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과대학(포스텍)은 헤테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가 지난 9일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에서 개소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공학 분야 국가 사업에 선정돼 세워진 이 센터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새로운 금속 소재 공정 개발과, 주력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금속 제조 미션 수행을 목표로 한다. 금속적층제조란 분말 층을 주어진 패턴에 따라 국부적으로 용융시켜 한 층씩 쌓아 올리는 방식이다. 금속 소재부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여러 부품을 제작·조립하지 않고 한 번에 완제품을 완성시켜 철강, 항공, 소형모듈 원전 등에 접목할 수 있다. 특히, 제조 공정 중 에너지 절감과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폐자원의 분말 형태 재자원화 측면에서 뛰어난 친환경성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편, 헤테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는 개소식과 함께 관련 심포지엄도 개최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전문 교육 실시할 수 있는 교육장 마련하고 공장과 계측실 공간 대폭 확장 태성에스엔이가 DfAM 연구소를 지난해 12월 ‘태성에스엔이 적층제조센터(TSNE AM CENTER)’로 확장 이전했다고 27일 밝혔다. 적층제조 특화설계(DfAM, 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란 적층제조 방식이 구현할 수 있는 높은 설계 자율도를 이용해 제품을 설계하는 방법으로, 위상최적화, Lattice 구조체, 파트 일원화 등의 기법을 사용해 기존 제조 방법상 불가능한 제품의 설계가 가능하게 하는 설계 방식이다. 태성에스엔이 적층제조센터는 기초 설계부터 위상 최적화, 설계 검증, 제작까지 적층제조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적층제조 연구소로, Ansys의 Additive 솔루션과 함께 메이저 업체의 적층제조 및 기타 계측 장비를 운용하며 수준 높은 적층제조 솔루션을 제공한다. 태성에스엔이는 적층제조 관련한 국내 주요 국책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 2020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후원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시행하는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 수주를 받아 공정 개발을 추진한 바 있다. 작년부터는 산업통상자원부 후원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헬로티 = 출처 3D시스템즈 백서] 이번 3D시스템즈 백서에서는 엔지니어링 전문가가 금속 적층제조 장비를 개발해 전 세계 제조업체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과 기존 금속 3D프린터에 대한 비교 결과를 제공한다. 금속 적층제조의 효율화 금속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이하 AM)는 다양한 시스템의 상호작용이 필요한 정교한 공정이다. 높은 품질의 부품을 만들기 위해 공정을 반복하는데 필요한 변수를 조합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투자해 적층제조기술의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소개할 다섯 가지 요인은 단순히 부품 혹은 작업 간 반복성만을 의미하지 않고, 여러 3D프린터와 생산 현장 사이에서도 반복성을 구현함으로써 진정한 확장성의 토대를 마련한다. 향후 제조산업 분야는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우수하고 지능적인 기계 엔지니어링을 통해 높은 품질과 낮은 총운영비용(CTO)으로 금속 부품을 쉽고 유연하게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금속 3D프린터는 금속 파우더 소재를 사용해 금속 부품을 제조한다. 금속 3D프린터는 금속 파우더 소재를 사용해 최종적으로 금속 부품을 제조한다. 이때 각 공정의 조건이 최종 부품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헬로티] 적층 제조의 환경 유익성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프로젝트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The Additive Manufacturer Green Trade Association, 이하 AMGTA)가 지속 가능한 공학 분야 선도 연구원인 제러미 팔루디(Jeremy Faludi) 박사를 금속 적층제조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문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첫 번째 대학 위탁 연구 프로젝트를 주관하도록 선정했다고 3일 발표했다. 셰리 핸들(Sherry Handel) AMGTA 전무이사는 “첫 번째 연구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팔루디 박사와 협조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그는 “이 프로젝트는 단체 회원과 일반 대중에게 적층 제조의 지속 가능한 유익성 관련 기존 연구에 대한 우수한 조사 연구 결과를 제공할 것이다. 팔루디 박사는 이 분야의 잘 알려진 연구원으로서 해당 주제 연구의 기존 범위를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팔루디 박사(LEED AP BD+C[친환경 인증 전문가])는 지속 가능한 설계 전략가이자 연구원이다. 그는 네덜란드의 델프트공과대학교 설계공학 조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