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eSignature의 GMP 데이터 무결성 개선 제3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안전한 접속 가능 각종 규제와 절대적 데이터 무결성은 생명과학업계의 거대한 도전으로 남아있다.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코파데이타(COPA-DATA)는 제약 산업에서 IIoT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메이저 릴리스 zenon 10’을 발표했다. zenon 10(제논 10)은 생명과학업계가 처한 각종 규제와 데이터 무결성을 더욱 간편하게 준수할 수 있도록 한다. OT와 IT의 융합 생산 및 에너지 부문의 자동화와 디지털화는 지난 30년 이상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온 COPA-DATA의 DNA가 되어왔다. COPA-DATA 창립자이자 CEO인 Thomas Punzenberger는 “우리는 오늘날 제논을 OT와 IT의 융합으로 본다. zenon 10으로, 우리는 IT에 생산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완벽한 플랫폼을 보유하게 된다, 향후에는 전체 패키지를 풍성하게 할 더 많은 도구와 서비스가 나올 것이다. 그러나 zenon 10은 이미 중요한 모든 블록을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zenon이 제공하는 사용자 편의성은
[헬로티] 탄소섬유는 ‘꿈의 첨단소재’라고 불린다. 원사 안에 탄소가 92% 이상 함유된 섬유로, 철보다 10배 강하지만 무게는 1/4 수준이다. 탄소섬유는 3고(고경량, 고강도, 고탄성)다. 주로 모터스포츠, 스포츠 장비, 방사선과 장비 및 항공·우주 분야에 주로 사용된다. 수소차의 연료탱크를 제조하는 핵심 소재이기도 하다. 차량 외부에 부분 적용된(사이드 미러, 범퍼, 스포일러 등) 포르쉐 911.2 터보 모델 <출처 : adv1wheels.com> ◎ 전세계 탄소섬유 시장 전세계 탄소섬유 시장 규모는 약 15만4000톤. 일본 빅3(도레이, 토호테낙스, 미쓰비시케미컬)이 전세계 시장의 5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도레이(Toray, 일본) - 전세계 탄소섬유 시장 1위 기업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약 28%. 연간 생산량 42,600톤. 토호 테낙스(Toho Tenax, 일본) - 일본 테이진(Teijin)그룹 자회사로 세계시장 점유율 약 12%. 연간 생산량 18,900톤. 미쓰비시케미컬(Mitsubishi Chemical, 일본) - [미쓰비시 레이온]과 [
[헬로티=이동재 기자]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작년 8월 미국의 온라인 게임 로블록스(Roblox)에서 해커들이 시스템을 해킹해 선정적인 이미지와 인종차별적 메시지를 노출하고 게임 캐릭터가 음란행위를 하게 만든 사건이 발생해 공분을 일으켰다. 로블록스는 가상 공간 안에서 정해진 형식 없이 놀이 방식과 규칙을 플레이어 마음대로 설정하고 즐길 수 있는 샌드박스형 게임으로 하루에만 3천만 명 이상이 접속하는데, 그 중 절반이 13세 미만의 미성년자다. 사건 발생 직후, 로블록스 측은 악의적이고 부적절한 콘텐츠를 절대 용납하지 않으며, 안전하고 깨끗한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후에도 비슷한 사례들이 여러 차례 발견되며 아이를 둔 부모들의 불안감을 키웠다. 국내에서도 빅히트의 ‘위버스’, 네이버제트의 ‘제페토’ 등 로블록스처럼 메타버스를 지향하는 플랫폼이 청소년 이용자들로부터 인기를 끌며 빠르게 몸집을 불리고 있는 만큼, 메타버스의 안전성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메타버스, 어디까지 왔나?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Meta(
[헬로티] 화재 진압 현장에서 활약하는 열화상 카메라의 모습. 이제는 결코 생소한 광경이 아니다. 열화상 카메라가 SCBA 장비의 가격을 웃돌던 때도 있을 만큼 기술의 보급이 미흡한 시절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경제적인 가격에 편의성(피스톨 그립 형태의 간편한 사용법)과 강력한 성능으로 무장한 열화상 카메라가 많이 활용되는 추세다. 자욱한 연기를 뚫고 사물을 식별하고, 신속하게 피해자를 수색하고 핫 스팟을 정확히 찾아낼 수 있는 역량 등을 제공하는 열화상 카메라는 능동적인 화재 진압 작전과 수동적인 소방 작전 모두에 필수적인 역할을 해내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는 성능과 기능이 천차만별이다. 상황 인식용 열화상 카메라를 선택할지, 전술용 열화상 카메라를 선택할지는 사람의 생사를 좌우할 수 있는 결정이기 때문에, 반드시 자신의 용도에 알맞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황 인식용 열화상 카메라 공격조 소속으로 탐색, 수색 및 구조 작전에 투입되어, 화재 진압 시에 실제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서 활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황 인식용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해야 한다. 이는 가시성이 좋지 않고 상황이 급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생명선을 놓치
