층층이 쌓아 물체를 만드는 적층 방식의 이 기술은 시제품 제작을 넘어 실제 생산까지 확장되며 변화를 이끌고 있다. 그렇다면 이 혁신적인 기술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역사를 거쳐 발전했는지 그 시작과 발자취를 따라가 본다. 3D 프린팅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3D 프린팅은 재료 블록을 깎거나 틀에 붓는 방식과 달리, 재료를 쌓고 융합하는 '적층 기술' 기반이다. 이는 재료 낭비가 적고 복잡한 형상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졌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팅'은 데스크톱 장비나 FDM 방식 등 대중적인 기술을, '적층 제조(AM)'는 산업용 응용 분야를 지칭하는 경향이 있다. '쾌속 조형(Rapid Prototyping)'은 1980년대 시제품 제작에만 쓰였던 초창기 기술 용어였으나 지금은 모든 빠른 프로토타이핑을 포함하는 의미로 진화하고 있다. 3D 프린팅의 시작은 언제? 3D 프린팅 아이디어는 산업 제품 개발 가속화에서 비롯됐다. 1980년대 초 일본과 프랑스에서 UV 광을 이용한 광경화성 수지 경화 장치 특허 시도가 있었으나 상용화되지 못했다. 본격적인 역
공장의 미래상 담은 BUTECH 2025, 제조업 '퀀텀 점프' 시작점...여기서 '터졌다' ‘스마트 제조, 미래 혁신의 꿈’을 슬로건으로 한 ‘제12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BEXCO)에서 성황리에 진행됐다. 올해 BUTECH는 단순한 산업·공장 자동화(FA) 분야 전시 콘셉트를 넘어, 인공지능(AI)·로보틱스·디지털트윈(Digital Twin)·머신러닝·비전 등 제조업의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기술들이 총출동했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 전략과 경쟁력 확보 방안 등 국내 제조업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 현장이었다. 국내 제조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 이번 BUTECH 2025. 과연 각 분야 혁신·유망 참가업체는 어떤 기술·솔루션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사로잡았을까? 이번 <헬로즈업> 특별 기획에서는 대한민국 제조업 ‘퀀텀 점프(Quantum Jump)’의 핵심 기술을 자세히 조망한다. [레이저·적층제조·가공기술] 차세대 기술이 주도하는 초정밀 제조 시대 이번 BUTECH 2025는 단순한 가공을 넘어선 초정밀 제조의 미래를 선명하게 보여줬
이탈리아 Carlo Gavazzi社 ‘LD33CEBI10xx’ 센서 제품군 내세워 와이텍이 센서 제품군 ‘LD33CEBI10xx’을 소개했다. 해당 센서 라인업은 가로 12mm, 세로 33.1mm, 높이 20mm의 소형·경량화 제품으로, 고정밀 감지가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기술이다. 폴리카보네이트(PC)·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소재 하우징, 소형 고출력 LED 등이 탑재된 점도 특징이다. 여기에 자유로운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티치 인(Teach In)’ 기능이 적용됐다. 50~1000mm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장거리 배경 억제 ToF(Time of Flight) 센서다. 아울러 적외선 레이저 클래스1 등급을 취득해 안정적인 감지를 보장한다. LD33CEBI10xx 시리즈는 케이블·커넥터로 타입이 세분화됐고, NPN 아웃풋(Output)과 NO 혹은 NC의 PNP 스위칭 모드 중 선택 가능하다. 와이텍 관계자는 “이 제품은 레이저·근적외선·초음파 등 신호를 이용한 사물 거리 측정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에드몬드옵틱스가 자사가 갖춘 기술역량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소개 페이지를 새롭게 오픈했다. 에드몬드옵틱스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기술역량 콘텐츠를 제공하고 고객이 좀 더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 리뉴얼을 진행했다. 새롭게 리뉴얼된 기술역량 소개 페이지는 에드몬드옵틱스의 핵심 비즈니스 라인인 Precision Optics(정밀 광학), Optical Filters(광학 필터), Laser Optics(레이저 광학), Imaging Optics(이미징 광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전반적인 디자인부터 UI까지 개선해 우수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는 브랜드 이미지를 보여주는 데 집중했다. 