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 25%→20%, 경유 37%→30%, 액화석유가스 37%→30%로 정부가 유류세 환원분을 초과하는 석유가격의 인상이 없도록 석유업계에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석탄회관에서 오는 7월 1일로 예정된 휘발유, 경유, 액화석유가스(LPG) 유류세 일부 환원에 대비해 업계와 함께 석유시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한편 7월 1일부터는 휘발유 25%에서 20%, 경유 37%에서 30%, 액화석유가스(LPG) 37%에서 30% 등 유류세 인하율이 조정된다. 정부의 휘발유 유류세 일부 환원 결정은 최근 유가 및 물가 동향, 국가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결정했다. 이에 유류세 환원에 따라 휘발유는 리터당 41원, 경유는 38원, 액화석유가스는 리터당 12원 인상 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 산업부는 환원 이전 석유류 수요 증가에 대비해 물량 공급에 차질 없게 준비할 수 있도록 업계에 당부했다. 아울러 유류세 환원 이후 급격한 가격 인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유사 직영주유소와 알뜰주유소부터 가격 인상을 자제할 수 있도록 업계의 자발적인 협조도 요청했다. 윤창현 산업부 자원산업정책국장은 “최근 국내 석유제품 가격이
L당 휘발유 1,599.0원·경유 1,421.3원…"다음주도 약세 전망" 이번 주에도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내림세를 보였다. 특히 휘발유 가격은 최근 5주 연속 하락하며 약 2개월 만에 1,500원대로 내려갔다. 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5월 다섯째 주(5월 28일∼6월 1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10.6원 내린 리터 당 1,599.0원으로 집계됐다. 약 2개월 만에 1,600원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지난주보다 9.9원 하락한 1,673.3원,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8.6원 하락한 1,557.3원이었다. 상표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1,608.1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569.6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번 주 경유 판매가격은 지난주보다 17.7원 내린 1,421.3원을 기록했다. 경유 가격은 주간 단위로 6주 연속 하락했다. 이번 주 국제 유가는 미국 주간 원유 재고 증가와 중국 경제지표의 부진으로 인한 수요 감소 전망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수입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1.8달러 내
L당 휘발유 1,648.9원·경유 1,505.6원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이 내림세를 이어갔다. 1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5월 둘째 주(7∼11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리터 당 1,648.9원으로 전주보다 12.3원 내렸다. 휘발유 가격은 주간 단위로 2주 연속 하락했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20.7원 내린 1,721.4원,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16.9원 하락한 1,611.0원이었다. 상품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L당 1,659.4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616.8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23.9원 하락한 1,505.6원을 나타내며 3주째 내렸다. 한동안 하락하던 국제 유가는 이번 주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와 석유제품 재고 감소, 캐나다 산불로 인한 석유 생산 차질, 이라크의 4월 원유 생산량 감소 발표 등에 소폭 상승했다. 수입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1.4달러 오른 76.0달러를 기록했다. 국제 휘발유 평균 가격은 0.3달러 오른 84.4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 가격은
리터 당 휘발유 1,665.1원·경유는 1,619.7원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 판매 가격은 소폭 오르고 경유 판매 가격은 하락했다. 2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4월 넷째 주(23∼27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리터 당 1,665.1원으로 전주보다 5.3원 올랐다. 휘발유 가격은 주간 단위로 4주째 오름세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5.2원 상승한 1,749.1원,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3.6원 하락한 1,634.1원이었다. 상품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L당 1,675.2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632.3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번 주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24.4원 하락한 1,619.7원을 나타냈다. 경유 판매 가격은 2주 연속 오르다 이번 주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번 주 국제 유가는 엑손모빌의 나이지리아 석유 수출 터미널 운영 재개, 예상보다 부진했던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미국 은행권 부실에 따른 금융 불안 재점화 등의 요인으로 하락했다. 수입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2.8달러 내린 80.5달러를 기록했다. 국제
L당 휘발유 1,631.1원·경유 1,534.3원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은 동반 상승했다. 1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4월 둘째 주(9∼13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1,631.1원으로 전주보다 30.2원 올랐다. 휘발유 가격은 주간 단위로 2주째 오름세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29.8원 상승한 1,710.1원, 최저가 지역인 울산은 35.6원 오른 1,607.7원이었다. 상품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L당 1,641.6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597.8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번 주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13.5원 오른 1,534.3원을 나타냈다. 경유 판매 가격은 지난주까지 20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이번 주 들어 상승세로 바뀌었다. 이번 주 국제 유가는 미국 에너지부 장관의 하반기 전략비축유 재구매 가능성 시사, 에너지정보청(EIA)의 유가 전망 상향 조정, 러시아의 3월 원유 생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상승했다. 수입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0.9달러 오른 85.6달러를 기록했다.
L당 휘발유 1,596.8원·경유 1천546.2원…"국제유가 급락분 2주 후 반영"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판매 가격은 오르고 경유 판매 가격은 하락했다. 1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3월 셋째주(12∼16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1,596.8원으로 전주보다 9.8원 올랐다. 평균 휘발유 가격은 4주 연속 오르며 작년 12월 초순 이후 석 달여만에 1,600원에 근접했다. 주유소에 따라서는 휘발윳값이 L당 1,600원을 넘은 곳도 많았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제주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42.8원 오른 1,699.4원, 최저가 지역인 울산은 11.4원 오른 1,568.0원이었다. 상표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L당 1,603.9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570.0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번 주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3.9원 하락한 L당 1,546.2원으로 집계됐다. 경유 판매가격은 주간 단위로 17주째 내렸다. 이번 주 국제 유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우려 고조, 유럽 중앙은행 금리 인상, 미국 상업원유 재고 증가, 국제에너지기구(IEA) 공급 과잉 등으로 하락했다. 수입 원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