[헬로티] 차량용 커넥티비티 도입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차량용 무선 커넥티비티라고 하면 많은 이들이 단순히 차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떠올린다. 하지만 다양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에반 웨이크필드(Evan Wakefield) TI 블루투스 저에너지 & 차량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TI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제품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은 차 주인과 자동차의 상호작용을 개인화하는 것일 수 있고,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저전력 커넥티비티 작동을 위한 경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고, 열쇠 없이 차를 여는 PaaK(Phone-as-a-key)일 수도 있다. 수년 전부터 TI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은 차 안에서 헤드 유닛,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 텔레매틱스 제어 유닛(TCU), PaaK 같은 다양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널리 사용돼 왔다. 지난 2014년, TI는 CC2541-Q1 디바이스를 출시하고, 이어 2017년에는 CC2640R2F-Q1 디바이스를 출시했으며, 이번에는 CC2642R-Q1 디바이스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352KB의 플래시 공간을 제공하고 Arm Cortex-M4
[헬로티] 최근 물류나 복지․간병 등의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작업 지원 웨어러블 로봇의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운송 업계에서는 인터넷 통신판매 이용의 급증이 일손 부족의 요인 중 하나로 되어 있으며, 복지나 간병의 현장에서는 고령 사회에 의한 수요 증가에 만성적인 일손 부족이 계속되고 있다. 앞으로 더욱 고령화율은 상승해 2065년에는 일본 국민의 약 2.6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현장에서는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이 많아 직업성 요통이 심각한 문제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허리를 서포트하는 기능을 갖춘 웨어러블 로봇이 개발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로봇은 사람 주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높은 안전성과 함께, 사람과의 친화성이 요구된다. 또한, 스트레스 없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연성, 경량성과 함께 착용 방법의 간편화 등도 큰 과제가 된다. 전자 모터를 이용한 로봇은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반면, 고중량, 고강성, 고가 등의 과제가 존재한다. 한편 고무나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엘라스틱 타입은 경량, 유연, 저렴 등의 특징이 있지만, 장착자가 고무나 스프링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고 또
[헬로티] 옛날부터 해온 것처럼 금속 등 딱딱한 소재를 사용해 로봇을 만드는 것과 최근 ‘소프트 로보틱스’로서 주목받고 있듯이 인간처럼 부드럽게 로봇을 만드는 것은 어느 쪽이 정답일까? 최근 로보틱스 분야에서는 생물과 같이 부드러운 로봇을 취급하는 ‘소프트 로보틱스’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로봇은 의료, 간병․복지, 건강관리 등 여러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산업용 로봇과 달리 사람과 접촉했을 때 서로 간에 손상이 적도록 유연한 관절과 피부가 필요하다. 그림 1. SMP의 온도에 따른 강성 변화를 이용한 로봇의 개발 그러나 로봇을 부드럽게 하면 부딪혔을 때의 손상은 작지만,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고 하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움직임의 정도를 높이는 것이 어려워진다. 예를 들면 부드러운 피부라면 대상물이 그 표면에서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피부에 탑재된 촉각 센서 등의 측정 정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단순히 부드럽게 하는 것만으로는 쉽게 손상될 우려도 있고
[헬로티] 회로도 기호는 설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까, 아니면 방해가 될까? 기호가 중요하긴 하지만, 하나의 기호가 여러 가지 의미를 나타낸다면 어떻게 될까? 이는 앞으로 우리가 보게 될 문제들을 야기한다. 해리 홀트(Harry Holt) 스태프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마이크 스크로치(Mike Skroch)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 아나로그디바이스 개요 아날로그 분야에서 삼각형 기호는 연산 증폭기일 수 있고, 비교기일 수 있고, 계측 증폭기일 수도 있다. 이를 기능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그러면 시스템 성능을 극대화하기 어렵다. 이 글에서는 이 기호들이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알아본다. ▲그림1. 연산 증폭기, 계측 증폭기, 비교기 그림1의 삼각형들 중에서 어떤 것이 연산 증폭기이고, 어떤 것이 비교기이며, 어떤 것이 계측 증폭기일까? 정답은 ‘모두 다 같은 것’이다. 그렇다면 차이는 무엇이고, 왜 그 차이를 이해해야 할까? 표1을 보면, 몇몇 특성들이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차이는 회로와 시스템 차원에서 어떤 의미를 나타낼까? 연산 증폭기 비교기 계측 증폭기 피드백 네거티브 없음/포지
