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기아, 한국닛산, 현대자동차, 포르쉐코리아, 한국토요타자동차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32개 차종 156,740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 한다고 밝혔다. 기아 쏘렌토 139,478대는 전자제어 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에 따라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되어 7월 15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한국닛산 Q50 2.2d 등 8개 차종 8,802대는 프로펠러 샤프트 제조 불량으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되어 7월 17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현대 일렉시티 등 2개 차종 2,887대는 인슐레이터 내구성 부족에 따라 차량이 멈출 가능성이 확인되어 7월 10일부터 시정조치를 진행하고 있고, GV70 2,782대는 엔진 점화장치 연결 볼트 제조 불량으로 7월 18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포르쉐 911 카레라 4 GTS 카브리올레 등 17개 차종 2,054대는 차선 유지 기능 작동 중 운전자에게 시각 신호를 알리지 못하는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7월 17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토요타 프리우스 2WD 등 3개 차종 737대는 뒷문 외부 개폐 손잡이 제조 불량으로 주행 중 뒷문이 열릴 가능성이 확인되어 7
무협, ‘모디 총리 3연임과 對인도 투자진출 진단’ 보고서 발간 인도 모디 총리의 3연임으로 현재 인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친(親)시장경제 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인도가 중국을 대체하는 글로벌 생산기지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9일 발표한 ‘모디 총리 3연임과 對인도 투자진출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탈중국 현상으로 글로벌가치사슬(GVC) 내 중국의 후방참여율 확대가 더딘 가운데 인도가 이를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방참여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글로벌 가치사슬 내에서 해외 중간재 수입 후 수출품을 생산하는 비중이 늘어난다는 의미이다. 후방참여율 추이는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2022년 기준 인도의 GVC 후방참여율은 23.1%로 모디 총리가 집권한 2014년 20.5%와 비교해 2.6%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방참여율 증가는 0.4%p에 그쳤다. 반면 중국은 중간재 자급률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전방참여율이 2.4%p 증가하는 동안 후방참여율은 1.4%p 상승에 그쳤다. 글로벌 공급망 급변 속에서 인도와 중국의 역할 변화를 짐작할 수 있는
VDC 리서치 보고서, RAIN RFID 태그 출하량 2028년까지 1,150억 개 도달 예상 최근 RAIN 얼라이언스와 VDC 리서치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RAIN RFID 기술의 산업 적용과 제품 다양화로 인해 업계가 연간 2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보고서는 향후 매년 수조 개의 RAIN RFID 태그 판매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UHF RAIN RFID 칩 출하량은 2028년까지 연평균 20.4%씩 증가하여 1,150억 개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RFID 인레이 시장의 가치는 2023년 16억 달러에서 2028년 3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RAIN 얼라이언스의 사장 겸 CEO인 에일린 라이언은 "RFID 기술의 적용과 채택이 다양한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소매업뿐만 아니라 제조, 자동화, 제약, 의료 등에서도 RFID 태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타이어 태깅 분야에서는 연간 약 20억 개의 태그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 가능성 목표, 성장의 핵심 원동력 라이언은 "지속 가능성 목표는 RAIN RFID 채택과 투자 증가의 핵심 촉매제였
정부는 7월 10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인프라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작년에 발표된 '이차전지 전주기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23.12)'의 후속 조치로,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통상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용 후 배터리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정부는 '가칭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육성 및 공급망 안정화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하, '통합법안')' 입법을 추진하여 통합적·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통합법안에는 배터리 전주기 이력 관리 시스템, 재생 원료 인증제, 전기차 배터리 탈거 전 성능평가 등 주요 제도가 포함될 예정이다. 또한, 관계 부처 협업이 필요한 주요 사항을 심의·조정하기 위한 정책위원회를 신설하고, 세부 운영 사항은 '친환경산업법', '전자제품등자원순환법', '자동차관리법' 등 관계 부처 소관 개별법 개정과 공동 고시 마련을 통해 규정할 계획이다. '배터리 전주기 이력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제조부터 전기차 운행·폐차, 사용 후 배터리 순환이용까지 전주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민간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배터