에드몬드옵틱스의 기술역량 페이지 내 카테고리가 4가지로 개편되면서 사용자는 원하는 페이지에 들어가 카테고리별 제품정보, 관련 전문성, 제품의 활용 산업 분야 등 다양한 내용을 더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됐다. 뿐만 아니라 지식센터를 통해 더 전문적인 내용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게 됐다. 에드몬드옵틱스 관계자는 “이제 리뉴얼한 새로운 소개 페이지를 통해 고객들이 더 빠르고 편리하게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레이저(RAZER)가 무선 게이밍 헤드셋 Razer Kraken V4(이하 크라켄 V4)를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크라켄 V4는 레이저의 대표적인 헤드셋 시리즈 ‘크라켄’의 네 번째 제품으로 이전 제품보다 향상된 오디오, 착용감, RGB 조명 설정이 특징이다. 크라켄 V4는 이어컵 내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9개의 조명 영역이 탑재돼 있다. 또한 Synapse 3 소프트웨어를 통해 조명을 설정할 수 있으며 수많은 기본 조명 효과와 Razer Chroma 지원 게임의 인게임 조명 효과 연동으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크라켄 V4에 탑재된 Razer TriForce 티타늄 40mm 드라이버는 3개로 분리 설계돼 고음, 중음, 저음을 세분화하는 선명하고 깊은 사운드를 제공한다. 또한 고급 알고리즘으로 작동되는 3D 공간 오디오 THX SPATIAL을 지원한다. 크라켄 V4는 RAZER HyperSpeed 무선(2.4GHz), 블루투스, USB 유선 3가지 연결 방식을 지원해 최대 70시간까지 무선 연결로 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가 모두 소진된 이후에도 유선 연결을 통해 충전과 사용이 동시에 가능하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북미 매출 123% 증가…미국 지사 설립 통해 시장 공략 가속화 피부 미용 및 질환 치료용 레이저 기기 전문 기업 레이저옵텍(대표 이창진)은 잠정 실적 기준으로 2분기 매출액 104억 원의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2분기 매출액 104억 원은 레이저옵텍 분기 매출로는 사상 최대치이자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1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1분기 대비 700% 증가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21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역별로는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 온 아시아 지역 매출 비중이 36.4%로 가장 높았으며 유럽, 남미 등 기타 지역의 매출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레이저옵텍이 그동안 공을 들여온 북미 시장에서의 약진이다. 북미 매출은 전년 대비 123% 상승한 48억 원의 기록했고 매출 비중 역시 전년 13.1%에서 25.7%로 크게 올랐다. 레이저옵텍 측은 이같은 매출 호조가 미국 등 시장 확대로 인한 수출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주력모델의 미국 시장에서의 선전이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헬리오스785(HELIOS 785 PICO)’와 ‘팔라스
중국이 작년 12월 갈륨 수출을 넉 달 만에 재개하기로 결정하면서 수출량이 곧바로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0일 보도했다. 중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작년 12월 중국은 7.3t의 갈륨을 수출했다. 이는 2022년 월간 평균 수출량 7.9t에 근접한 규모다. 앞서 중국은 '국가 안보 수호'를 이유로 작년 8월 1일부터 갈륨과 게르마늄 관련 품목을 허가 없이 수출하지 못하게 하는 수출 규제를 시행했다. 수출 통제가 시행되기 직전인 같은 해 7월 갈륨 수출량은 약 7.5t이었다. 갈륨과 게르마늄은 반도체를 비롯해 태양광 패널, 레이저, 야간투시경 등 다양한 제품에 널리 사용된다. 중국은 갈륨과 게르마늄을 포함해 중요한 20개 원자재의 주요 생산국이며 제련과 가공 처리 분야도 지배하고 있다. 해당 통제로 중국 갈륨 수출은 작년 8∼9월에는 거의 없었고, 10월과 11월에는 각각 0.25t과 1.53t이 수출됐다. 갈륨 수출은 넉 달 만에 다시 많이 늘어났지만, 작년 12월 게르마늄 수출은 3.3t으로 수출 통제 직전인 7월의 8.78t에 크게 못 미쳤다. 작년 8월 게르마늄 수출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10월과 11월에 각각 0.