[헬로티] OPC는 산업자동화 분야와 자동차, 빌딩 자동화 등과 같은 기타 산업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플랫폼 독립적인 정보교환을 위해 가장 널리 채택된 상호운용성 표준이다. ID, Assembly와 같은 EtherNet/IP(CIP) 객체를 OPC UA 정보 모델에 매핑하면 표준 OPC UA 서비스가 벤더 중립적인 방식으로 EtherNet/IP장치의 객체에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백서는 주로 다음에 초점을 맞추었다. • EtherNet/IP 기기용 OPC UA표준 지원방안-구축 시나리오 • 프로세스 자동화 산업 관련 특정 사용 사례 • 본 문서에 열거된 다양한 OPC UA 정보모델과 위의 사용 사례의 매핑 및 비교 EtherNet/IP 장치를 위한 OPC UA 표준 지원/배포시나리오 OPC UA 서비스를 통한 EtherNet/IP 객체의 액세스는 다음 세 가지 시나리오에서 가능하다. •시나리오 1 : OPC지원 호스트/DCS 시스템(FDT/FDI/PA-DIM) •시나리오 2 : EDS파일을 이용한 EtherNet/IP OPC UA서버 산업 게이트웨이 또는 HMI/산업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에 내장 &bul
[헬로티] 요새는 마음이 참 무겁다. 지방 출장이 많은 필자로서는 저녁에 식사를 하러 식당가를 찾아다니는데, 전국 어디나 폐업이 늘어나고 있어서 코로나 경제가 그러지 않아도 좋지 않았던 한국 경제를 참으로 힘들게 하는 것 같다. 일부 반도체와 자동차 등 수개 회사를 제외하면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더구나 주 52시간 적용으로 인하여, 업체들은 더 작은 기업에 외주를 주자니 품질 비용의 증가는 불 보듯 뻔하고 로봇 자동화 외에는 답이 없다 보니 정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 성공적인 추진 사례와 최근의 트렌드를 이번에 공유하고자 한다. 열경화 소재 사출 및 사상과 검사 공정 로봇을 통한 원가절감 대폭 향상 효과 이 기업은 경기도에 소재한 기업인데, 외국인 인건비도 점점 더 버거워지는 상황이라서 협동로봇 4대로 사상과 검사용으로 활용하고 델타로봇 2대로 포장 공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이 하던 작업을 전부 로봇 자동화를 하였으니 당연히 원가절감은 획기적으로 달성하였고 품질 향상으로 브랜드 제고 효과를 가져왔다. 그 결과에 만족한 이 기업은 2차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검토 중이다. 이 기업은 2세들이 필자의 코칭에 부응하여 적극적으로 참여
[헬로티] 누구나 한 번쯤 자동차 열쇠를 찾기 위해 한 손에 커피잔을 든 채로 다른 한 손으로는 소지품을 뒤져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물류 창고에서 잘못 배치된 제품을 찾는 것 또한 골치 아픈 일이며, 해당 과정에서 자원이 낭비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현재 물류 배송 위치를 수동으로 추적한 후 고객에게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배송 진행 상황을 알리는 것 역시 유쾌한 일은 아니다. ▲우종남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한국 지사장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기업은 혹시 직원들이 재고 또는 자산 위치에 대한 가시성이 없기 때문에 판매나 생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러한 물류 관련 복잡성은 물류 창고에 문제를 야기시키고, 공급망의 모든 영역에 침투할 수 있으며, 의료 산업, 법 집행 분야 등에 위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시성 부족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의 핵심 문제는 이 모든 것이 인간의 실수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기업은 자산에 대한 가시성을 유지함으로써 수익을 개선하는 것을 넘어 생명을 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우리는 현재 차세대 가시성 기술의 선두에 서 있다. 자산 추적, 이제는 필수
[헬로티=서재창 기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이하 TI)가 능동형 전자방해잡음(EMI) 필터를 통합해 전원 솔루션의 크기와 설계비용을 줄이는 DC/DC 벅 컨트롤러 제품군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이 제품군은 올해 4분기에 양산 계획을 앞두고 있다. 전자기술 5월호에서는 해당 제품군에 대한 소개와 기술 배경에 대해 TI 담당자와 진행한 인터뷰를 담아봤다. Q : EMI 감소는 전원 설계 시 제품 성능 개선을 위한 필수 요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EMI에 따라 제품 성능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A : 전자파 간섭(EMI)이 주변 회로의 감도 수준보다 이하로 통제되지 않는다면, 주변 전기 회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EMI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모터 드릴과 동일한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된 라디오를 보여준다. 모터 드릴과 라디오는 하나의 전원 콘센트에 연결돼 있어 전도체를 통해 민감한 라디오 시스템은 모터 드릴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모터 드릴은 공중으로도 전자기 방사선을 통해 라디오의 작동에 영향을 미친다. ▲전도체와 방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 최종 디바이스의 제조업체가 다양한 출처의
