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실무자 대상 '2023 데브옵스 자동화 펄스 리포트' 결과 발표 다이나트레이스는 대기업 데브옵스 및 보안 자동화를 책임지는 450명의 IT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독립적 글로벌 서베이인 '2023 데브옵스 자동화 펄스 리포트'의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데브옵스 자동화에 대한 조직의 투자는 소프트웨어 품질 61% 향상, 배포 실패 57% 감소, IT 비용 55% 절감 등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 기업에서 데브옵스 자동화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데브옵스 자동화에 대한 명확한 전략 부재, 만연한 툴체인의 복잡성, 옵저버빌리티 및 보안 데이터 분석의 어려움 등으로 투자의 효과를 완전히 실현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기업이 비즈니스의 요구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주도형 AI 기반 자동화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향후12개월 동안 기업은 데브옵스 자동화에 투자해서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관리(55%), 인프라스트럭처 프로비저닝 및 관리(52%), 성능 최적화(51%)를 지원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8%의 기업만이 명확하게 정의된 데브옵스 자동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프라이머리 스토리지 부문 리더 선정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2023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프라이머리 스토리지' 평가에서 히타치 밴타라의 'VSP 시리즈'가 리더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끊임없이 진화하는 기업 IT 환경에서 스토리지는 속도와 효율성 외에도 많은 역할이 요구된다. 오늘날 스토리지는 애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과 기존 워크로드에 더 많은 용량을 추가할 수 있는 플랫폼을 통해 탄력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생성형 AI 같은 데이터 집약적 기술과 최신 애플리케이션의 더 나은 통찰력, 자동화,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히타치 밴타라는 VSP(Virtual Storage Platform) 시리즈로 혁신과 고객 중심 솔루션에 대한 오랜 노력을 입증받았다. 특히 100% 데이터 가용성을 보장하고 핵심 애플리케이션과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을 지원하는 VSP 5600은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 활용사례 부문에서 최고 순위, 가상화 활용사례에서는 두번째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VSP 시리즈는 시스템의 전체 수명주기에 걸쳐 온실가스 배출을 크게 줄일 뿐 아니라 AI, 머신러닝, 예측 분석 같은 새로운 기술을 통합해 데이터 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최신 고성능 STM32H5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이용해 구현된 IoT 기기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IoT 허브에 간편하게 연결하는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 ST의 STM32Cube 확장 패키지인 X-CUBE-AZURE-H5는 엣지 기기로 동작하는 고성능 STM32H5 시리즈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및 애플리케이션 예제 세트로 구성돼 있다.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네트워크 구성 및 데이터 게시 등 애저 IoT 허브와 기기-클라우드 간의 안전한 커넥티비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애저 메시지, 메서드(Method), 트윈 업데이트 명령을 처리한다. 또한 이 솔루션은 ST의 임베디드 보안 소프트웨어인 보안 매니저를 이용해 STM32H5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연결한다. 다니엘 콜로나 ST STM32 마케팅 상무는 "최첨단 프로세서 아키텍처와 향상된 보안 기능을 갖춘 ST의 STM32H5는 차세대 IoT 기기를 바로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며 "개발자들은 STM32Cube의 레퍼런스 구현을 통해 애저 IoT 허브에서 제공되는 강력한 서비스를 활용하면서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구현 위한 파이프라인, 보안 방안 등 발표 넷앱이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미국 라스베거스에서 개최된 ‘넷앱 인사이트 2023’에서 혁신적인 포트폴리오를 다수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넷앱은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AI를 위한 데이터 파이프라인에 대한 업데이트와 랜섬웨어로부터 가장 안전한 데이터 스토리지를 비롯해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 넷앱은 자사 솔루션을 통해 고객에게 단순성, 비용 절감, 보안 및 지속 가능성을 지원할 것을 전했다. 