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12일(현지시간)부터 3일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의 디스플레이 전시회인 인포콤 2013(InfoComm 2013)에 참가해 최첨단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탐험하라.창조하라.참여하라(Discover.Create.Engage)'를 주제로 새로운 비디오월 솔루션인 '매직인포 비디오월S'를 최초 공개하고 교육용 디스플레이 솔루션과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 플랫폼(SSSP)이 적용된 2013년형 상업용 디스플레이(LFD)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하는 '매직인포 비디오월 S'는 최대 16대의 LFD를 연결해 TV, PC, HDMI 등 여러 형태의 영상 소스를 재생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이다. 특히, '스케줄 플레이' 기능을 통해 여러 가지 영상 소스를 동시에 재생하거나 시간에 맞춰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어 시간대 별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매직인포 비디오월S는 자체 OS를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 플랫폼'이 탑재된 삼성전자 LFD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재생을 위한 별도의 미디어 플레이어가 필요없어 추가 장비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
CSR이 오토모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최초로 AEC-Q100 인증의 싱글 모드 블루투스 스마트(single mode Bluetooth® Smart) IC인 CSR1010™ Auto를 출시했다. 해당 기기는 완벽한 블루투스 4.0 기반의 엔드-투-엔드 솔루션의 일환으로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대체하는 용도 및 향후 새롭게 등장하는 차량용 무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된다. 또한, 스마트폰 및 다양한 휴대 기기와 자동차의 통합을 향상시켜 일반 소비자들에게 보다 폭넓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CSR1010 Auto는 CSR μEuregyⓇ 제품군의 일환으로 블루투스 4.0을 완벽히 적용한 기기이다. 해당 칩셋은 저전력을 소비하는 제품으로 설계되었고 전체적인 시스템 비용 또한 저렴하다. 이 외에도 저전력 애플리케이션 CPU, 하드웨어 MAC 구조 및 PMIC를 내장하여 코인 셀 및 AA, AAA 배터리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칩셋은 128bit-AES 암호화 엔진, 12개의 GPIOs, 3개의 AIOs, On-chip Balun, 펄스폭변조(PWM) 컨트롤러, EEPROM 또는 serial-Flash 연결 인터페이스 등을
일반적으로 ‘용접’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열과 소음을 동반하는 용접 장치의 불꽃을 떠올리면서 용접 작업장의 환경이 열기와 냄새 때문에 좋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고온의 불꽃으로 금속을 녹이는 일반 용접과는 달리 소리의 일종인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하여 금속이나 플라스틱을 접합하는 ‘초음파 용접’은 불꽃이나 연기의 발생이 없는 용접으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용접 중에서 가장 깨끗한 용접 기술이다. 초음파 용접은 일반 전기를 고주파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 후에 이를 다시 진동자를 이용하여 기계적 진동으로 바꾸고, 그 진동의 폭을 증폭하여 발생된 초음파 에너지를 용접 대상물에 전달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마찰 열을 발생시켜 대상물을 접합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초음파 용접은 일반적인 용접과는 달리 땜납과 같은 솔더(solder,접합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낮은 온도에서 접합하는 방법으로, 접합 속도가 매우 빠를 뿐만 아니라 연기나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용접 방법이다. 또한 초음파 용접은 일반적인 용접 기술로는 접합하기 어려운 얇은 박판이나 가는 와이어의 접합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 접합에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신기술융합형성장동력사업의 지원을 받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질량힘센터 박연규 박사팀이 가상현실의 느낌을 실재감 있게 전달해 줄 수 있는 복합 촉각 마우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마우스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컴퓨터에서 보여지는 3D 가상현실의 촉감 정보를 실제와 유사하게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나타나는 호수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면 마치 손을 댄 듯이 호수의 차갑고 출렁거리는 고유한 촉감이 마우스를 통해 전달되는 것이다. 이는 연구팀이 개발한 복합 촉각 제시장치로 실현되었다. 장치는 가상현실의 표면 거칠기, 마찰력, 온도, 강도 등 복합적인 촉각정보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사용자가 터치하는 판에 미세한 고속 진동을 전달하여 해당 물체의 마찰력을 구현하고, 장치 내에 있는 극소형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힘과 주파수를 달리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구현했다. 또한 물체의 단단한 정도인 강도는 장치 내에 있는 유체의 점성을 조절하여 나타냈고, 쿨링모듈을 통해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구현했다. ▲ 복합 촉각 마우스 구조 개념도 MIT, Purdue Univers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저압 MCC에서 제공했던 EtherNet/IP 지원 기능을 고압 Allen-Bradley CENTERLINE MCC(모터 제어 센터)에 포트폴리오까지 확대했다. 이 통합 EtherNet/IP 네트워크의 기능을 통해 제조업체는 공장 전반에 걸쳐 생산 및 에너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프리미어 통합을 통해 간소화된 장치 프로그래밍을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의 고압 MCC제품 매니저인 김정황 부장은 “저압 MC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EtherNet/IP 통합을 통해 고객은 상세한 생산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공장 엔지니어가 쉽게 잠재적인 문제를 예상하고 장비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더넷 연결을 통해 고압 CENTERLINE MCC(CENTERLINE 1500 모터 컨트롤러(NEMA 타입)/OneGear 7.2 kV 모터 컨트롤러(IEC타입)) 사용자는 원격으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공장 직원 및 엔지니어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태 및 전원 기기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MCC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진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공장 어디에서든
