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 확산 시트 ‘Smart Sheet’ 케이앤씨엘이디 TEL : 031-776-4200 / www.kncled.com ‘Smart Sheet’는 V-커팅을 하지 않은 아크릴판에 스마트 시트(Smart Sheet)를 부착시킴으로써 빛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일으켜 빛을 발산하는 광 확산 시트이다. 작업 공정이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절약되며 V-커팅 장비가 필요 없고, 조도 또한 V-커팅 방식보다 50%(중앙부 기준) 이상 밝다. 높은 조도는 사용 용도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특히 광고용 패널 등에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광판의 아크릴 두께와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얇은 도광판일수록 제품의 진가를 발휘하고, 특히 라운드 곡선 처리가 가능하여 기둥에 사용이 용이해 목적물의 완성도를 높여준다. 필름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 제품의 조건보다 비용 또한 저렴하여 시장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광속구(Lamp Measurement System) 제이앤씨테크 TEL : 031-205-9732 / www.jnctech.co.kr 광속구(Lamp Measurement System)는 각종 램프의 광속과 분광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설비이다. 국내 유수의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사이즈는 4", 12", 40", 60", 80"가 공급되고 있으며, 그 밖의 커스텀 사이즈도 공급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LED 패키지, 조명의 광속, 광도, 휘도, 조도, 연색성, 평판 디스플레이의 휘도, 색도, 균일도 측정장치가 있으며 광원 분석용의 적분구, 배광시험기 및 투과반사 특성분석용 장비를 출품한다. 또 LED 광학 특성의 온도 및 펄스 구동 의존성 평가 장비와 삼차원 시야각, 산란 반사투과, 지향각 특성 평가장비를 개발 특허 출원 중에 있다. 최근에는 플리커와 전원효율 문제가 해결된 AC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를 개발 및 관련 특허 출원을 완료하기도 했다.
LED Outdoor Light 재진가로등 TEL : 054-956-5600 / www.jaejin.co.kr 차별화된 디자인의 LED 공원등 및 LED 가로등 기구, LED 투광등 기구 제품. 재진가로등(주)의 대표적인 공원등인 J-660-1-5, J-950-1-5, J-976-1-5은 60~120W의 제품으로 고효율 반사판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조도 및 배광을 가지고 있다. 외관 또한 차별화된 모던한 디자인으로 설계돼 호평을 얻고 있다. JH-004-1은 대표적인 LED 150W 가로등 기구로 고효율 반사 갓을 사용하여 높은 광량과 배광을 가지며 공랭식 방열 구조로 방열이 뛰어나다. 회사에서 최근 선보인 LED 120W 투광등 기구 ‘JH-TKB-L120’은 렌즈와 고효율 반사갓을 동시에 사용하여 높은 광량과 배광을 자랑한다.
백라이트용&조명용 LED, 커스텀 모듈 일진LED www.iljin-led.co.kr 일진LED는 이번 행사를 통해 백라이트용 LED, 조명용 LED, 자동차 LED, 모바일 플래시 LED, 사인 LED, 경관 조명 등 다양한 LED 제품을 공개한다. 이 중에서도 InGaN LED 칩은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발광층)를 금속 유기화학 증착기(MOCVD)로 사파이어 기판 위에 성장시켜 에피 웨이퍼를 만든 후, 용도에 따라 설계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일진그룹은 사파이어 웨이퍼를 만드는 일진 디스플레이에서 조명 완제품을 만드는 루미리치까지 LED 산업의 수직 계열화를 완성했다”며 “에피와 칩, 패키징과 모듈 생산을 일원화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LED용 봉지재&투명 폴리이미드 우림켐텍 TEL : 051-831-8712 / www.wrchem.co.kr LED 봉지재(Encapsulnat)는 대만 Eternal사의 제품으로 메틸(Methyl) 타입과 페닐(Phenyl) 타입의 실리콘 봉지재로 나뉜다. 저굴절 제품인 메틸 봉지재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고굴절 제품인 페닐 봉지재는 가스 내 흡습성에서 우수한 장점을 보인다. 특히 COB(Chip On Board)용 DAM 소재로 사용되는 봉지재는 LED 시장의 발전과 함께 확대,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Eternal의 뛰어난 기술력이 집약된 고투명 폴리이미드(Polyimide)는 차세대 강화 유리 대체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원료로 부상하고 있다. 또 스마트폰의 발전과 함께 터치 패널의 유리 대체품으로 적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PSPI(Photo-Sensitive Polyimide) 드라이 필름은 반도체 생산 공정(플립칩 공정)에서 Passivation Layer에 접목해서 칩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LED 경관 조명 ‘횃불등’ 오픈테크놀러지 TEL : 062-974-0052 / www.okopen.com 디지털 시대의 상징인 LED를 이용하여 감성적이고 자연적인 빛을 추구하는 LED 경관 조명 ‘횃불등’. 횃불등은 옥내외의 경관 조명을 담당하며 기존의 LED가 갖고 있는 디밍(Dimming) 기술, 조명 테라피(Therapy) 기술 등을 보유하는 동시에 이 회사의 특허기술(OTN)을 적용한 새로운 개념의 경관 조명이다. OTN은 Open The Nature의 약자로, 기존의 단순 광색 가변의 LED 조명 연출이 아닌, 실제로 불이 타는 듯 한 모습의 횃불 등 자연광 콘텐츠를 조명에 연출하는 기술로, 회사의 OTN 기술로 아날로그적 감성을 자극하는 동시에 옥외 경관의 새로운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다. 공원 및 천변 산책로 등에 설치할 수 있는 경관 조명 겸용 횃불 보행등은 공원을 밝히고 길을 안내해 야간 산책 시 안전한 산책을 유도한다.
