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기 교수팀 연구…시·청각 이중 암호화 소자도 선보여 피부처럼 늘어나면서 소리와 빛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27일 UNIST는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이 스탬프 표면 제어로 스트레처블 발광층의 고해상도 패터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로 만든 스트레처블 발광 소자는 신축성을 지니면서 빛과 소리도 발생시킨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시각과 청각을 이용해 방화벽을 해제할 수 있는 '시·청각 이중 암호화 소자'도 선보였다. 패터닝이란 원하는 회로나 모양을 가공하는 행위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패터닝된 발광층을 전극 위로 복사해 패턴을 얻는 것인데, 기존 기법을 테이프처럼 뗐다 붙였다 할 수 있는 점탄성 스탬프 위에서 진행했다. 이에 필름이 안정적으로 부착돼 작은 크기의 패턴도 왜곡 없이 얻을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최저 15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선폭의 패턴을 얻었고, 반복 공정으로 다양한 색상(파랑, 초록, 하양)의 패턴 가공에도 성공했다. 이렇게 제작된 소자는 밝기와 소리가 우수했고, 5천번 넘는 변형 실험에서도 95% 이상의 원형을 유지
ACM 리서치는 운영 자회사인 ACM리서치 상하이를 통해 칩렛(chiplet) 및 기타 첨단 3D 패키징 구조 특유의 플럭스 제거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ULTRA C v 진공 세정 장비를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ACM 관계자는 "새로운 장비는 여러 주요 고객들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것"이라며 "세정 후 플럭스 잔류물이 남지 않는 탁월한 처리 성능을 보여주었다"고 강조했다. ACM은 중국의 주요 반도체 제조사로부터 새로운 장비에 대한 구매 주문을 받았으며 내년 1분기에 납품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반도체 업계가 트랜지스터 크기 축소 없이 보다 강력한 칩을 구현할 수 있는 대안 아키텍처를 모색함에 따라 모듈식 칩렛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커졌다. 이 접근 방식은 보다 복잡한 IC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식 칩렛을 결합함으로써, 기존 모놀리식 칩에 비해 성능을 개선하고 비용을 줄이며 더욱 향상된 설계 유연성을 제공한다. 칩렛은 서버, PC, 가전제품, 자동차 시장에 걸쳐 전반적으로 채택이 늘고 있다. ACM의 사장겸 CEO인 데이비드 왕박사는 "칩렛은 기존 세정 기술로는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특유의 과제를 안고 있는데, 이는 반도체 제조 업계에 엄청
다중 전압 도메인에 걸쳐 설정 가능한 주변장치와 고급 통신 인터페이스, 손쉬운 연결 기능 제공 클라우드에 연결된 엣지 노드에서 수집되고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I3C(Improved Inter Integrated Circuit)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센서 인터페이싱에 대한 지속가능한 솔루션으로 주목받으며, 차세대 디바이스 기능 확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이하 마이크로칩)는 최대 두 개의 I3C 주변장치와 다중 전압 입·출력(MVIO)를 갖춘 로우 핀 MCU PIC18-Q20 제품군을 출시했다. PIC18-Q20 MCU는 3x3mm의 소형 패키지에 14핀 및 20핀으로 구성돼 있으며 실시간 제어와 터치 감지, 커넥티비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콤팩트 솔루션으로 사용된다. PIC18-Q20 MCU 제품군은 외부 구성요소 없이도 다중 전압 도메인에 걸쳐 설정 가능한 주변장치와 고급 통신 인터페이스, 손쉬운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PIC18-Q20 MCU 제품군은 I3C 기능과 유연한 주변장치 및 3개의 독립적인 전압 도메인에서 작동하는 기능을 탑재했으며 더 큰 전체 시스템에서 주요 MCU와 함께 사용하
자율주행 로봇 전문기업 트위니가 생활물류 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을 추가 개발하고 라인업을 강화한다. 트위니는 스마트오피스, 오피스텔, 주상복합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에서 식음료와 소형 택배 배송에 활용할 수 있는 신제품 '나르고 딜리버리'를 27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고층빌딩에서 활용할 수 있게 통신을 통해 앨리베이터를 호출하고 목적 층수를 원격 제어한다. 슬램(SLAM) 기술과 3차원 라이다 센서를 활용해 넓고 복잡한 환경에서 스스로 장애물을 회피하고 목적지까지 원활하게 주행한다. QR코드, UWB와 같은 별도의 인프라 구축 없이 기존 건물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휴대전화 앱을 통해 도착 안내와 실시간 위치를 파악, 안전하고 정확한 배송 서비스가 가능하다. 적재함은 최대 30㎏ 중량의 물품을 실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트위니는 단순 이동 반복 업무 경감, 시간 절감 효과, 비대면 전달을 통한 사생활 보호 등을 앞세워 고층 빌딩에 사무실을 둔 기업과 공공기관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 개발 및 운영 A사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위니 관계자는 "나르고 딜리버리는 기존 공장과 물류 시장 외에…
