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세산업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최적의 코팅 공정을 위한 스무디 정량펌프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천세산업은 이번 전시회에서 2차전지 제조의 코팅(Coating)·도핑(Doping) 프로세스를 위한 고정밀·고점도·저맥동 스무디 정량펌프 PDS와 API 675 기준 설계로 석유·화학·플랜트 분야에 특화한 유압 정량펌프 BKH, 그리고 고점도 원료의 이송·소분이 가능한 고점도 드럼펌프인 VDR 등을 선보였다. 지난 1980년에 설립된 천세산업는 다수의 인증 및 특허 취득으로, 국내 정량펌프 시장에서의 선도적 역할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산업의 다양화 및 고도화에 맞춰 정밀·정량 주입이 가능한 다양한 정량펌프를 개발하고 있다. 특히 2차전지 분야에서는 슬롯다이 코터용 정량펌프의 국산화 및 초정밀 정량주입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인터배터리 2025는 제14회 더배터
생고뱅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 출전해 이차전지 특화 각종 건자재를 공개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생고뱅은 프랑스 소재 건자재 제조업체로, 67개국을 거점 삼아 다양한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이차전지 조립 시 활용되는 PU/Sil 소재 압축 패드, 개스킷(Gasket), 양면 테이프, 단열재(Thermal Barrier Material) 등을 소개했다. 구체적으로 EV 배터리용 면압패드 ‘NorSeal PF’ 시리즈, 세라믹 충전 실리콘 엘라스토머 ‘ThermaCool’, 기능성 복합 부자재 ‘TRP5200’,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 잡페어 2025(Battery Job Fair 2025)’를 성황리에 개최하며 미래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섰다. 5일부터 8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배터리 잡페어 2025’는 ‘인터배터리 2025’의 부대 행사로 주요 배터리 및 소재 기업들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전문 채용 박람회다. 이번 잡페어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1:1 멘토링, 기업설명회 등 프로그램을 통해 구직자들과 직접 소통에 나섰다. 1:1 멘토링 프로그램은 LG에너지솔루션 선배들의 생생한 입사 경험과 실질적인 업무 정보를 들을 수 있어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실제 사전 신청 이틀만에 100명이 넘는 정원이 조기 마감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멘토링에 참가한 A씨는 “미래 핵심 산업인 배터리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어 취업 준비중에 있다”며 “실제 현업에서 일하고 선배들의 현실적인 조언을 들을 수 있어 LG에너지솔루션 입사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전했다. ‘Why LG Ensol’이라는 주제로 열린 기업설명회에도 많은 인파가 몰렸다. 5일 진행된 설명회 첫날, 많은 희망자가 몰려 당초 예정되어 있던 300석에서 좌
비앤비테크놀러지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공압 비례 밸브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비앤비테크놀러지는 1995년 창립 이래 압력제어 기술과 공압비례밸브, 공압서보밸브 분야에서 신기술과 신제품을 선보여왔다. 반도체, IT, 자동차 제조 및 부품, 타이어, 식품, 섬유, 시험기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공압비례밸브 및 서보밸브 제품을 국내 특허를 기반으로 높은 정밀도와 반복성을 갖춘 자체 생산 제품으로 확보했다. Electro-Pneumatic Proportion&Servo MECA 기술을 기반으로 솔루션 고도화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 비앤비테크놀러지는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PSV1 공압 비례 밸브는 정밀한 압력 제어와 높은 응답성을 갖춘 자동화 솔루션이다. 아날로그 명령값(010V, 420mA) 및 RS485 통신을 지원하며 출력 압력의 아날로그 및
글로벌 자동화 기술 업체 엔드레스하우저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 부스를 마련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한국엔드레스하우저는 산업 공정 자동화를 위한 제품·솔루션·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업체다. 유량·레벨·압력·유체 분석·온도 측정·데이터 기록·디지털 통신 등과 관련한 포괄적인 솔루션을 다양한 산업에 제공하고 있다. 한국엔드레스하우저는 이번 전시에서 코리올라스 질량 유량계, 레이다 레벨계, 압력 트랜스미터, 온도 센서, 1채널 트랜스미터 등 솔루션이 제시됐다. 코리올리스 질량 유량계 ‘Promass Q’는 활물질, 바인더,
환경부와 경북도, 포항시가 상대적으로 재활용이 어려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재활용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들 3개 기관은 7일 포항시 남구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서 배터리 순환이용체계 구축 업무협약을 맺었다. 기관들은 배터리 재생원료 시장 활성화와 이를 통한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특히 최근 국내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리고 있지만 재활용이 어려운 LFP 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에도 협력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경북도와 포항시가 무상으로 제공한 부지에 환경부가 LFP 배터리 재활용 실증센터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은 미래 전략산업”이라면서 “국내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이 세계를 선도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뉴로클이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 전시장에서 소프트웨어 기반 배터리 품질관리 방법론을 제시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뉴로클은 인공지능(AI) 딥러닝(Deep Learning) 비전 소프트웨어 기술 업체다. 이번 전시장에서는 AI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배터리 검사 소프트웨어를 공개했다. 비전 검사 AI 모델 생성 소프트웨어 ‘뉴로티(Neuro-T)’와 배터리 비전 검사 AI 모델 적용 런타임 라이브러리 ‘뉴로알(Neuro-R)’가 그 주인공이다. 먼저 뉴로티는 배터리 비전 검사에 필요한 고성능 딥러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한국체인모터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자동화솔루션 모토바리오 감속기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한국체인모터는 1989년 설립 이후 전문성을 바탕으로 동력전달 장치와 자동화 핵심 부품을 공급했다. 현재 30여 개의 국내외 브랜드와 협력해 SERVO SYSTEM, 고·저압 전동기, 기어모터, 중·대형 기어박스, BALL SCREW, LINEAR GUIDE, 고·저압 인버터 등 다양한 자동화 부품을 제공하고 있다. 이 부품들은 2차전지 설비, 물류 장비, 수처리 장비, 포장 기계,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이탈리아 모토바리오와 대리점 계약을 맺고 웜 감속기, 헬리컬 감속기, 프리미엄 전동기 등 고품질 제품을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한국체인모터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모토바리오의 헬리컬베벨 감속기는 낮은 백래쉬, 고효율, 고강성, 고토크 성능을