국토교통부는 7월 9일부터 서울에서 제14차 한-아세안 교통 협력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는 아세안 10개국의 교통부처 고위 공무원들이 참석해 대중교통 및 물류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주제로 논의할 예정이다. 포럼은 2010년부터 매년 개최되어 왔으며, 아세안 회원국 간의 효율적인 교통체계 구축 및 연계성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는 아세안 회원국의 디지털화 수준을 조사하고 한국의 선진 사례와 비교하는 연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수행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포럼 개회식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한문희 한국철도공사 사장의 환영사, 자나 싼 티란 무나 얌 말레이시아 교통부 사무차관,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의 축사가 이어진다. 공식 세션은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되며, 첫 번째 세션에서는 한국의 대중교통과 물류 서비스 분야 디지털화 우수 사례가 발표될 예정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세션에서는 아세안 각국의 디지털화 사례가 소개되며, 마지막 세션에서는 한-아세안 교통 협력 사업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면서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포럼을 통해 한국의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대중교통 및 물류 서비스 혁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7월 8일(월), 국토교통부,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10개 개인형 이동장치 대여업체, 안전 문화운동 추진중앙협의회와 함께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0개 개인형 이동장치 대여업체는 ㈜더스윙, ㈜지바 이크, 빔 모빌리티 코리아㈜, ㈜올 룰로, ㈜피요 엠피스리 재생기, ㈜데어 코퍼레이션, ㈜알파 모빌리티, 다트 공유㈜, ㈜플라잉, 디귿㈜가 있다. 최근 5년간(2019~2023년)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건수는 매년 증가했고 작년 한 해에만 2,389건의 사고로 24명이 목숨을 잃었다.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는 운전면허가 없는 청소년 이용자가 많고, 안전모 미착용, 2명 이상 탑승 등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아 안전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이에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한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올바른 이용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민·관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기관들은 최고속도 하향, 안전 수칙 위반 집중단속, 이용자 교육 강화, 안전 수칙 홍보 강화를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먼저,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예방을 위해 현행법상 시속 25km인 개인형 이동장
지브라, 2024 제조 비전 연구 결과 발표...AI가 성장 주도할 것 지브라 테크놀로지스(Zebra Technologies)가 2024 제조 비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유럽 제조업체의 54%(전 세계 61%)가 2029년까지 AI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I 도입의 급증은 설문 응답자의 92%가 디지털 전환을 우선순위로 꼽은 것과 함께 제조업체들이 데이터 관리를 개선하고 제조 프로세스 전반의 가시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디지털 전환은 제조업체의 최우선 과제이지만, 이를 달성하는 데는 인건비 및 가용성, 기술 솔루션 확장, 정보 기술과 운영 기술(IT/OT)의 융합 등의 장애물이 산적해 있다. 가시성은 혁신의 첫 번째 단계이며, 제조업체는 AI 및 기타 신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문제와 프로젝트를 식별하고 대응하며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제조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점진적인 효율성을 높여 가장 큰 효과를 조기에 달성할 수 있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의 제조 부문 산업 책임자 엔리케 헤레라(Enrique Herrera)는 "제조업체들은 데이터를