LG전자가 올해로 10년 차를 맞은 초경량·프리미엄 노트북 'LG 그램(gram)'의 기술과 디자인 혁신을 담아낸 'LG 그램 폴드(Fold)'를 출시한다. 한국 브랜드 최초의 폴더블 노트북 'LG 그램 폴드'는 그램의 초경량·대화면의 정체성을 계승하고, 화면을 접었다 펼치는 자유로움을 더했다. LG 그램 폴드는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얇고, 구부리기 용이한 자발광(自發光) 올레드의 강점을 활용했다. 화면을 펼쳤을 때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9.4mm로 얇고 완전히 펼치면 17형 대화면(대각선 길이 약 43cm), 화면을 접으면 12형(대각선 길이 약 31cm)이다. LG전자는 접으면 12형 노트북, 펼치면 17형 태블릿, 전자책 등 다양하게 변환되는 폼팩터에 맞춰 최적의 UI/UX 및 다양한 주변 기기와의 연결성 등을 강화했다. 예를 들어 좁은 공간에서 화면을 접어 사용할 때는 아래 화면에 가상 키보드를 활성화하고 노트북으로 이용한다. 또 가상 키보드가 익숙하지 않으면 아래 화면에 블루투스 키보드를 올려놓고 노트북과 연결해 사용한다. 이 경우 아래 화면은 자동으로 꺼진다. 노트북을 가로로 세워 책처럼 화면 가운데를 살짝 접으면 자동으로 화면이 회전되고 비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최근 많은 직장인들이 업무 효율성을 높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기업들이 하이브리드 워크플로우에 적합한 업무 환경을 갖추게 되고 공간 자율성이 더욱 확대되면서, 직장인들 사이에서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올인원 기능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직장인들 누구나 문서 정리, 자료 조사,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과 같이 기본적으로 처리해야 할 업무가 있다. 이와 같은 업무를 수행할 때 꼭 필요한 디바이스는 바로 기본적인 입력 도구인 키보드와 마우스다. 로지텍의 최고급 키보드·마우스 콤보 'MX Keys S Combo'는 최고급 무선 키보드 MX Keys S, 무선 마우스 MX Master 3S, MX 팜레스트로 구성된 완성형 콤보 제품이다. MX Keys S는 로지텍의 퍼펙트 스트로크 키 기술을 적용한 팬터그래프 키를 갖춰 부드럽고 정확한 타건이 가능하다. 바디 레이아웃 또한 흔들림 없는 일체형 메탈 소재로 구성됐다. 스마트 백라이트 기능을 탑재해 주변 환경에 따라 키보드 백라이트가 자동으로 조절되며, Logi Option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밝기 및 지속 시간을
벡오프 오토메이션(Beckhoff Automation)은 최근 열린 Pack Expo 2023에서 통합형 머신비전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TwinCAT Vision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되는 산업용 카메라, 렌즈 및 조명으로 구성된다. 벡오프의 관계자는 "TwinCAT Vision 소프트웨어에 비전을 통합함으로써 비전 검사 결과와 나머지 기계 제어 사이의 지연을 제거한다. 또한 검사 프로세스 중에 실시간으로 카메라와 조명을 구성하여 조명의 파장을 쉽게 변경하고 모션 축과 매우 엄밀한 동기화로 카메라를 트리거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벡호프의 새로운 카메라, 렌즈 및 조명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최대 24백만 화소 해상도와 2.5Gbit/s의 GigE Vision 전송 속도를 갖춘 IP65/67, EtherCAT 지원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 견고한 잠금 메커니즘, VIS에서 NIR AR 코팅 및 최대 2μm 해상도를 갖춘 산업용 C 마운트 렌즈,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EtherCAT 지원 다색 LED 조명 제품도 IP65/67 등급이다. 아울러 카메라, 조명 및 전자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액체 렌즈로 구성된 완벽한 머신비전 장치로 구성돼