[헬로티] 정확한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솔루션으로 UWB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UWB와 블루투스 LE를 결합하면, 탁월한 위치 측정 성능은 물론, 블루투스 LE의 저전력 특성에 가까운 낮은 전력소모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기고 최수철 노르딕 세미컨덕터 코리아 지사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UWB, 정밀 위치 확인의 핵심 기술 전 세계를 위협하는 코로나 19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실시간 위치 서비스, 즉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기술은 초기 개발 단계에 불과했다. 또한, 3차원으로 위치를 확인하고, 보고하는 장치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의 방향 탐지 기능과 같은 무선 기술도 한창 개발 중이었다. 실제로 RTLS 시장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물류 회사들이 거대한 창고에 보관된 물건을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도로 위치를 즉시 확인하고 보고할 수 있다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위치확인 서비스는 크게 확산되지 못했다. 이전의 위기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은 혁신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바
[헬로티] 2020년 일본 공작기계 시장은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표면적으로는 코로나19에 따른 수주 감소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이전부터 하락 곡선은 이어져오고 있었다. 다행인 것은 2020년 5월부터 하락 곡선이 최저점을 찍고 상승으로 각을 꺾었다는 것이다. 2021년 4월 현재까지 그 상승각은 유지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일본 공작기계 시장의 2020년과 2021년을 살펴본다. 2020년, 1조 엔 달성 실패 JMTBA(일본공작기계공업회, Japan Machine Tool Builders’ Association)에 따르면, 2020년 총 수주량은 9,018억 엔으로, 전년대비 26.7% 하락했다. 2년 연속 하락과 동시 10년 만에 1조 엔 달성에 실패한 해이다. 내수 수주는 3,245억 엔으로 전년대비 34.2% 감소했고, 수출 수주는 5,774억 엔으로 21.6% 감소했다. JMTBA측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과 중국 경제 불황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무엇보다 코로나19(COVID-19)의 감염 확산이 하락세를 부추겼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로 수출 수주는 물론 내수 수주 또한 하락세를 겪었다. ▼ 일본 공작기계 수주 현
[헬로티] 역설계(Reverse Engineering)란,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 형상을 스캐닝(Scanning)하여 디지털화된 데이터 형상을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델링을 재구성하는 프로세스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역설계를 활용하려는 이유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기성품의 업그레이드, 도면 분실로 인한 데이터 유실, 소모품 수급의 단종/어려움으로 인한 제작 등이 있다 . 보통 자체적인 개발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기 어려울 경우, 기성품을 기반으로 보다 업그레이드된 기능을 더해 개선된 제품으로 개발하고자 사용한다. 또한 도면 유실로 인해 제반 데이터가 없거나, 사용 중에 파손된 부품을 다시 제작하기 위해 3D 스캐너를 통해 제품 표면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3D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면 기존 제품과 동일하게 설계가 가능하다. ZWSOFT社의 한국 벤더사인 지더블유캐드코리는 All in one CAD/CAM 소프트웨어인 ZW3D를 통해 STL 데이터를 정제하고, 역설계 방식의 하나인 파라메트릭 프로세스 기반으로 사용자가 빠르게 치수화된 3D 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역설계 프로세스를 지원하지만, ZW3D의 가장 큰 특징은 솔리드-서피스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