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로봇 플랫폼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아이엘봇(ILBOT)’, 韓 제조 현장 특화 기능 갖췄다 인공지능(AI)·센서·제어 기술 통합...정밀 양팔 협동 작업 등 실전형 기능 내재화 올해 말 내부 제조 현장 우선 투입 및 실증 테스트 앞둬...내년 중 양산 본격화 목표 아이엘이 자사 첫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모델 ‘아이엘봇(ILBOT)’을 발표했다. 이로써 제조·물류 자동화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이번 아이엘봇은 글로벌 로봇 플랫폼 업체의 상용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재설계한 모델이다. 이는 글로벌 로봇 생태계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국내 제조 현장의 자동화 목표를 달성하려는 전략이다. 사측은 국내 제조·물류 환경에 최적화된 설계점을 아이엘봇에 이식했다. 인공지능(AI)·센서·배터리·제어 등 필수 요소를 한데 통합하고 현지화하는 전략을 취했다. 이러한 설계를 기반으로 정밀 양팔 협동 작업, AI 기반 자율주행, 산업 설비 연동 등 기능을 개발·고도화하고 있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 센서, 광학, AI 등 자사 기술 역량을 아이엘봇 플랫폼에 순차적으로 적용해 기술 시너지를 확대할 방침이다. 아이엘봇은 올해 말 충청남도 천안 소재 아
원/달러 환율은 26일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매수세에 힘입어 1460원대로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6.8원 하락한 1465.6으로 집계됐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장중 기자간담회를 열어 외환시장 안정 의지를 거듭 강조했지만, 오히려 환율 낙폭이 줄었다. 시장 실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환율은 7.4원 내린 1465.0원으로 출발한 뒤 오전 9시31분께 1457.1원까지 하락했다. 구 부총리 메시지가 전해진 오전 11시30분 1458.4원에서 4분 후 1466.3원까지 뛰었고, 오후 1시30분께 1467.7원으로 장중 최고가를 찍었다. 그럼에도 환율이 하락세를 유지한 이유로는 외국인 주식 매수와 달러 약세가 꼽힌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5160억 원 순매수를 기록했다. 코스피는 2.67% 오른 3960.87로 마감했다. 달러는 간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종전 기대가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로 이어지면서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연설에서 “나는 우리가 종전안 합의에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주요 6개국 통화
자사 기술 발표회서 산업 현장 전용 피지컬 AI(Physical AI) 시대 선언...내년 상용화 로드맵 발표해 산업 구조물 점검용 로봇, 로봇 암 호환 사족 보행 로봇 등 신규 로봇 폼팩터 공개 에지 AI 및 통합 플랫폼 소개도 위드로봇이 자사 기술 발표회 ‘WITHROBOT Autumn OpenLab 2025(WAO 2025)’를 전개했다. 지난 18일 열린 이 행사에서 산업 현장용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 기반 차세대 제품군을 대거 공개했다. WAO는 산업 안전용 로보틱스 및 에지(Edge) 기술을 논의하는 자리로 기획됐다. 산업 현장 내 안전성·안정성 확보를 목표로 한 ‘지능형 안전 기반 시설(Smart Safety Infrastructure)’이 이번 행사의 슬로건이다. 이 자리에서는 내년 출시를 앞둔 차세대 로봇 폼팩터 및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최초 공개했다. 다섯 종으로 구성된 해당 신규 기술은 사측이 정의하는 Physical AI 방법론을 토대로 한다. 위드로봇은 로봇이 산업 현장에서 지능적으로 작동하고, 이 역량이 지속 고도화되는 운영 체계 및 주기(Cycle)를 자사의 Physical AI 전주기 구조로 정의한다. 회
오이 로봇 개발 프로젝트 성료...농업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력 입증 다목적 로봇 ‘옴니파머(Omni Farmer)’, AI 비전 기반 오이 수확 성공률 99% 구현해 메타파머스가 로봇산업진흥원 주관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전했다. 사측은 지난해 3월부터 진흥원의 ‘오이 로봇 개발 및 실증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규제혁신 로봇 실증사업’의 일환으로, 농업 현장의 인공지능(AI) 자동화를 목표로 한 과제다. 메타파머스는 ‘수확 성공률 99% 그리퍼(Gripper)’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요기관 농장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AI 기반 시각서보제어(Visual Servoing) 기술과 그리퍼를 통합했다. 이러한 융합 기술을 통해 오이 수확 공정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후 시스템화했다. 이때 시각서보제어는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나 비전 센서에서 얻은 시각 정보를 활용하는 기술이다. 그리퍼는 과실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용 제품이 시스템에 탑재됐다. 메타파머스 연구진 측은 수요기관 농장에서 테스트를 반복하며 작물의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파지·수확 방식을 검증했다. 무엇보다도 오이의
