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가 OLED 중심의 체질 개선과 조직 효율화를 통해 4년 만에 연간 흑자 전환을 앞두고 있다. IT용 OLED로 사업 구조를 빠르게 재편하며 수익성을 높인 전략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3분기 영업이익은 4522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수준이다. 4분기에도 40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이 전망돼,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연간 8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2021년(2조2306억 원) 이후 4년 만에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이러한 실적 개선이 대형 OLED 중심이던 사업 포트폴리오를 IT용 OLED 중심으로 전환한 데 따른 결과라고 평가한다. LG디스플레이는 2013년 업계 최초로 대형 OLED TV 패널을 양산하며 시장을 선도했으나, TV 수요 둔화와 함께 스마트폰·태블릿용 중소형 OLED 수요가 급증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된 바 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애플 아이폰 공급망 내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실적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OLED 매출은 2022년 86억922만 달러(약 12조580억 원)에서 2023년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2025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산업 및 기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마이크로-LED TV 생산 능력은 2023년 연간 5만 대 수준에서 2030년 약 600만 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체 마이크로-LED 시장 규모는 약 13억 달러(13억 42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LED는 OLED보다 밝기, 수명, 내구성이 뛰어난 자발광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로, 번인 우려가 없고 색재현력과 시인성이 우수하다. 대형 디스플레이부터 초소형 AR·VR 기기까지 적용 범위가 넓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유비리서치는 생산 효율 개선과 제조 원가 절감이 맞물리면서 2027년 이후 본격 상용화가 시작되고, 2028년부터는 연평균 50% 이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 확대 요인으로는 ▲프리미엄 TV 수요 증가 ▲생산 인프라 확충 ▲응용 분야 다변화 ▲가격 경쟁력 강화를 꼽았다. 유비리서치 김주한 애널리스트는 “마이크로-LED 확산의 핵심은 epi wafer 안정 공급”이라며 “2026년 이후 MOCVD 발주가 확대되고, 2030년까지 wafer 생산량이 현재의 10배 수준으로 늘어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