고출력 증폭기와 고감도 수신기 통합...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더 낮은 전력 소비 제공 글로벌 RFID 칩 회사인 파이칩스(Phychips)는 핸드헬드 또는 고정형 UHF RFID 리더의 감도를 높이는 통합 회로를 출시했다. 이 회사는 지난 5월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열린 RFID 저널 라이브! 2023에서 새로운 PR7 시스템온칩(SoC)을 발표했다. 여러 리더 회사는 현재 이 새로운 SoC를 자사 제품에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 중이다. 파이칩스에 따르면, PR7 SoC는 고출력 증폭기와 고감도 수신기를 통합하여 UHF RFID 리더의 감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이로써 리더는 더 먼 거리에서 더 작은 태그를 읽을 수 있다. PR7 SoC는 또한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더 낮은 전력 소비를 제공한다. 파이칩스의 PR7 SoC는 UHF RFID 리더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다양한 산업에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물류, 유통, 제조, 소매, 의료 등에서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RFID 추적이 가능해질 것이다. 파이칩스에 따르면, 목표는 기존의 리더 기술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대안은 저가형 리더가 이전 장치
비전문가도 마우스 클릭 한 번으로 AI모델 생성 및 배포 가능한 MLOps 개발 아이브(AiV)가 올해 하반기 세계 최초 산업용 영상 데이터 특화 MLOps 플랫폼 ‘아이브옵스(AiVOps)’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MLOps는 머신러닝과 운영을 합친 용어로, 개발 및 운영의 협업 체계를 머신러닝 시스템에 적용한 AI 플랫폼이다. MLOps를 통해 개발과 운영의 경계를 허물어 양측의 협업을 강화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통합 및 배포함으로써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아이브옵스는 대용량 영상 데이터만을 위한 엠엘옵스를 지향점으로 삼는 장치다. 인공 지능 분야에 익숙하지 않은 비전문가도 마우스 클릭 한 번으로 인공 지능 모델을 생성하고 현장에 배포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데이터 저장과 레이블링, 인퍼런스는 현장 및 사무실의 서버에서 구동 가능해 보안을 강화했으며,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를 배포해 사용성 극대화를 꾀했다. 이 외, AI모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레이블링의 기능을 고도화하기 위해 웹으로 다수 작업자가 동시 접속해 서로 간의 작업 진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도 장착했다. 아이브옵스를 통해 검사 및 물류자동화용 AI
“주사율 및 응답속도 측면에서 강점...게이밍 영역 최적 효율 갖춰” 에이수스 코리아가 새로운 게이밍 모니터 ‘TUF Gaming VG279Q3A’를 출시했다고 21일 전했다. 에이수스의 이번 모니터 신제품은 27인치 풀 HD 해상도 기반 180Hz 주사율이 적용된 점이 특징이다. 여기에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지싱크, VESA 어댑티브싱크 등 기술을 담아 버벅이는 현상인 셔터렉, 끊김 등 시각적 대기 시간을 최소화했다. 특히 에이수스 블러 기능 ‘ELMB(Extreme Low Motion Blur)’를 통해 움직이는 물체 포착 및 1ms급 대응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또 어두운 환경에서 시각적 도움을 제공하는 ‘섀도우 부스트 기능’, 사용자 눈 피로도 감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플리커 프리’ 및 ‘로우 블루라이트’ 등 기술이 담겼다. 에이수스 코리아 관계자는 “TUF Gaming VG279Q3A는 180Hz의 주사율과 1ms급 응답속도를 장착한 게이밍 모니터”라며 “장시간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 및 프로 게이머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냉각판·펌프 성능↑, 360mm 라디에이터 등 갖춰 냉각 효율 최적화 내부 핵심 부분 곳곳에 센서 및 파워서플라이 케이블 이상 탐지 기술 심어 에이수스가 새로운 ROG Matrix 지포스 RTX 4090 GPU를 시장에 첫 출시했다. 에이수스가 이번에 내놓은 GPU는 지포스 RTX 4090 기반 3세대 RT 코어, 4세대 텐서 코어를 탑재해 부스트 클럭 2700MHz 성능을 보유한 PC 부품이다. 에이수스 관계자는 해당 제품 경쟁력에 대해 냉각 효율을 꼽았다. 액체 금속을 매개로 한 냉각 루프는 700mm 튜브 및 360mm 라디에이터와 함께 높은 냉각 성능을 제공한다. 여기에 냉각판·내장형 펌프 팬, 냉각수 유량 등이 맞춤형으로 설계돼 냉각 효율 상승에 기여한다. 해당 GPU는 온도 관리를 위해 GPU 다이, 메모리 모듈뿐만 아니라 VRM(Voltage Regulator Module), 초크 및 전원 입력 회로를 아울러 온도 감지 센서가 부착돼 있다. 센서를 통해 도출된 온도 데이터는 에이수스 시스템 파라미터 컨트롤 소프트웨어 ‘GPU 트윅 Ⅲ’ 내 새로운 기능인 ‘써멀 맵’에 표시된다. 이를 통해 GPU 온도 변화에 대한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다. 또 12