제조 산업의 품질관리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공정 정밀도와 생산성 확보는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3D 스캐너 & 자동화 솔루션으로 완성하는 실전 전략’ 웨비나는 복잡한 품질검사·차체 검사·정밀 계측 업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3D 스캐닝 기술과 자동화 품질관리(AQC) 시스템을 소개한다. 크레아폼과 이즈소프트는 최신 휴대용 스캐너 EVO·PRO 시리즈와 자동화 신제품 CUBE-R® M 시리즈를 중심으로 제조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발표한다. 첫 세션에서 이원형 크레아폼 시니어 세일즈 매니저 아미텍 코리아는 휴대용 3D 스캐너 EVO와 PRO 시리즈를 소개하며 기존 계측 방식 대비 빠르고 정밀한 데이터 확보 방안을 설명한다. 전문가용 HandSCAN PRO는 신뢰성과 정밀도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HandySCAN EVO는 작업 효율과 자동화 연계를 강화한 모델로 설계돼 실사용 현장에서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이어 최재준 크레아폼 AQC 영업 엔지니어 아미텍 코리아는 자동화 품질관리 시스템 CUBE-R® M 시리즈의 구조와 특징을 설명한다. 발표에서는 기존 솔루션의 한계와 자동화 필
제조 산업의 품질관리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공정 정밀도와 생산성 확보는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3D 스캐너 & 자동화 솔루션으로 완성하는 실전 전략’ 웨비나는 복잡한 품질검사·차체 검사·정밀 계측 업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3D 스캐닝 기술과 자동화 품질관리(AQC) 시스템을 소개한다. 크레아폼과 이즈소프트는 최신 휴대용 스캐너 EVO·PRO 시리즈와 자동화 신제품 CUBE-R® M 시리즈를 중심으로 제조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발표한다. 첫 세션에서 이원형 크레아폼 시니어 세일즈 매니저 아미텍 코리아는 휴대용 3D 스캐너 EVO와 PRO 시리즈를 소개하며 기존 계측 방식 대비 빠르고 정밀한 데이터 확보 방안을 설명한다. 전문가용 HandSCAN PRO는 신뢰성과 정밀도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HandySCAN EVO는 작업 효율과 자동화 연계를 강화한 모델로 설계돼 실사용 현장에서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이어 최재준 크레아폼 AQC 영업 엔지니어 아미텍 코리아는 자동화 품질관리 시스템 CUBE-R® M 시리즈의 구조와 특징을 설명한다. 발표에서는 기존 솔루션의 한계와 자동화 필
오케스트로가 지난 25일 열린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에서 기조강연을 진행하며 산업 전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재해복구 전략을 공개했다. 최근 대규모 장애 발생으로 공공, 금융, 제조 분야에서 DR 체계 강화 요구가 높아진 상황에서 클라우드 전환 흐름과 인프라 안정성 과제가 함께 부각되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는 디지털 전환 확산과 함께 AI 시대 인프라 운영 전략을 조망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자신문 주관으로 온라인 생중계가 진행됐으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흐름과 DR 전략을 중심으로 산업별 대응 방안을 공유했다. 참여 기업들은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공공 중심의 클라우드 도입 확산과 운영 안정성 확보 방향을 소개했다. 오케스트로는 행사 첫 순서를 맡아 ‘AI 시대,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재해복구 전략’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발표는 오전 9시 30분부터 40분 동안 진행됐으며 AI·빅데이터·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해온 디지털 인프라 전문가 박소아 오케스트로 CDO가 연사로 참여했다. 강연에서는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추진 현황과 함께 산업별 운영 환경에서 요구되는 안정성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DR 전략의 필요성이 강조됐
산업통상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6일 서울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전문가 9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반도체 표준화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는 세계 3대 반도체 표준화 기구인 IEC 반도체소자 기술위원회,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국제반도체표준협의회(JEDEC)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첨단 반도체 패키징(후공정)과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표준화 동향을 논의했다. 먼저 IEC 분야에서는 우리나라가 지난주 일본에서 열린 IEC 반도체소자 회의에서 제안한 신규 국제표준안 2건이 소개됐다. 제안된 표준은 ▲범프 없이 웨이퍼 간 직접 접합하는 하이브리드 본딩 강도 평가방법 ▲전력반도체 웨이퍼 다이싱(절단) 정밀도 평가방법이다. 