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친환경차 부품 생산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100억원까지 1.5∼2.0%포인트(p)의 대출 금리를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의 ‘친환경차 보급 촉진을 위한 이차보전 사업’ 2025년도 지원 계획을 공고하고, 오는 27일부터 다음 달 21일까지 지원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친환경차 부품 생산에 필요한 시설투자, 인수·합병(M&A), 연구개발(R&D) 목적의 대출을 원하는 중소·중견기업은 업체당 100억 원 한도까지 대출 금리를 지원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은 대출 이자의 2%p, 중견기업은 1.5%p를 최대 8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산업부는 올해 총 3200억원 상당의 기업 대출을 지원할 예정이며, 취급 은행을 기존 8개 은행에서 10개로 확대했다. 이 사업이 시작된 2022년부터 작년까지 총 69개 기업이 지원받았으며 지원 분야별로 시설자금 49개 기업(71%), 연구개발자금 19개 기업(28%), M&A 자금 1개 기업(1%) 등으로 나타났다. 신청 기업은 추천 기업 심사 및 은행 심사 등을 거쳐 대출이 집행된다. 자세한 사항은 산업부 홈페이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헬로티 이창현
정부가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올라가는 사다리 구축을 위해 중소기업 기준을 넘어도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유예 기간을 확대한다. 예비 중견기업 100개를 선정해 밀착 관리하고 저리 대출과 전용 펀드 등 11조원 규모의 금융 프로그램도 연계 지원한다. 이 같은 대책을 통해 정부는 중소기업이 성장을 기피하는 '피터팬 증후군'을 없애고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 수를 2배 이상 늘리겠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3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중소기업의 중견기업 성장에 초점을 두고 마련됐다. 구체적으로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중소기업 수를 현재의 2배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우선 정부는 중소기업 기준을 넘어도 세제상 중소기업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는 유예기간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기로 했다. 코스피·코스닥 상장 중소기업은 2년간 추가 유예기간을 부여받아 총 7년까지 중소기업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유예기간이 지나 중견기업이 된 기업에 대해서는 최초 3년간 높은 연구개발(R&D)·투자세액공제율을 적용한다. 유망 중소기업 100개를 선정해 3년간 밀착 관리하는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