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마이크로 전력의 소비전류와 150°C 동작온도 기능을 갖춘 5V 자동차용 연산 증폭기 TSU111H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TSU111H는 AEC-Q100 온도 등급-0(-40~150°C) 인증을 획득했으며 제동 시스템, 연소기관 배기 시스템, 연료전지 발전기처럼 열이 극심하게 발생하는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최대 동작 온도가 높아 가장 뜨거운 영역의 센서에 근접한 센서 제어장치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어 측정 정확도를 최적화한다. 열 발생이 극심한 환경의 경우, TSU111H는 온도 범위를 확장해 125°C에서 등급-1 인증을 획득한 동급의 다른 디바이스보다 최대 3배 더 긴 미션 프로파일을 수행한다. 등급-1 디바이스는 8년 동안 고장 없는 동작을 보장한다. ST의 이 새로운 연산 증폭기는 등급-0 디바이스로서 65°C에서 25년 이상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 차량의 전체 수명기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원이 꺼지면 안 되고 최소 전력만 소비해야 하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TSU111H는 평균 1.7µA의 공급 전류로 차량의 전기 공
저용량 배터리로 장시간 작동해야 하는 모바일, 전장, 태그 등의 IoT 기기에 적합 삼성전자가 21일인 오늘 UWB 기반 근거리 무선통신 반도체 ‘엑시노스 커넥트 U100’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이 제품과 함께 UWB·블루투스·와이파이 기반 반도체를 포괄하는 브랜드로 엑시노스 커넥트 브랜드를 새롭게 선보이고, 초연결 사회 도래에 대비해 무선통신용 반도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UWB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빠르게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로, 기기 간 거리와 위치를 수 센티미터 범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스마트 키, 스마트 홈,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삼성전자가 공개한 엑시노스 커넥트 U100은 RF eFlash 메모리, 전력관리 IP를 하나의 칩에 집적해 소형화된 기기에도 쉽게 적용된다. 이 제품은 동작별 최적화된 전력 모드를 구현해 저용량 배터리로 장시간 작동시켜야 하는 모바일, 전장, 그리고 태그와 같은 IoT 기기에 적합하다. 이 칩은 무선전파 도달 시간과 3D 도래각 기능을 적용해 복잡한 환경에서도 정밀한 거리·위치 측정과 방향 인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수 센티미터 이내, 5
생산성 3배 향상, 레진 저장 용량 5배 향상, 최대 80% 인건비 절약, 파트당 40% 비용 절감, 포장재 폐기물 96% 절약가능 폼랩 코리아가 폼 오토, 플릿 컨트롤, 하이 볼륨 레진 시스템을 통해 고품질∙경제적 비용∙생산성을 실현하는 ‘폼랩 자동화 에코시스템’이 출시됐다고 발표했다. 자동화 에코시스템을 통해 손쉬운 사용과 경제적 비용에 기반한 차원이 다른 3D 프린팅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폼랩 자동화 에코시스템은 ▲사용자 노동량 감소 ▲대용량 인쇄 가능 ▲유휴 프린터 시간 최소화 등 다양한 강점을 보유한 폼랩의 최신 3D프린팅 솔루션으로, 올해 1월 CES 2023에서 처음으로 공개됐다. 폼랩 자동화 에코시스템을 사용하면 작업자 없이 연속적으로 인쇄가 가능하다. 작업자의 노동량을 줄이고, 대용량 레진 시스템을 통한 대용량 인쇄, 연중무휴 생산으로 유휴 프린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부품 당 비용을 낮추면서 최종 사용 부품, 프로토타입 및 맞춤형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사용자들이 3D 프린팅을 여러 대의 프린터로 확장할 때 손쉬운 전환이 가능하다. 폼랩코리아에 따르면, 출력물 파트의 기하학적 형상, 소재, 배치, 방향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 기업인 온세미는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으로 전도(conduction) 및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초고효율 1200V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 이하 IGBT)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디바이스는 고속 스위칭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태양광 인버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차(EV) 충전 전력 변환과 같은 에너지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예정이다. 새로운 1200V 트렌치 필드 스톱(Trench Field Stop) VII(이하 FS7) IGBT는 고전압(부스트 스테이지)에 대한 입력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며, 인버터는 높은 스위칭 주파수 에너지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에서 AC 출력을 제공한다. FS7 디바이스의 스위칭 손실이 낮기 때문에 더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자성 부품의 크기를 줄이고 전력 밀도를 높이며 시스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고전력 에너지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FS7 디바이스의 양의 온도 계수를 통해 병렬 작동이 가능하다. 온세미 파워 솔루션 그룹