오디에이테크놀로지(이하 오디에이)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 부스를 마련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오디에이테크놀로지는 전력·전자 계측기 분야 기술 업체다. 연구개발(R&D) 컨트롤타워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해 매년 다양한 제품이 탄생하며, 현재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솔루션 등 총 8개 사업 부문에서 자체 기술력을 발휘하고 있다. 올해 전시회에는 두 가지 ‘프로그래머블 DC 파워 서플라이(Programmable DC Power Supply)’ 시리즈를 공개했다. 오디에이 관계자에 따르면, 이 두 제품은 국내 최초 초소형 고성능 및
동일기연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생산 공정에 필요한 EMC 솔루션, ESD 솔루션, 비전검사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EMI/EMC 필터는 EV 충전기 및 ESS BPU의 전자파 노이즈를 제거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된다. 동일기연 EMC 솔루션은 광범위한 전압, 전류, 설치 환경 등에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EMC 부품 라인업을 제공한다. 동일기연이 전시회에서 선보인 정전기 제거 이오나이저 및 센서는 2차 전지 생산 현장의 정전기성 문제를 해결하여 수율을 개선하는 제품이다. 동일기연 ESD 솔루션은 다양한 공정 환경에 설치 가능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오토밸런스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유지보수를 최소화하며 장기간 제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동일기연은 EMI/EMC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신제품에 대한 연구개발, 생산라인 고도화를 통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인덕션 기어드 AC 모터를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브라더 공업의 한국 지사로 프린팅 부문과 기어 모터 부문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인 NISSEI Corporation은 브라더 GTR 제품을 제조·생산하며 기어 모터 사업과 기어 사업으로 구성된 브라더 그룹의 기계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브라더 GTR은 기계·FA 산업에 인덕션 기어 모터, IPM 모터, BLDC-DC 모터, 감속기 및 정밀 기어 제품을 GTR 브랜드로 공급한다.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에너지 효율성과 안정성이 높은 고효율 인덕션 기어드 AC 모터를 선보였다. 해당 솔루션은 CE·UL·CCC 등 국가별 인증을 통합 취득해 글로벌 시장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ISO 9001/14001 인증을 획득한 이
히오키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 출격한다. 이 자리에서 다양한 전기 계측 솔루션을 선보인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히오키는 전기 계측기 전문 제조사다. 대표 제품군으로는 자동 시험 장치, 기록 장치, 전자 측정기, 현장 측정기 등 네 가지다. 여기에 직접적인 연구개발(R&D)부터 설비 기기 유지보수까지 올인원 역량을 갖추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분체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시스템, 배터리 임피던스 미터, 배터리 테스터, 전극 저항 시스템, 파워 아날라이저, 절연 저항 시험기, 초절연계, 직류 전압계, 저항계,
세한이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 전시부스에서 에어 샤프트, 로터리 조인트를 비롯한 다양한 솔루션을 전시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세한은 에어 샤프트와 로터리 조인트를 기반으로, 생산 설비부터 시험 설비까지 품질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세한 제품은 최첨단 맞춤화(Customizing) 기술을 접목해 각종 사양의 에어샤프트 완전 수주 생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로타리 조인트도 수준 높은 품질 관리를 통해 표준화된 제품을 공급하는 중이다. 올해는 강관·알루미늄 등으로 소재가 세분화된 에어 샤프트와 더불어, 볼·베어링 등 형태가 구분된
이스라비젼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생산에 최적화한 검사 시스템 'SMASH'를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이스라비젼이 전시회에서 선보인 SMASH는 메인 라인 공정 최적화뿐 아니라 커팅 라인의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시스템으로, 특히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HDR) 기술을 적용해 기존 검사 시스템에서 놓칠 수 있는 미세 결함까지 안정적으로 탐지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HDR 기술은 픽셀 크기 미만의 초미세 결함까지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며, 특히 홀(hole)과 옅은 반점을 명확하게 구별해 정량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조사는 소재 표면에 나타나는 작은 얼룩이나 홀을 정확히 분류하고 관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소재의 최종 품질과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하게 된다. SMASH의 또 다른 강점은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수율 관리 기능이다. EPROMI
플라스마트리트(Plasmatreat)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서 플라스마 기술을 통한 배터리 모듈 조립 장면을 연출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플라스마트리트는 소재 표면의 전처리를 위한 대기압 플라스마 시스템을 개발·제조하고 있다. 플라스틱·금속·유리·종이 등 각종 소재에 산업용 플라스마 기술을 적용해, 표면의 특성을 공정 요구에 맞게 부여한다. 특히 Openair-Plasma® 기술은 대부분 산업의 자동화 공정에 활용되며, 후속 공정은 접합·도색·인쇄·개스킷팅 등을 다룬다. 인터배터리 부스에서는 Openair-Plasma® 기술을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