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금)부터 독립기념관에서 3종의 실감형 콘텐츠 정식 공개 지금까지 흐릿한 사진으로만 남아있는 안중근 의사, 유관순 열사 등 독립운동가들의 모습이 AI 기술을 통해 입체감과 생동감 있는 동영상으로 새롭게 재현됐다. SK텔레콤(이하 SKT)은 독립기념관과 함께 AI와 ICT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독립운동의 과거-현재-미래 의미를 체험하는 실감형 콘텐츠를 광복절에 맞춰 새롭게 선보인다고 10일 밝혔다. 11일(금)부터 독립기념관에서 정식 공개되는 3종의 실감형 콘텐츠는 SKT AI 이미지 복원기술인 슈퍼노바로 재현한 독립운동가 동영상 미디어아트, AI 미디어로봇이 답해주는 독립운동 역사, 웹AR 기술로 구현된 몰입형 전시 체험 등이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콘텐츠는 2020년 5월 SKT와 독립기념관이 MR/AR 에코뮤지움 구축사업 협약을 체결한 후 공동 기획해 선보이는 2단계 사업 결과물이다. 먼저 독립기념관내 3·1문화마당에 설치된 가로X세로 3.2m, 높이 4m 규모의 4면 LED 큐브 미디어아트 조형물에서는 독립운동가와 주요 독립운동 장면이 담긴 사진자료를 AI기술로 복원·제작한 영상물을 볼 수 있다. 독립운동가 모습이 담긴 훼손된 흑백사진을 SKT
[헬로티] 기존 키오스크에 음성인식 및 음성안내, 점자 입/출력, 수어 아바타 기능 추가 사용자 키 인식해 스스로 높이와 각도 조절해 ▲엘토브(대표 김지성)가 자체개발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현장평가를 지난 10일 독립기념관에서 실시했다. 인공지능 안내 플랫폼 기업 엘토브가 지난 10일 어린이, 고령자, 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농아인을 독립기념관으로 초청해 배리어프리 키오스크(Barrier-Free Kiosk) 사용에 대한 현장평가를 실시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비대면 키오스크 서비스 시장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으나 사회적 약자(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등)를 배려한 맞춤형 키오스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공공장소, 극장, 쇼핑몰 등에 설치된 일반 키오스크의 경우 사회적 약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요소가 많아 특히 장애인의 경우 이용을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엘토브와 독립기념관은 지난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한 ‘2020년 사회현안해결 지능정보화 사업 공모’에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사업주관사 및 실증기관으로 선정됐다. 엘토브가 개발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다양한 최신 기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