전동공구 분야의 글로벌 리더 보쉬 전동공구 사업부의 홈앤가든이 기존 모델 대비 20% 증가된 토크로 일상적인 스크류 드라이빙은 물론 다목적 활용이 가능한 충전 스크류 드라이버 ‘IXO 7 SET’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편리한 다목적 공구로 가정 내에서나 DIY 작업에 최적화됐다. 별도로 구매가 가능한 IXO Collection 액세서리와 교체가 가능한 Easy-Click 캡 기능을 이용하면 스크류 드라이버 겸 멀티 공구로도 사용 가능해 드릴링, 절단, BBQ 숯불 준비 등 가정 내 다양한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강력해진 모터로 편리하고 부드러운 작업이 가능하며, 2.0 Ah 리튬 이온 배터리를 탑재해 긴 작동 시간을 발휘한다. 1회 충전 시 최대 190개의 스크류까지 작업할 수 있고, 번거로운 재충전 및 비작동 시간을 줄여 다량의 스크류를 장시간 작업해야 하는 경우 효율적이다. 작업자의 편의를 위한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기능도 갖췄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경량의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공구 무게를 줄여주고, 미끄럼 방지 소재의 소프트 그립은 편안한 그립감과 뛰어난 공구 제어력을 제공한다. 또, PowerLight 조명이 적용돼 어두운 공간에서
AMD는 크리아(Kria) 적응형 SOM(System-on-Module) 및 개발자 키트 포트폴리오에 새롭게 추가된 최신 AMD 크리아 K24 SOM 및 KD240 드라이브 스타터 키트(Drives Starter Kit)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AMD 크리아 K24 SOM은 비용에 민감한 산업 및 상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소형 폼팩터 기반의 전력 효율적인 컴퓨팅 솔루션이다. 첨단 InFO(Integrated Fan-Out) 패키징 기반의 K24는 크기가 신용카드의 절반에 불과하며, 커넥터 호환이 가능한 크리아 K26 SOM에 비해 절반의 전력만을 소모한다. K24 SOM은 컴퓨팅 집약적인 엣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전기 드라이브 및 모터 컨트롤러의 구동을 위해 일관된 성능 및 저지연성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전기 모터 시스템과 공장 자동화용 로보틱스, 발전, 엘리베이터 및 열차와 같은 대중교통, 수술용 로봇, MRI 침대와 같은 의료장비 및 전기자동차 충전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시 사용 가능한 모터 제어 기반 개발 플랫폼인 KD240 드라이브 스타터 키트와 함께 제공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채널당 최대 8.5 GHz(960 MHz의 변조 대역폭)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소형 4채널 벡터 신호 생성기(VSG)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N5186A MXG는 키사이트의 X-시리즈 신호 생성기 포트폴리오의 차세대 고성능 VSG로, 조밀한 광대역 멀티채널 분야에 필요한 복잡한 다중 신호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및 레이더 분야는 기술이 진화하면서 MIMO, 빔포밍 및 멀티플렉스와 같은 복잡한 변조 구조를 사용해 데이터 스루풋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더 높은 주파수 범위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더 큰 대역폭에서 뛰어난 변조 품질을 유지하는 신호 발생 장비가 필요하다. 더 높은 주파수, 더 큰 대역폭, 더 복잡한 변조 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네트워크 및 설계 엔지니어들은 일반적으로 추가 테스트 장비와 픽스처를 설치할 수 있는 더 많은 벤치 공간을 필요로 한다. 키사이트 N5186A MXG는 외부 연결을 줄이고, 소형 2U 폼팩터에 최대 4개의 채널을 넣어 복잡한 설정을 간소화하고, 공간 문제도 해결하고 있다. 반사계가 내장된, 세계 최초의 신호 생성기인 N5186A MXG는 테스트 대상 디바이
자체 개발한 특허 기술로 혁신적인 충전 경험 제공…완속 충전 사업자로서는 최초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 플러그링크가 충전기 커넥터를 차량 충전구에 꽂기만 해도 충전이 시작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PnC(Plug N Charge) ‘간편충전’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기존에 전기차 운전자는 충전할 때마다 회원카드를 태깅하거나 QR코드를 스캔하는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플러그링크의 ‘간편충전’을 이용하면 커넥터를 충전구에 꽂기만 해도 자동으로 인증이 완료, 충전이 시작된다. 플러그링크 앱과 충전기 간 블루투스 연결로 인증을 진행해, 운전자가 핸드폰을 꺼내거나 별도로 앱을 조작하지 않아도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플러그링크는 고객의 불편한 충전 경험을 개선고자 사업 초기부터 회원카드 발급 대신 QR코드 인증방식을 선택해 고객이 편리하게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더 나아가 완속 충전 사업자로서는 최초로 PnC 서비스 상용화에 성공하며 전기차와 충전기 제조사가 동일해야만 제공할 수 있는 기존 PnC 서비스의 기술적 한계를 자체 개발한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 기술로 해결했다. ‘간편충전’은 플러그링크 앱만 설치되어 있으면 차량 모델에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