컨버터 내장형 LED 형광등 영일프레시젼 TEL : 02-805-9682 / www.youngyiel.co.kr 컨버터 내장형 LED 형광등은 기존 형광등 기구에 바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설치가 간편하다. 진동을 방지한 LED 바는 진동이 심한 장비 등에 장착하여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검사 및 장비 등의 상태 점검이 용이하며, 각 모듈이 커넥트 핀으로 연결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LED가 훼손된 경우에 쉽게 교체할 수 있다. 함께 선보이는 LED 방열 재료는 시트 타입, 겔 타입 그리고 구리스 타입이 있다. 시트 타입에는 실리콘계와 비실리콘계 물질로 나뉘며 실리콘계 방열 시트는 열적 안정성과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며 여러 색상의 시트 제조가 가능하다.
LED 조명용 파워서플라이 에이스파워코리아 TEL : 02-472-5789 / www.acepower.kr 실내조명용 AWAD 시리즈는 15W부터 60W까지의 다양한 사양으로 KC, PSE, CE 인증을 취득하였다. 특히 PWM 방식의 조광 기능(디밍)은 일본에서도 만족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실외조명용 AWAD 시리즈는 60W부터 240W까지의 다양한 사양으로 KC, PSE, CE 인증을 취득하였고 현재 UL인증도 진행 중이다. With Dimming과 Non Dimming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 With Dimming의 경우 3 in 1(PWM, 전압 조절, 저항 조절)의 방식으로 디밍이 가능하다. 두 시리즈 모두 장시간의 수명과 높은 효율을 자랑하면서도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경쟁력이 높다.
소켓형 고출력 공장등 아이스파이프 TEL : 02-861-0010 / www.icepipeled.com 아이스파이프의 신제품 ‘CR2000 시리즈’는 100~200와트의 고출력에 기존 소켓에 돌려서 꼽을 수 있도록 가볍게 만든 것이 특징이다.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했던 것은 FDP(Fluid Dynamic Pressure : 유체 동압) 기술을 적용한 ICEPIPE 히트싱크에 있다. ICEPIPE 히트싱크는 열전달 속도가 알루미늄보다 200배나 빠르고, 무게가 기존 히트싱크의 4분 1에 불과하지만 방열효과는 오히려 20% 정도 더 우수하다. 아이스파이프는 이 기술을 적용한 LED 조명 제품으로 정부의 NEP(신기술 제품 인증)를 받았고, 2011년 12월에는 지식경제부가 선정하는 ‘세계일류상품’에 뽑히기도 했다. 또 설치와 시공이 간편하고 안전하며 확산판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눈부심을 줄일 수 있고, 매립등 기구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초고속 색차계 & 휘도계 배가 TEL : 031-254-9279 / www.begatek.com 3자극치 방식의 측색기 ‘BG7000 Colorimeter’는 16비트 resolution, 컬러 측정 5,500회/초, 휘도 측정 18,000회/초가 가능하며, 온도 보상에 따른 측정을 구현하여 장시간 측정해도 측정에 대한 오차가 매우 작은 것이 장점이다. 장시간의 안정성으로 교정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초고속, 고정밀 양산 라인에 적합하다. 저휘도 측정이 필요하면 Brontes-LL 모델을 이용하여 0.01nit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BG7000 Colorimeter는 빠르고 미세하게 변하는 광원도 문제없이 계측해 낼 수 있다. 그리고 번들로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만으로도 매우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데, 단색광 계측부터 감마, 색온도, 응답 속도 등 디스플레이 관련 개발이나 품질 테스트에 편리하게 응용할 수 있다.