보안 문제의 손쉬운 해결 및 디바이스의 독창적 프로비저닝, 제품 전체 수명 주기에 걸쳐 외부 보안 위협에서 보호 가능 임베디드 개발용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공급 회사 IAR은 임베디드 업계에서 가장 강력한 엔드투엔드 보안 워크플로인 ‘IAR 임베디드 트러스트(IAR Embedded Trust)’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IAR 임베디드 트러스트는 ‘4A’ 특징을 통해 고객의 데이터와 디바이스를 보호한다. 먼저 ‘안티 클로닝(Anti-cloning)’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식별 개념을 도입, 제조 단계에서 위조 및 과잉 생산을 방지한다. ‘액티브 IP 보호(Active IP protection)’는 보안 키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인증된 디바이스에서만, 그리고 성공적인 보안 부팅 프로세스 뒤에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다. ‘안티 롤백(Anti-rollback)’은 롤백 공격 및 버전 관리 악용에서 보호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프로세스 및 검사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인증(Authentication)’은 디바이스의 ID, 보호된 데이터 및 기밀 사항에 대한 암호화를 보증하고 정품 펌웨어와 업데이트만 실행하는데, 이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가 50달러면 구매할 수 있는 글로벌 셔터 카메라(Global Shutter Camera)를 출시했다. 새로운 카메라는 소니의 1.6메가픽셀 IMX296 센서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롤링 셔터 아티팩트를 도입하지 않고도 빠른 동작을 캡처할 수 있다. 라즈베리파이에 따르면, 이 카메라는 머신비전 애플리케이션 및 스포츠 사진에 매우 적합하다. 라즈베리 파이는 2014년 첫 번째 카메라 모듈 1이 출시된 이후 여러 카메라를 출시했으며, 각 카메라는 롤링 셔터 센서를 기반으로 했다. 롤링 셔터 센서에는 노출 시간 동안 픽셀에 떨어지는 빛의 양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값을 생성하는 감광 픽셀의 2차원 배열이 있다. 일련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는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다음 라즈베리파이로 다시 피드백한다. ADC의 행은 픽셀 어레이의 각 행에 차례로 연결되므로 각 행은 약간 다른 시간에 샘플링된다. 정적인 장면을 촬영할 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움직이는 장면, 특히 무언가 빠르게 움직이는 장면에서는 롤링 셔터 아티팩트가 관찰된다. 직선 운동은 움직이는 물체를 압축, 스트레칭 또는 전단하는 반면, 회전 운동은 낯선 모양
시간당 최대 550개의 주문라인 처리능력과 향상된 인체공학성으로 획기적인 생산성 증대 오토스토어가 작업 효율성, 작업자의 생산성, 인체공학을 최우선으로 한 두 가지 새로운 워크스테이션, 퓨전포트와 퓨전포트 스테이징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퓨전포트와 퓨전포트 스테이징 워크스테이션은 다양한 자동화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첨단 통합 기능을 제공하며, 4월 12일부터 전 세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창고 작업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 증대를 위해 설계된 퓨전포트는 인체공학적으로 기울어진 2개의 주문 피킹 빈 오프닝과 피킹을 도와주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직원의 작업 능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직원들이 수작업으로 재고를 반복적으로 옮겨야 했지만 퓨전포트를 사용하면 반복 작업은 줄어들고, 픽투라이트 시스템을 통해 손쉽게 품목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가 제공되기 떄문에 주문 피킹 능률이 증대될 수 있다. 퓨전포트에는 피킹이 가능한 상태에서만 열리는 향상된 성능의 안전 해치까지 포함되어, 포트에서 안전하게 피킹 작업을 할 수 있다. 카를로스 페르난데스 오토스토어 최고 제품 책임자는 "오늘날 기업들은 진화하는 고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피킹 공정을 최적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 기업 온세미는 새롭고 혁신적인 이미지 센서인 AR0822를 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디바이스의 eHDR(embedded High Dynamic Range) 기능과 최적화된 근적외선(near-infrared, 이하 NIR) 응답은 보안 및 감시, 바디 카메라, 초인종 카메라, 로보틱스와 같이 열악한 조명 조건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수적이다. 센서의 저전력 아키텍처 및 웨이크 온 모션(Wake-on-motion) 기능은 시스템 전력을 크게 줄이도록 설계됐다. AR0822는 2.0μm 픽셀을 기반으로 하는 8메가픽셀(MP) 스택 1/1.8인치(대각선 8.81mm) 후면 조사(back-side illuminated, BSI) CMOS 디지털 이미지 센서다. 이는 3840(H) x 2160(V)의 액티브 픽셀 어레이가 특징으로, 초당 60프레임(fps)에서 4K 해상도의 비디오가 가능하고 롤링 셔터 판독으로 선형 또는 eHDR 모드(120dB)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온세미의 인텔리전트 센싱 그룹 부사장 겸 총괄인 로스 자투는 "AR0822는 낮은 조명 환경에서 업계 최고의 성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고객이 필요로 하는 120dB