넷앱 하브 벨라(Harv Bhela) 최고 제품 책임자(Chief Product Officer)는 “오늘날 기업은 AI의 기회와 랜섬웨어로부터의 위협 두 가지 사이에서 혼란을 겪는다”며 “넷앱은 AI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구성 및 배포를 단순화할 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데이터 자산 전반에서 확장 가능하고 성능 기준에 맞는 새로운 혁신 기술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증가하는 위협으로부터 동일한 데이터를 보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넷앱은 고성능 올 플래시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해 기업이 현대적인 데이터 레이크 환경을 구축하고, AI를 가속화 하도록 지원해 데
인공지능 플랫폼 전문기업 인피닉이 광주광역시와 ‘광주 인공지능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투자협약서 체결은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2023 광주광역시 투자환경설명회에서 인피닉의 박준형 대표, 광주광역시 김광진 문화경제부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인피닉은 이번 협약으로 광주지역 인공지능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AI통합 모니터링 솔루션과 AI 플랫폼 실증 사업을 진행한다. 광주 지역 기반으로 지역내 국방항공, 제조, 공공 서비스 및 자율주행 등 각 산업에 특화해 전개할 예정이다. 특히 인피닉의 해외 파트너사들과의 실증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실증사업에 관한 행정적 서비스와 지역내 인프라 지원을 받아 2024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사를 설립할 예정이다. 인피닉 광주 지사에는 지역 인력을 우선 채용해 일자리 확대와 인공지능 인재 육성에 협력한다. 인피닉은 실증사업을 통해 AI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하이디-에이아이(HEIDI-AI) 등 자사 솔루션과 서비스의 상용화를 앞당긴다는 복안이다. 인피닉 박준형 대표는 “대한민국 대표 AI 중심 도시인 광주와 함께 미국의 실리
IT 업계 네트워크 활용해 퓨리오사AI 국내 시장 진입 지원할 계획 에티버스가 지난 27일 팹리스 스타트업 퓨리오사AI와 독점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 에티버스는 국내 최초로 AI 반도체 양산에 성공한 퓨리오사AI가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마련되도록 고객사 발굴을 적극 지원하며 K-AI 반도체 확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에티버스는 AI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상승하는 국내외 환경을 고려해 퓨리오사AI와의 업무 협약을 적극 추진해왔다.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은 2030년 154조 원까지 팽창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일부 기업이 AI 반도체로 널리 쓰이는 GPU 판매를 독과점하고 있다. 최근 독점적 지위를 보유한 기업에 대항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체 개발한 ‘아테나’를 공개하는 등 글로벌 빅테크들의 움직임이 가파르다. 빅테크뿐 아니라 미국·중국·유럽·일본의 대형 IT 업체도 대안을 물색 중이며,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은 이 시기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회로 여기고 있다. 퓨리오사AI의 최대 강점은 AI 반도체를 설계하는 국내 팹리스 중 유일하게 양산화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퓨리오사AI는 2021년 AI 프로세싱에
데이터 가공 부문 우수 AI 스타트업 선정, 지난해 이어 높은 AI 기술력 인정받아 에이모(AIMMO)가 서울에서 열린 ‘2023 KOREA AI STARTUP 100’에서 데이터 가공 부문 우수 AI 스타트업으로 선정됐다고 지난 27일 밝혔다. 에이모는 지난해에 이어 데이터 가공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아 2년 연속 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KOREA AI STARTUP 100은 대한민국 혁신 생태계를 이끌어갈 AI 스타트업 발굴 프로젝트로, KT와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하고 KT경제경영연구소, 한경AI경제연구소, 한경GEEKS가 주관한다. 국내 최고의 연구 대학인 카이스트와 KT그룹의 Think Tank이자 ICT 전문 연구기관인 KT경제경영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평가 모델을 기반해 우수 AI 스타트업을 선정한다. 