2023년 협동 로봇(코봇) 시장이 11.9% 성장하며 10억 7천만 달러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는 팬데믹 이후 최저 성장률로, 경제 악화와 공급망 문제의 여파를 반영한 결과다. 최근 Interact Analysis가 발표한 '협동 로봇 시장-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협동 로봇 시장 매출은 11.9% 성장한 10억 7천만 달러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긍정적인 수치임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이후 최저 성장률로 기록되었다. 협동 로봇 시장은 2022년과 2024년 사이에 작은 'V자형' 궤적을 보였다. 2020년에 바닥을 찍은 이후, 2021년에는 놀라운 회복세를 보이며 3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2019년 수준을 넘어섰다. 그러나 2022년과 2023년에는 경제 악화와 공급망 문제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되었다. 2023년은 코로나 이후 새로운 성장 저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 바 있었다. 팬데믹은 제조업에서 노동력에 의존하는 방식의 단점을 드러냈고, 이는 자동화 업그레이드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물류 및 서비스 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기에 대비한 기업의 회복력이 높아졌으며, 이러한 변화는 로봇 산업 전체에 장기적으로 긍
3D 프린터를 사용하면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다운타임에 사후 대응적으로 접근하는 대신 교체 및 예비 부품을 만들고, 문제를 계획하고,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 1분 1초가 중요하고 효율성이 핵심인 오늘날의 급변하는 제조 환경에서 예기치 않은 다운타임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는 생산 라인을 갑자기 중단시켜 지연, 재정적 손실, 골칫거리를 야기하는 소리 없는 골칫거리와 같다. 촉박한 마감일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는 식품 가공 공장, 원활한 운영을 위해 노력하는 자동차 공장, 하늘의 안전을 보장하는 항공 우주 회사 등 예기치 않은 다운타임의 영향은 전반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OEM은 여전히 다운타임에 대해 사후 대응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고객의 장비가 고장 나면 서둘러 고치려다가 그 과정에서 고객의 소중한 시간과 비용을 잃게 된다. 솔루션이 있는데 왜 재난을 기다릴까? 기계 부품이 필요한 공장 현장에 3D 프린팅 기술을 통합하여 수익성을 보호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존 생산 공정을 재창조하여 제조업체가 다운타임을 선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후
제조업체 연합 재단, 미국 지멘스와 협력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연구 보고서 발표 제조업체 연합 재단(Manufacturers Alliance Foundation)은 최근 미국 지멘스와 협력하여 제조업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발전을 다룬 연구 보고서, '디지털화의 이득: 디지털 혁신을 통해 앞서나가는 제조업체'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미국 제조업체들이 공급망 최적화, 데이터 분석, 제품 개발 등 전체 가치 흐름을 디지털화하는 데 있어 견고한 진전을 이루었음을 강조한다. 하지만 보고서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보다는 우선순위가 높은 일회성 파일럿 프로젝트에 초점을 맞춘 기업들의 디지털 전략이 이러한 진전을 더디게 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 설문에 참여한 임원들의 약 80%는 이미 디지털화를 통해 공급망 최적화, 제품 계획 및 개발, 생산 효율성, 데이터 분석 및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를 운영 중이거나 구현 중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디지털 혁신 ROI(투자 수익률) 측정의 어려움, 부서 간 연계 부족, 데이터 및 분석의 비효율적 사용이 혁신 여정을 더 빠르게 진행하지 못하는 주요 어려움으로 꼽혔다. 연구는 디지털화 로드맵을 비즈니스 사례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이달 3일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서 ‘부산로봇자동화산업전시회’ 마수걸이 개막 ‘200개사 300부스 규모’ 제조·서비스·물류 로봇부터 로봇 부품, 자동화 HW/SW, 스마트 자동화 솔루션 등 대거 등판 부산국제모빌리티쇼·오토메뉴팩 동시 개최...자동차·이동체 소부장 및 용품 총망라 이 시각 우리 산업 안에는 인공지능(AI)·디지털 트윈·IoT·빅데이터·클라우드·메타버스·증강현실(AR)·확장현실(XR) 등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급부상한 신기술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이 기술들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계·구축되는데, 이를 풀이하면 바야흐로 전 세계적인 디지털 전환(DX) 시대의 대서사시가 시작됐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망기술은 이른바 ‘디지털 공급망’을 활용해 각종 산업 분야에서 활약하는 중이다. 특히 해당 기술을 내재화한 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은 제조·물류·서비스 등 핵심 산업 안에서의 경험치를 지속 축적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는 글로벌 자동화 산업이 각종 혁신 기술을 품는 데 힘입어 오는 2029년까지 시장규모 약 4000억 달러(약 556조 원)에 달하게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이 최근 두 달 연속으로 증가해 전기차 시장의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로 부진했던 수출이 회복 추세에 접어들었을 가능성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2% 감소한 39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방 산업인 전기차 수요 정체가 길어지는 가운데 상반기 이차전지 수출은 한국의 15대 주력 수출 품목 가운데 하나인 철강(-10.2%)과 함께 부진했다. 