산업용 소프트웨어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아스펜테크는 자산집약적 산업에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운영 영역을 정확하게 파악해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입증된 의사결정 지원 기능인 아스펜테크 오퍼레이셔널 인사이트(AspenTech Operational Insights)를 포함하며, 이는 조직 전반의 데이터를 통합, 연관, 분석, 시각화하여 온실가스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역을 빠르고 확실하게 결정하도록 지원한다. 아스펜테크의 새로운 온실가스 배출관리 솔루션은 고객 데이터를 통합해 플랜트, 기업, 전체 밸류 체인의 운영 기술(OT)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동적이고 시각적인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 결과, 고객은 탄소 배출량, 마진 및 저감을 한눈에 확인하는 ‘단일 창구(Single Pane of Glass)’의 이점을 활용해 결정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에 민감한 데이터를 검토하느라 기다릴 필요가 없다. 아스펜테크의 CPSO인 라샤 하사닌은 “고객들은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서 자체 이상의 성능을 요구한다”며 “아스펜테크의 기존 솔루
산업용 통신 및 네트워크 분야 선도 기업 Moxa가 액세스 포인트, 브리지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산업용 무선 네트워킹 솔루션인 ‘AWK-3252A’, ‘AWK-4252A’, ‘AWK-1151C’ 시리즈를 출시했다. 새로운 AWK 포트폴리오는 무선 기능의 신뢰성 및 가용성을 보장하는 듀얼 밴드 터보 로밍을 비롯해 802.11ac 성능과 IEC 62443-4-2 SL2 인증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Moxa는 이러한 기능을 결합하여, 생산성 및 운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AGV 및 AMR을 사용하는 광업, 제조, 의료, 운송 및 기타 여러 산업 분야에서 현재와 미래에 필요로 하는 모바일 자동화 및 IP 요구 사항에 대응하고 있다. Moxa의 AWK 시리즈는 복잡한 센서와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시스템의 통합 및 무선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제품은 2.4GHz 대역에서 최대 400Mbps를 지원하고, 5GHz 대역에서 최대 867Mbps의 속도를 제공함으로써, 고대역폭의 동적 모바일 환경에서 다수의 장치를 수용하고,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일대다(One-to-Many) 네트워크 주소 변환(1:n NAT) 지원을 통해 OT…
산업 통신 솔루션의 리더 어드밴텍이 지난 6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Automation Taipei 전시회에서 EKI-8510G TSN 이더넷 스위치를 공개했다. 어드밴텍은 CC-Link 파트너 협회(CLPA)의 이니셔티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CC-Link IE TSN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업계에 홍보해 왔다. 어드밴텍은 이번 EKI-8510G를 출시하며 CC-Link IE TSN Class A & B 인증을 획득하여 산업 환경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을 증명했다. TSN은 정보기술(IT)과 운영기술(OT)의 통합을 실현하는 산업용 통신기술로, 시간 동기화, 높은 대역폭, 전송 대기시간 단축 등의 이점을 제공해, 적용 시 기존 IT레벨의 이더넷과, OT레벨의 필드버스로 분리된 통신을 하나의 통신으로 통합이 가능하다. EKI-8510G는 TSN 기술을 통해 실시간 통신을 지원하는 차세대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로, 확정적인 시간 안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이더넷 기반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산업용 어플리케이션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EKI-8510G는 모든 네트워크 L2 레이어 관리 기능을 지원하고 철도 선로 사용 EN 5012
