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코드가 한국전파진흥협회(이하 RAPA)가 주최하고 빅모빌리티가 주관사로 선정된 ‘2025년 비면허 주파수 활용 유망기술 실증 사업’에 제틱에이아이와 함께 참여 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과기부 산하 기관인 RAPA가 주최하는 이번 실증 사업은 국내외 유망 기업들의 비면허 주파수를 활용한 첨단 기술과 서비스를 선정하고 정보통신 기술 증진과 지역사회의 발전을 목적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빅모빌리티는 국내 최초 화물차 전용 주차장 ‘트럭헬퍼’ 서비스를 운영하는 모빌리티 혁신 기업이다. 도시의 다양한 ‘Dead Space’를 재생해 화물차 주차장으로 만들고 있다. 2025년 4월 현재 전국 34개, 2만5000평의 화물차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누코드는 노르딕세미컨덕터, 인피니언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협력 중인 국내 모듈 제조 전문기업이다. 저전력 무선통신 MCU 모듈과 응용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최근 국내 로봇 전문기업 럭스로보와 업무협약을 맺고 로봇 및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 솔루션 분야에서도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제틱에이아이는 온디바이스 AI 기술 기업으로 기존 시장내 플레이어들의 접근인 AI 모델 최적화 및 경량화가 아닌 모바일 AI
국내 소프트웨어 벤처기업 럭스로보가 최근 MBC와 업무 협약(MOU)를 체결하고 ‘RTK(Real Time Kinematic) GPS’ 기반의 제품 및 플랫폼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RTK GPS는 실시간 이동측위 시스템으로도 불리며, 실시간 위치정보를 1~2㎝ 내 오차의 정밀한 결과로 얻는 일련의 측량 기술이다. MBC는 지난 2017년부터 고정밀 RTK GPS 서비스 및 제품을 개발해왔으며, 국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럭스로보는 자체 기술인 MODI OS(Operating System)를 탑재한 AIoT 사업을 영위 중인 기업이다. 이 회사는 주행거리를 기반으로 보험료를 책정하는 퍼마일 자동차보험, AI 음성인식을 통해 자택의 조명과 냉난방 시스템, 엘리베이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분야 등 자사 기술을 활용한 AIoT 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골프장의 RTK GPS 기반 자율주행 카트 모듈을 자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MOU를 계기로 양사의 기술이 접목된 RTK GPS 기반 AIoT 제품과 플랫폼이 2024년 하반기부터 국내 주요 골프장의 자율주행 카트 분야를 시작으로 빠르게 서비스될 예정이다
[첨단 헬로티] 럭스로보가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나흘간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코딩교육용 스마트토이 ‘MODI’를 선보였다. MODI는 우리말 ‘마디’와 영단어 ‘모듈’의 합성어로 전자 장치의 각 기능들을 모듈로 만든 SW 교육용 인터렉티브 스마트블록이다. 문장의 마디, 마디를 연결하듯 MODI의 모듈을 연결하면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크리에이션을 만들 수 있다. MODI 모듈은 13개로 입력, 출력, 셋업 모듈 등 3개의 파트로 구성돼 있다. 각 역할에 맞는 색상으로 디자인돼 상황에 맞는 모듈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피지컬 컴퓨팅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MODI는 Exper KIT, Hello IoT KIT, Making Pack, Class Book Set로 구성돼 있다. 한편, 올해 13번째를 맞이한 ‘2018 로보월드’는 ‘Smart Industry, Smart Life!’라는 주제로 열리며, 18개국 154개사가 611부스 규모에 제조업용 로봇, 서비스용
[첨단 헬로티] 카카오(대표 임지훈)는 7일 투자 자회사 카카오 인베스트먼트(대표 박지환)와 인공지능(AI) 전문 자회사 카카오브레인(대표 김범수)이 공동으로 로봇 모듈 플랫폼 기업 럭스로보(LUXROBO, 대표 오상훈)에 투자를 집행했다고 밝혔다. 카카오에 따르면 럭스로보는 마이크로 OS(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를 탑재한 모듈형 로봇 플랫폼 회사다. 럭스로보가 개발한 'MODI'는 이용자가 LED, 스피커, 적외선, 마이크, 모터, 중력 센서 등 여러 기능을 가진 모듈을 그래픽 기반 코딩 소프트웨어로 쉽게 코딩해 이용자가 원하는 창작물을 만들 수 있는 로봇 플랫폼이다. 'MODI'는 일반 사용자뿐 아니라 영국 및 두바이 등 글로벌 시장에서 코딩 교육용 교보재로 사용되고 있고, 연내 글로벌 30개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라고 카카오는 전했다. 카카오 인베스트먼트와 카카오브레인은 럭스로보가 보유한 글로벌 경쟁력과 기술력을 높이 평가해 40억 원을 공동 투자했다. 카카오는 향후 인공지능, 하드웨어, 로보틱스, IoT 분야에서 럭스로보와 다양한 시너지를 창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럭스로보 오상훈 대표는 “럭스로보는 코딩 교육용 모듈 로봇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