하지만 월간 흐름을 보면 이차전지 수출은 최근 바닥을 찍고 반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6월 이차전지 수출은 7억4000만 달러로 올해 들어 가장 많았다. 이차전지 수출은 지난 4월 6억1800만 달러로 단기 저점을 형성하고 나서 5월 6억4400만 달러, 6월 7억4000만 달러로 완만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이차전지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5월 1.1%로 떨어졌지만, 6월에는 다시 1.3% 선에 올라섰다. 이차전지 업황이 좋을 때는 전체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에 달했다. 국내 주요 배터리사의 신제품 양산 및 수출 개시, 글로벌 완성차업체
제조기업이 정부 지원사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들의 사업이 어떤 지원 프로그램에 적합한지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해 최적의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AI(인공지능) 도입과 디지털 전환(DX) 전략에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강화하고, AI를 활용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맞춤형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또한 내부 인력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외부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해 AI 도입 초기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특집] 제조기업 리더가 알아야 할 AI 도입과 DX 전략 AI 도입과 DX 전략-① 제조 산업에 불어닥친 '디지털 전환' · 'AI 도입'...政 지원책 파헤치기 AI 도입과 DX 전략-② 정부 지원 사업, 제대로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AI 도입과 DX 전략-③ 스마트 제조업 미래, 답은 빅데이터와 AI 융합 INTERVIEW 바이드뮬러코리아 이승훈 팀장 "美는 노른자 시장"...바이드뮬러, UL 인증 로드맵 제시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품질 검사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돼 왔던 머신비전 및 계측 기술. 4차산업혁명 시대 모든 산업에서 머신비전은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딥러닝 등 AI 기술이 융합되면서 머신비전 및 계측 기술도 한 단계 진화하고 있다. 3D, 스마트카메라, 센서의 진화, 소형화, 임베디드 비전, 로봇 기반 비전, AI 융합 등은 머신비전 분야의 핫 키워드다. 머신비전앤메트롤로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수 기술인 머신비전과 계측 기술에 대한 국내외 최신 산업 트렌드, 신제품과 신기술 등 다채로운 정보를 소개한다. Industry Update 엠비젼, 'Vision Systems Design 2024' 은상 지브라, 커넥티드 팩토리 발전시키는 새로운 솔루션 공개 센소파트, 비전 센서 표준 재정의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출시 LMI, 스마트 3D 동축 라인 공초점 센서 출시 헥사곤, 자사 최초 휴대용 3D 스캐너 출시 Case Study 3D 이미징·AI, 로봇 빈 피킹과 자재 취급 방식 변화에도 영향 Focus 생성형AI로 산업 계측 분야의 혁신 가능할까? Product & Solution 루시드 비전 랩스, Phoenix Dual Extended-Head 카메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현대자동차㈜, 기아㈜, 폭스바겐그룹 코리아㈜, 테슬라코리아(유)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11개 차종 45만 6,977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G80 등 2개 차종 23만 6,518대에서 엔진 시동용 모터 설계 오류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맥스크루즈 등 2개 차종 3만 7,169대는 전자제어 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6월 27일부터 리콜을 시작한다. 또한, 싼타페 HEV 1만 8,397대는 전자식 브레이크 소프트웨어 오류로 원격제어장치 작동 중단 시 차량이 즉시 정지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6월 28일부터 리콜이 진행된다. 기아자동차는 스포티지 15만 7,188대에서 전자제어 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에 따라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7월 3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 폭스바겐코리아는 ID.4, 82kWh 4,886대에서 정보 전자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속도계, 후방카메라 화면 등이 표시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6월 28일부터 시정조치를 시작한다. 테슬라코리아는 모델3 등 4개 차종 2,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