지능형, 보안 무선 기술 기업 실리콘랩스는 초소형 폼 팩터의 사물 인터넷(IoT) 기기용으로 설계된 IC 신제품 2종, 블루투스 SoC인 xG27 제품군과 BB50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CU)을 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초소형 IoT 기기용으로 설계된 xG27과 BB50 제품군의 크기는 2mm x 2mm(HB 연필심 너비)부터 5mm x 5mm (표준 HB 연필 너비보다 작음)까지 다양하다. 이는 IoT 기기 설계자에게 우수한 에너지 효율과 고성능, 신뢰할 수 있는 보안성, 그리고 xG27 제품군의 경우 무선 연결 기능까지 제공한다. xG27 SoC 제품군과 BB50 MCU는 연결된 의료 기기, 웨어러블, 자산 모니터링 태그, 스마트 센서, 그리고 전동칫솔이나 장난감과 같은 단순한 가전 기기 등 배터리 구동 방식에 최적화된 초소형 기기에 이상적이다. 매트 존슨 실리콘랩스의 CEO는 "실리콘랩스는 순수한 IoT 리더이며, IoT 기술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깊이 있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어느 반도체 회사의 무선 연결 프로토콜이든 모두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xG27 SoC 및 BB50 MCU는 개발자가 흥미로운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게 지원하며,
NCV-RSL15, 차량 액세스·타이어 모니터링 등을 위한 최신 임베디드 보안 기능과 업계 최저 전력 소비 결합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 기업인 온세미는 블루투스 저전력 연결 기능을 갖춘 초저전력 자동차 등급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 NCV-RSL15를 15일 공개했다. NCV-RSL15는 센서와 차량 내 통신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과도한 케이블링의 무게와 비용을 줄이기 위해 무선 연결을 선호하는 차량 제조업체를 위한 제품이다. 새로운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더 많은 센서 및 공격 벡터로 인해 증가한 보안 문제를 해결한다. 타이어 모니터링 시스템, 기타 센싱 애플리케이션의 센서 및 일반 기능 목록은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전력 소비 예산은 증가하지 않았다. 이와 동시에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10년의 배터리 수명을 요구한다. NCV-RSL15는 업계 최저 전력 보안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로 EEMBC의 인증을 받았다. 이는 독점 스마트 센스 전력 전원을 특징으로, 가능한 한 적은 전력을 사용하도록 설계됐다. 더 많은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은 제품 수명이 증가하는 것을 뜻한다. 미셸 드메이 온세미 산업 솔루션 부문 부사장은 "차량 액세스, TMS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지멘스·어드밴텍 등 에픽 임베디드 9004 시리즈 기반 솔루션 채택 AMD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최고의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는 AMD 에픽 임베디드 9004 시리즈 프로세서를 출시했다. '젠 4(Zen 4)' 아키텍처 기반의 새로운 4세대 에픽 임베디드 프로세서는 클라우드 및 엔터프라이즈 컴퓨팅은 물론, 공장 현장의 산업용 엣지 서버의 임베디드 네트워킹과 보안 및 방화벽, 스토리지 시스템을 위한 기술 및 기능을 제공한다. '젠 4' 5nm 아키텍처를 통해 구현된 이 프로세서는 속도 및 성능 향상은 물론, 전체 시스템 에너지 비용과 TCO를 줄일 수 있다. 전체 제품군은 16개 ~ 96개의 코어 구성과 200W ~ 400W의 TDP(Thermal Design Power) 프로파일을 갖춘 10개의 프로세서 모델로 이루어진다. AMD 에픽 임베디드 9004 시리즈 프로세서의 이러한 다양한 제품 구성은 성능 및 가격 옵션에 따라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자 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OEM 업체들에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AMD 에픽 임베디드 9004 시리즈 프로세서는 전원을 켜고 실행할 때까지 안전한 컴퓨팅 환경을 유지하고, 위협을 최소화하는 향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의 자회사 텔레다인 플리어 한국지사가 모바일 기기용 무선 열화상 카메라인 FLIR ONE Edge Pro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FLIR ONE Edge Pro는 함께 사용할 모바일 기기에 물리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해당 모바일 기기가 사용하는 운영 체제에 따라 별도의 모델을 선택해야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열화상 기술을 이용해 설비를 검사할 때 최대한 유연하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텔레다인 플리어의 마케팅 및 사업 개발 담당 부사장 크리스 베인터는 "FLIR ONE Edge Pro는 손에 편안하게 맞도록 설계된 분리형 폼 팩터 덕분에 가장 활용성이 우수한 첨단 열화상 모바일 카메라"라며 "사용 시에는 연결 포트나 운영 체제가 필요 없기 때문에 니즈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RESNET 관련 규정을 준수하고 IP54 등급 인증까지 받은 FLIR ONE Edge Pro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휴대전화나 태블릿에 카메라를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프링 장착 클립이 적용됐다. 또한 블루투스 및 Wi-Fi가 통합된 연결 기능을 활용할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대 30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Edge Pro를 작동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