오승택 에이모 대표는 “한국을 대표하는 AI 스타트업으로 선정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도 에이모의 기술 경쟁력을 널리 알리는데 앞장서겠다”며 “앞으로는 전 세계를 대표하는 데이터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삼성·SK·마이크론, 고객사 샘플공급 시작…생산능력 투자에 '사활' 인공지능(AI)용 고성능 반도체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차세대 제품인 'HBM3E'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내년 양산 예정인 HBM3E 시장 선점을 둘러싸고 글로벌 메모리 업체 간 샅바싸움이 한창이다. 3대 D램 업체 모두 '참전'…내년 양산 들어갈 듯 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메모리로, 최근 AI 분야에서 수요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1세대 HBM에 이어 2세대 HBM2, 3세대 HBM2E, 4세대 HBM3, 5세대 HBM3E, 6세대 HBM4 순으로 개발된다. 현재 4세대인 HBM3 제품이 양산되고 있다. 글로벌 3대 D램 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모두 5세대인 HBM3E 개발을 완료하고 샘플 공급을 시작하면서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HBM 시장에서 한발 앞선 SK하이닉스는 HBM3E 개발에 성공하고, 검증 절차를 위해 고객사 엔비디아에 샘플을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지난 8월 발표했다. 이번에 개발한 HBM3E는 초당 최대 1.15테라바이트(TB)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한
KT는 타타대우상용차와 출시한 상용차 커넥티드카 설루션 '쎈링크'(XENLINK)'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편의 기능을 강화했다고 29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KT는 AI컨택센터(AICC) 기술을 적용해 쎈링크에 AI 보이스봇을 도입했다. 보이스봇은 애프터서비스(AS) 접수, 보증 기간과 소모품 교체 주기 사전 알림 제공, 서비스 만족도 조사 등에 활용된다. 디지털운행기록(DTG) 제출 의무가 있는 사업자를 위한 '운행 기록 자동 제출 서비스'도 새로 제공한다. 교통안전법상 교통안전공단에 디지털 운행 기록 제출 의무가 있는 사업자로부터 운행 기록 제출 책임을 위탁받아 KT 자체 플랫폼을 통해 차량에서 수집된 운행기록 정보를 공단의 연동 규격에 맞춰 자동 제출하는 방식이다. 이로써 제출 지연에 따른 과태료 부과를 막고, 차주가 직접 자료를 내려받고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KT는 타타대우에 제공하는 쎈링크의 차별화 서비스인 '원격 차량 품질 관리 설루션'(VRM)도 강화했다. 고도화한 설루션은 차량 수집 데이터를 분석해 품질 문제 원인을 추적하고, 부품 사전 수리를 권고하거나 개선 항목을 도출한다. 쎈링크 가입 차주는 정비소에 방
한국산업단지공단은 29일 청년이 찾는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산업단지 환경 개선 펀드 운용 기관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산단공은 정부 투자금을 종잣돈으로 투자 펀드를 우선 조성한 후 노후 산업단지 내 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민간 투자 사업을 발굴해 제시한 자산운용사 5개사가량을 내년 초까지 선정할 계획이다. 2011년 시작된 산업단지 환경 개선 펀드 사업은 노후화된 산업단지의 환경 개선과 신성장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 예산을 마중물로 문화·복지·편의시설 확충 등 혁신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단은 지금까지 반월, 창원, 구미 등 노후 산업단지에서 지식산업센터, 기숙사 및 오피스텔, 호텔, 데이터센터 등 62개 사업과 관련해 정부 예산 1조1천억원을 투입해 7조1천억원의 민간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내년 산업단지 환경 개선 펀드 사업은 산업·문화·여가가 어우러진 청년 친화형 산업단지로의 전환과 관련된 민간 투자 사업에 집중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라고 산단공은 설명했다. 이상훈 이사장은 "산단 환경 개선 펀드 사업은 노후 산단의 혁신에 필요한 마중물로써 산업단지의 디지털화, 친환경화 등 산업단지 혁신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LG유플러스는 회사가 보유한 통신·플랫폼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 역량을 활용해 통신 맞춤형 AI '익시젠'(ixi-GEN)을 개발한다고 29일 밝혔다. 익시젠은 LG유플러스가 지난해 출시한 AI 통합 브랜드 '익시'(ixi)와 생성형 AI(Generative AI)를 결합해 만든 이름으로,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엑사원'의 원천 AI 소스에 기반해 LG유플러스의 통신·플랫폼 데이터를 학습시킨 대형언어모델(LLM)이다. 이로써 LG유플러스는 자사 고객을 위한 통신·플랫폼 서비스에는 익시젠을, 전문가 전용 초거대 AI 서비스에는 엑사원을 각각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익시젠은 일반 범용 LLM과 달리 통신업에 특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회사 측은 내년 상반기 중 익시젠 서비스를 본격 출시하고, 초개인화된 맞춤형 5G 선불 온라인 요금제인 '너겟'과 IPTV 등 고객 서비스와 플랫폼에 챗봇 형태로 적용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익시젠, 엑사원과 함께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와 협력하는 초거대 AI 3대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초거대 AI를 활용해 B2B 사업을 확장하고, 엑사원2.0을 활용해 AI 기반