CES 2024서 선공개한 게이밍 노트북 ‘Razer Blade 16 14Gen’ 출시 OLED·4K Dual Mercury 두 기종으로 세분화 레이저가 새로운 게이밍 노트북 시리즈 Razer Blade 16 14Gen을 본격 선보인다고 이달 7일 알렸다. 이번 최신 시리즈는 레이저의 기존 하이엔드 게이밍 노트북 라인업을 보강한 제품군으로, 이미 지난 1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4)에서 공개된 바 있다. Razer Blade 16 14Gen은 OLED와 4K Dual Mercury 등 총 두 종으로 구성됐다. 먼저 Razer Blade 16 14Gen OLED는 인텔 코어 i9-14900HX CPU를 기반으로, 레이저 개인화 소프트웨어 ‘레이저 시냅스’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연산 속도를 끌어올리는 ‘오버클럭’이 가능하다. 여기에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80 및 4090 GPU를 지원해 게이밍 측면에서 향상된 성능 체감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레이저는 이 제품의 디스플레이에 QHD+ 해상도 및 240Hz급 주사율을 이식해 시각적 퍼포먼스의 차별화를 꾀했다. 이어 이번 시리즈의 또 다른 신제품인 Razer B
레이저 푸진, 레이저 푸진 프로 출시 130° 각도 조절 틸트 시트 베이스, 높낮이 조절 요추지지대, 3D 팔걸이 및 머리 받침대, 4D 쿠션 손목 받침대 등 담아 레이저가 새로운 게이밍 의자 라인업 레이저 푸진(Razer Fujin) 두 종을 내놨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 두 종은 레이저 푸진과 레이저 푸진 프로(Razer Fujin Pro)로, 두 종 모두 메시 소재를 담은 특징을 지녔다. 여기에 130° 각도 조절 틸트 기능을 넣은 시트 베이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지지대, 상하·앞뒤·좌우 조절 기능을 장착한 3D 팔걸이 등으로 설계됐다. 이 중 레이저 푸진 프로는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을 이식했고,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지지대, 상하·앞뒤·좌우·안팎 등 조절 기능이 탑재된 4D 쿠션 손목 받침대, 높이·깊이·위아래로 움직이는 3D 머리 받침대로 구성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이하 브라더코리아)가 새로운 토너 기술을 적용한 레이저 복합기·프린터 ‘토너세이브’ 시리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브라더코리아가 선보인 토너세이브 시리즈는 복합기(DCP-B7640DW)와 프린터(HL-B2180DW), 토너세이브 카트리지(TNB026)으로 구성돼 있다. 보통 A4 레이저 프린터에는 토너-드럼 일체형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브라더코리아는 일찍이 토너-드럼 분리형 카트리지를 적용, 상대적으로 교체 주기가 짧은 토너 카트리지를 따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해 유지비용과 폐기물을 감소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이번 브라더코리아가 새로 선보인 토너세이브 시리즈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토너 카트리지에 장착돼 있던 일부 부품을 드럼 카트리지로 이동시켜 재설계하는 브라더만의 새로운 토너 기술이 적용됐다. 이에 따라 토너 박스 무게는 브라더 동급 일반 토너 카트리지 대비 약 93% 가벼워졌고, 장당 인쇄 비용을 80% 절감하게 됐다. 브라더코리아는 새로운 토너 기술 적용을 통해 기존 레이저 프린터와 복합기의 구매를 망설이게 했던 유지비용을 압도적으로 줄였다. 브라더코리아가 자체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르면, 이번 토너레이저 신제품의 경우 동급 경쟁사