LED 패키지용 생산장비 말콤 TEL : 02-707-2861 / www.malcom.co.jp SY-시리즈는 실린지 상태에서 완벽한 교반/탈포가 가능한 제품이다. 자체 개발한 공전/자전각 가변형 원리를 사용한 교반으로 기존 봉지재 교반/탈포 시 사용된 공전/자전 방식에서 발생되었던 재료의 뭉침, 물결무늬, 온도 상승 현상이 없어졌으며, 디스펜싱 전 기존 컵에서 배합 → 교반/탈포 → 실린지 주입 → 디스펜서 장착의 공정이 배합 → 교반/탈포 → 디스펜서 장착으로 단축되면서 컵에서 실린지로 주입하며 발생되는 기포 발생, 잔류 재료에 의한 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형광체, 실리콘 등의 재료를 자동으로 배합하는 SAP-시리즈는 분체 토출 정밀도 ±0.3mg, 액체 토출 정밀도 ±1.0mg의 고정밀도를 실현했다.
원격 승하강 조명 ‘승강 LED 200W’ 릴테크 TEL : 061-723-1113 / www.reeltech.co.kr 안전성과 에너지 절약 효과를 모두 갖춘 원격 승하강 조명 ‘승강 LED 200W’는 높은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의 전구 교환과 청소를 위해 직접 올라가지 않고도 무선 리모컨(RCU)으로 조정되는 승하강 장치에 200W LED를 접목시켜 안전한 유지·보수를 가능케 한다. 리모컨으로 점등 및 소등, 단계별 디밍(조도 조절)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는 신개념의 LED 조명이다. 또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한 절전 기능은 메탈 400W 대비 최대 80%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리모컨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전등은 개별·그룹단위로 컨트롤 할 수 있어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LED 고천장등 동광라이팅 TEL : 02-3662-9603 / www.dong-kwang.co.kr 동광라이팅의 고효율 LED 고천장등 DK- FD080A 및 DK-FD060은 공장, 창고, 물류센터와 같은 작업 공간뿐만 아니라 마트, 쇼핑몰과 같은 시각적인 요소의 고려가 필요한 장소에서도 기존 인테리어와 조화 가능한 디자인으로 설계된 제품이다. 2종 모두 100lm/w 이상의 높은 광 효율을 보이며, 80W급인 DK- FD080A은 8,400lm, 60W급인 DK-FD080A은 6,600lm 이상의 밝기를 제공한다. 또 제품 경량화에 성공하여 SMPS를 포함한 상태에서도 무게를 2kg로 낮추었다.
안정기 호환형 LED 튜브 금호전기 TEL : 02-707-4000 / www.khe.co.kr 안정기 호환형 LED 튜브는 기존 T8 형광램프 대비 약 34%의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수은이 없어 친환경적이다. 방열 일체형 구조로 발열을 최소화했으며, 형광등을 갈아 끼우는 방식과 동일하게 LED 램프를 형광등용 등기구에 간단히 끼워 사용한다. 따라서 AC 직결형이나 컨버터 외장형 LED 튜브처럼 형광램프를 LED 램프로 교체할 때 발생하는 추가 비용과 불편한 별도의 작업이 없어 경제성과 편리성에서 월등하다. 최근에는 이 제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안정기 교체나 별도의 공사 없이 바로 LED 튜브로 바꿔 사용할 수 있는 회로기술’이 미국 특허를 취득해 LED 튜브 시장점유율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더블 배선 공사의 실제와 사례 지난 회에는 회선 전체 또는 공장 전체에서 기설 저압 CVT 케이블의 더블 배선화로 어느 정도의 에너지 절약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번에는 더블 배선 공사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고 대규모 전선 공장의 2개의 케이블을 대상으로 더블 배선 공사를 한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더블 배선 공사를 전후로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통전손실을 계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하의 소비전력량에 대한 통전손실의 저감량 비율, 즉 에너지 절약률에 대해 검증했다. 마스오 카즈히코(益尾 和彦) 일본전선공업회, 무라마츠 요시타카(村松 佳孝) 전선종합기술센터 카와타 타카유키(川田 隆之) 쿠리하라공업, 하라 타케히사(原 武久) 간사이대학 더블 배선 공사의 기본적 개념 (1) 내선규정 1335-9 ‘전선의 병렬 사용’(권고)에 따라 기설 케이블과 추가 케이블은 동일한 도체, 동일한 사이즈, 동일한 길이로 한다. 또 동극의 각 전선의 터미널 러그는 동일한 도체에 2개 이상의 리벳 또는 2개 이상의 나사를 이용해 느슨해지지 않도록 확실히 접속한다(그림 1과 사진 1 참조). (2) 추가 케이블은 기설 케이블과 동일한 루트에 부설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