두 표준은 웨이퍼 접합과 칩(다이) 분리 공정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향후 국내 반도체 패키징 및 공정 장비 기업들이 글로벌 고객사와의 사양 정합 부담과 중복 시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EMI는 첨단 패키징 공장의 자동화 관련 표준화 이슈를 주제로 반도체 패널과 대형 기판의 이송·취급 등 자동화 운영 전반에 대한 표준화 활동을 소개했다. JEDEC은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는 26일 코엑스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협회 명칭을 ‘(가칭)한국AI사물인터넷협회’로 변경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명칭 변경 추진은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과 전 산업 AI 대전환(AX) 등 최근 정책 및 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해, AI와 IoT 융합을 선도하는 협회의 정체성을 보다 명확히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 협회 명칭은 IoT가 데이터, AI,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융합되는 흐름을 반영해 지난 2019년에 변경됐다. 그러나 최근 AI가 IoT 산업의 경쟁력과 서비스 구조를 좌우하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면서, 기존 ‘지능형 사물인터넷’이라는 표현만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흐름을 충분히 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에 협회는 AI 기반 IoT 융합 산업 생태계를 더욱 공고히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향후 ▲AI 기반 IoT 산업 환경 조성 ▲데이터·서비스 기반 신사업 발굴 지원 ▲AI-IoT 융합 비즈니스모델 발굴 등을 통해 회원사 사업 확장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회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이사회에서 논의된 협회 명칭 변경안은 회원사 및 산학연 의견 수렴을
한국바스프는 지난 25일 안산공장에서 시곡초등학교 어린이 72명을 초대해 바스프 그룹의 글로벌 CSR 플래그십 프로그램 ‘키즈랩(Kids’ Lab)’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들에게 화학의 즐거움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 교육 발전과 다양성·협력의 가치를 실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키즈랩은 1997년 독일에서 시작해 현재 전 세계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2003년 첫발을 내디딘 이후 20년 넘게 수만 명의 어린이들이 참여해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키우고 창의적 사고를 다져왔다. 특히 이번 안산 행사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어린이들이 함께 참여해 서로 배우고 협력하는 경험을 제공했다. 이민근 안산시장은 “이런 기업 참여 프로그램은 안산시 교육 환경에 큰 힘이 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이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우석 한국바스프 대표는 “경제가 어려운 때일수록 미래 세대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과 투자를 멈추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키즈랩은 그 철학을 담은 프로그램이며, 바스프는 과학을 통해 아이들이 더 큰 꿈을 꿀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11월 18일에는 여수 소호초등학교 어린이 35명이
1. 서론: 열 관리(Thermal Management), 현대 전자산업의 생존을 건 물리적 사투 1.1. '열 장벽(Heat Wall)'과 무어의 법칙의 황혼 반도체 산업이 지난 수십 년간 누려온 무어의 법칙(Moore’s Law)은 이제 물리적 한계라는 거대한 벽에 직면해 있다. 트랜지스터의 선폭이 나노미터(nm) 단위로 축소되면서 누설 전류에 의한 발열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고, 성능 향상을 위해 도입된 3D 적층 기술과 칩렛(Chiplet) 구조는 단위 부피당 발열 밀도(Heat Flux)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현대의 고성능 컴퓨팅(HPC) 프로세서, 인공지능(AI) 가속기를 위한 GPU, 그리고 5G 통신 모듈은 이제 단순한 전자 소자가 아니라, 수백 와트(W)의 열을 뿜어내는 초고밀도 발열원이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열 관리(Thermal Management)'는 더 이상 시스템 설계의 후순위 고려사항이 아니다. 전자 부품 고장의 55% 이상이 열 문제에서 기인한다는 통계는 열 관리가 제품의 성능, 신뢰성, 그리고 수명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척도임을 시사한다. 칩 내부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면 접합부