전체 수출량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3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중국이 희귀 광물인 갈륨을 8월 수출 통제 시행 이후 약 두 달 만에 처음으로 수출했다고 교도통신이 21일 중국 세관 당국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달 갈륨 250㎏을 전량 독일에 수출했다. 독일 이외에 다른 나라로는 수출하지 않았으며, 전체 수출량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3분의 1 수준이었다. 이에 앞선 8∼9월에 중국의 갈륨 수출량은 전무했다. 아울러 중국은 갈륨과 같은 시기에 수출 통제를 시작한 게르마늄을 지난달 일본과 벨기에 등지로 648㎏ 수출했다고 지지통신이 전했다. 중국의 게르마늄 수출량은 8월에 전혀 없었고, 9월에는 단 1㎏이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갈륨과 게르마늄은 반도체를 비롯해 태양광 패널, 레이저 등 다양한 제품에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광물로, 중국이 사실상 생산과 공급을 독점해왔다.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갈륨 생산의 98%, 정제 게르마늄 생산의 68%를 각각 차지했다. 중국은 국가 안보 수호를 이유로 8월 1일부터 갈륨과 게르마늄 관련 품목을 허가 없이 수출하지 못하게 하는 수출 규제를 시행했고, 이후
글로벌 게이밍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레이저(RAZER)에서 래피드 트리거를 지원하는 'Razer Huntsman V3 Pro 시리즈'를 신규 출시했다. 레이저 관계자는 "이번 헌츠맨 V3 Pro 시리즈는 풀키, 텐키리스, 미니로 세 가지 배열로 출시돼 정확하고 정밀한 입력과 빠른 반복 입력이 필요한 유저들에게 만족스러운 퍼포먼스를 선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새로운 헌츠맨 V3 Pro 시리즈는 2세대 아날로그 스위치를 탑재해 작동점을 0.1mm에서 4.0mm까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설정하고, 1억 번의 키 내구성을 가져 기존 고정된 작동점을 가진 기계식 스위치와는 차별화된 정확도와 내구성을 느낄 수 있다. 긴박한 상황 속 정밀한 컨트롤을 요구하는 FPS 게임과 리듬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 사이에서 최신 트렌드로 자리 잡은 래피드 트리거 모드 역시 헌츠맨 V3 Pro의 장점 중 하나다. 래피드 트리거는 키 입력을 빠르게 초기화하는 기술로, 더 빠른 키 입력과 반복 입력이 가능하다. 헌츠맨 V3 Pro는 0.1mm부터 1.0mm까지 래피드 트리거 감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게이머들은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게 설정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LED 단계 표시
레이저 빔 프로파일링은 광학적 원리와 기술을 통해 레이저 빔의 강도와 분포를 측정한다. 레이저 빔 프로파일링은 공간 에너지 또는 강도, 분포, 빔폭, 중심, 타원율 및 방향과 같은 다양한 매개변수 측정이 포함된다. 주요 목표는 레이저 빔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특정 용도에 맞게 사용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UV, 가시광선, NIR 및 SWIR 범위뿐 아니라 최대 1mm(Far-IR)까지 사용할 수 있는 수많은 레이저 파장이 있으며 각각 고유한 속성과 응용 분야가 있다. 예를 들어 파장이 짧고 양자 에너지가 높은 UV 레이저는 반도체 제조(예: 리소그래피@ 193nm 또는 248nm) 및 형광 이미징(355nm)에 사용된다. 붉은색의 가시광선 레이저는 바코드 스캐너 또는 포지셔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가시성과 밝기가 향상된 녹색 레이저는 종종 얼라인 시스템과 과학 연구에 적용된다. NIR 레이저는 높은 출력과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용접, 절단 및 마킹 응용 분야에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의료 산업 또는 자율 주행 및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은 물론 프로세스 제어, 운송 및 물류에 사용되는 LI
레이저 게이밍 존 및 스트리밍 존 구성 레이저가 용산 매장을 확장 이전하고, 프리미엄 레이저샵을 오픈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레이저는 용산 아이파크몰에 위치한 기존 오프라인 매장을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레이저샵에 프리미엄 요소를 더한다는 전략인데, 레이저가 구축 중인 새로운 매장에는 게이밍 존과 스트리밍 존이 개설될 예정이다. 게이밍 존은 총 6대의 PC로 구성돼 있으며, 모든 게이밍 제품이 레이저 모델로 들어선다. 레이저 관계자는 “이번에 오픈할 프리미엄 매장은 이달 15일에 문을 열 예정”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