헥사곤(Hexagon)의 자회사인 레이카 지오시스템즈(Leica Geosystems)는 최근 Leica BLK2GO PULSE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BLK2GO PULSE는 최첨단 LiDAR 센서 기술과 원래 Leica BLK2GO 폼 팩터를 결합한 새로운 일인칭 레이저 스캐너다. 스마트폰으로 제어되는 빠르고 간단하며 직관적인 일인칭 스캐닝 방법을 제공하여 현장에서 즉시 풀 컬러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제공한다. BLK2GO PULSE는 이미지 센서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소니(Sony Semiconductor Solutions)와 공동으로 개발되었다. BLK2GO PULSE는 Sony의 고급 ToF(Time-of-Flight) 이미지 센서와 레이카 지오시스템즈의 검증된 GrandSLAM 기술을 융합하여 세계 최초의 듀얼 ToF 휴대용 스캐너를 만들었다. 2024년 초에 출시될 예정인 BLK2GO PULSE는 BLK2GO 제품군에 새롭고 독특하며 혁신적인 기능이 추가된다. BLK2GO PULSE는 3D 디지털 트윈과 2D 평면도 작성과 같은 실내 응용 분야에 주로 사용됩니다. 추가되는 기능을 살펴보면 일인칭 스캐닝으로, 일인칭 스캐닝 관점에서 캡처한 내용을
KT가 LG전자, 코닝과 함께 6G 주파수 후보 대역별로 동작하는 RIS(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를 개발해 검증했다고 26일 밝혔다. RIS는 투명한 유리나 패널 형태의 전파 반사체를 전파가 통과하기 어려운 건물 내부의 복도나 유리창에 부착해 전파의 도달 범위를 늘리는 기술이다. 전파의 파장 길이를 고려해 설계되므로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조와 소재, 동작 방식이 다르다. KT는 현재 주파수 후보 대역이 논의되는 6G 시대를 대비해 LG전자, 코닝과 서울 서초구 KT 연구개발센터에서 주파수 대역별로 다르게 동작하는 RIS의 성능을 검증했다. 이 과정에서 무선망을 구성하는 표준기술과 장비개발 및 장비 구축 운용 역량 등 각 사가 보유한 전문성과 노하우를 활용했다. 3사는 6G 주파수 후보 대역으로 관심을 받는 FR3 대역의 8GHz, 15GHz 대역과 밀리미터파(mmWave) 대역 등에서 유리, 다이오드, 액정 소재 등 다양한 시료로 제작한 RIS를 검증했다. 무선 통신 품질이 약한 복도와 사무실에서 RIS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 결과, 작게는 4배부터 크게는 60배까지 주파수
자동인식 솔루션 기업 진테크가 바코드 프린터 브랜드 ‘고덱스(GoDEX)’의 산업용 프린터기기인 BP1200i의 총판업체로 발탁됐다. 진테크는 2004년 창립한 자동인식 전문 기업으로서 RF Card System, Barcode System, Auto-ID System 등 정밀 데이터 획득 및 제어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인 기술력을 가진 브랜드들의 총판을 맡고 있으며 자동화 산업에서 고객에게 가장 적합하고, 보다 효율적인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신식 설비를 갖춘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진테크가 총판으로 맡게 된 BP1200i는 튜브와 QR코드, 바코드 출력/제작이 모두 가능한 출력기기로 하프 커팅, 풀 커팅 기능이 옵션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다양한 먹지 컬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차별화돼 있다. 14kg의 본체 무게는 다른 프린터들과 다르게 경량화로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되었다. 튜브 폭은 Min. 10.3mm ~ Max. 70mm까지 가능하며 제조라인, 지하철, 자동차 배선 외 다양한 곳에서 사용된다. 장치 연결에 편리한 USB 포트를 3개 탑재하여 작업 시 용이하다. 고덱스 관계자는 “진테크와 함께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꾸
앤비젼이 극저조도 환경에서도 고해상도 이미질 품질을 제공하는 'KINETIX'를 소개했다. KINETIX는 96%의 Quatum Efficiency와 0.7 e-의 낮은 read 노이즈로 초당 498 프레임의 성능을 내는 고해상도 sCMOS 카메라다. KINETIX는 빠른 속도, 초고감도, 넓은 FOV, 특화된 Cooling 기술을 자랑한다. 8 bit readout mode를 활용하는 KINETIX sCMOS 카메라는 29.4mm 대각선 FOV를 갖췄으며 498 fps, 풀 프레임을 제공하는 초고속 카메라다. 최적화된 라인 시간을 통해 일반적인 sCMOS 대비 뛰어난 성능을 선사하며, 기존 대비 10배 이상 향상된 속도인 초당 5000 메가픽셀 이상을 제공한다. Back-illumination sCMOS 카메라인 KINETIX는 96%의 Quatum Efficiency를 자랑한다. 0.7 e-의 낮은 read 노이즈로 초당 498 프레임의 민감한 sCMOS 카메라다. 또한 넓은 FOV로 한 번에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29.4mm(대각선 기준) 정사각형의 센서는 일반 sCMOS 카메라보다 2.4배 더 넓은 이미징 영역을 갖추고 있어 사용자가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