KAIST는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최원호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큐브위성 ‘K-HERO(KAIST Hall Effect Rocket Orbiter)’가 오는 27일 새벽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는 누리호 4차 발사체에 탑재돼 우주로 향한다고 밝혔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으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은 민간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처음으로 주관하는 발사다. 주탑재체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를 비롯해 산학연이 개발한 12기의 큐브위성이 함께 실리며, K-HERO도 이 중 하나로 탑재된다. K-HERO는 최원호 교수 연구팀이 KARI 주관 ‘2022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기초위성 개발팀으로 선정되며 본격 개발이 시작됐다. 기초위성은 비행모델(FM) 제작 전 설계와 핵심 부품이 실제 우주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시험용 위성이다. 가로·세로 10cm, 높이 30cm, 무게 3.9kg의 3U 표준 큐브위성인 K-HERO는 발사체와의 안정성·전기 규격·인터페이스 조건을 모두 충족해 설계됐다. 핵심 임무는 연구팀이 개발한 150W급 초소형 위성용 홀추력기(Hall thruster)가 우주에서 실제로 구동되는지를 직접 확인하는
임베디드 및 에지 컴퓨팅 기술 기업 콩가텍이 퀄컴 드래곤윙(Qualcomm Dragonwing) IQ-X 시리즈 프로세서를 처음으로 탑재한 COM-HPC Mini 컴퓨터 온 모듈 conga-HPC/mIQ-X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신형 모듈은 퀄컴 오라이온(Qualcomm Oryon) CPU 기반으로, 기존 x86 기반 시스템에서 가능했던 고성능 단일·멀티스레드 연산을 높은 전력 효율과 함께 제공한다. 또한 퀄컴 헥사곤(Hexagon)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전용 NPU는 최대 45 TOPS의 AI 연산 성능을 지원해 에지 AI 온디바이스 ML, LLM 실행 등 고성능 AI 작업에 최적화됐다. 해당 모듈은 보안, 리테일, 로보틱스, 의료기기,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성능·저전력 플랫폼 수요를 충족하며, 신용카드 크기의 초소형 폼팩터와 산업용 온도 범위(–40~85℃)를 갖춘 견고한 설계를 지원한다. conga-HPC/mIQ-X는 온보드 LPDDR5X 메모리를 탑재하고 최대 64GB를 지원한다. 최대 12개의 오라이온 CPU 코어, 헥사곤 NPU, DSP, 퀄컴 스펙트라(Spectra) ISP를 포함해 영상·이미지·오디오 데이터를 초저전력으로
라온피플이 최근 실시한 자산 재평가 결과, 본사 및 유형자산의 가치가 총 563억 원으로 기존 장부가 대비 약 63% 증가했다고 밝혔다. 라온피플의 토지·건물 및 투자부동산 재평가 자료에 따르면, 과천 본사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장부가액은 기존 346억 원에서 2년 만에 563억 원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온피플 관계자는 “이번 재평가는 약 216억 원 규모의 차액 상승과 함께 자산 및 자본 확대 효과로 이어져 기업가치 향상에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며 “재평가 잉여금 반영 후 차입금비율과 부채비율이 감소하는 등 재무구조 개선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신규 매출 확보와 비용 절감, 전반적인 경영환경 개선을 통해 4분기부터 실적 회복이 예상된다”며 “중장기적으로 매출 2000억 원 이상 규모의 자회사 인수 효과도 본격화될 것이며, AI·클라우드 융합 기반 기술 시너지를 통해 안정적 유동성과 캐시카우 역할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라온피플 본사는 과천 지식정보타운 어반허브 1만659㎡(약 3200평) 규모에 입주해 있다. 인근 기업과 상가 입주가 진행 중이며, 지하철 개통에 따른 업무타운 조성이 완성되면 관련 부동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STM32 AI Model Zoo를 새롭게 확장해 공개하며, 임베디드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속도를 크게 높일 것이라고 26일 밝혔다. STM32 AI Model Zoo는 비전·오디오·센싱 모델을 포함한 업계 최대 규모의 마이크로컨트롤러용 모델 라이브러리로, 웨어러블과 스마트 카메라, 각종 센서, 보안 기기, 로보틱스 등 다양한 장비에 활용된다. 스테판 헨리 ST 엣지 AI 솔루션 그룹 부사장은 “데이터 과학을 임베디드 플랫폼에서 실사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는 과정은 복잡한 엔지니어링 과제”라며 “STM32 AI Model Zoo 4.0은 개발자가 더 빠르게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모델을 크게 확대했고, 배포까지 이어지는 전체 개발 인프라를 강화했다. 이는 피지컬 AI 실현을 향한 ST의 의지를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소형 디바이스에 AI를 내장할 경우, 기능 향상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 개선 효과도 크다. 다만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프로세싱 성능과 메모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모델 최적화가 핵심 과제로 꼽힌다. ST의 최신 Model Zoo는 이러한 제약 환경에서 최소 전력으로 고효율 AI 모델을 개발하도록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