다쏘시스템코리아가 솔리드웍스 교육용 총판업체인 웹스데이타시스템과 함께 전국 고등학생 및 대학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솔리드웍스 디자인 콘테스트 2013’을 개최한다. 이번 콘테스트는 자유 주제로 진행되며, 3D CAD프로그램인 솔리드웍스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것이 해당된다. 신청 및 접수는 온라인으로 7월 29일까지 가능하며, 대회 신청자 중 선착순 1,000명에게는 솔리드웍스를 3개월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SEK(SolidWorks Education Kit)를 제공한다. 최종 당선자는 8월 19일 다쏘시스템코리아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며, 시상식은 8월 27일 웹스데이타시스템 본사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솔리드웍스코리아 특별상 수상자에게는 내년 1월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 미국 샌디에고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솔리드웍스월드 2014 글로벌 컨퍼런스’에 참가할 수 있도록 참가비 등 400만원 상당의 시상품을 제공한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PlantPAx 시스템을 통해 가상화 템플릿과 마이그레이션 툴을 제공한다. 제조업체는 이 PlantPAx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의 가상 이미지 템플릿과 노후화된 제품을 위한 마이그레이션 툴 활용을 통해 검증 및 엔지니어링 비용을 줄이고 제품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PlantPAx 가상 이미지 템플릿은 EWS(Engineering Workstation), OWS(Operator Workstation), PASS(Process Automation System Server)로 3종류가 있다. EWS는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PlantPAx 시스템의 제어 및 시각화를 완벽하게 구성, PlantPAx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 및 가상화 요소를 제대로 구성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모두 들어 있다. OWS는 프로세스 시각화 및 제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로 구성, 프로세스 가상화와 제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돼 있다. PASS는 PlantPAx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 전체에서 데이터가 한 곳에서 관리되도록 복수의 컴퓨터에 중앙 집중식 이름 분석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와 HMI, 알람 서버 기능도 갖추고 있다. 로크웰의
LG전자가 국내 세탁기 최초로 NFC 기능을 탑재한 ‘트롬’ 스마트 세탁기(모델명 : FR4349MAFZ)를 출시한다. 이 제품은 NFC 기술을 이용해 간단한 터치만으로 새로운 맞춤형 세탁코스를 다운로드 받고 세탁기 동작 상태도 진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에서 원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한 후 스마트폰을 세탁기 NFC 태그에 대면 즉시 신규 코스를 내려받을 수 있게 된 것. 이를 통해 제품에 탑재된 기본 12가지 세탁 코스 외에 탈수전용, 아기옷, 조용조용, 컬러케어, 에어클리닝, 헹굼탈수 등 총 6가지의 신규 코스를 추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기가 있는 집에서는 아기옷 코스로 세심한 옷감 관리가 가능하다. LG전자는 새로운 맞춤형 세탁코스를 지속적으로 신규 개발해 소비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신제품은 원터치 스마트 진단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제품의NFC 태그에 스마트폰을 대면 2-3초 내에 바로 제품의 오동작 여부 진단이 가능하다. 오동작 진단시 필요한 조치사항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간단한 오동작은 별도로 서비스 센터에 전화하거나 서비스 기사를 부를 필요 없이 고객 스스로 조치 가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는 9V~72V의 시스템에 적합한 이상적인 다이오드 브리지 컨트롤러(제품명 : LT4320)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전파 정류용 브리지 회로에서 4개의 다이오드를 저 손실 N채널 MOSFET으로 교체하여 전력 소비를 상당히 감소시키고 사용 가능한 전압을 증가시킨다. 향상된 전력 효율로 큰 히트싱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전원 공급장치의 크기가 감소된다. 저전압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이오드 브리지에 원래 있었던 2개의 다이오드 드롭을 절약함으로써 이를 통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전압 마진의 이점을 누리게 된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대안 방식과 비교하면, MOSFET 브리지는 공간 및 전력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정류기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컨트롤러는 DC~600Hz 범위에서 동작한다. LT4320 의 스위치 제어는 2개의 MOSFET을 서서히 턴온시키고, 다른 2개를 턴 오프 하여 역 전류를 방지한다. 내장된 차지(charge) 펌프회로는 외장형 로우 온저항 N채널 MOSFET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공해 외부 커패시터가 필요하지 않다. MOSFET의 선택은 1W에서 수천 와트에 이르는 전력 레벨에서 최대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LT
온세미컨덕터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신제품 MOSFET 소자를 출시했다. 리튬이온(Li-ion) 배터리 충전/방전 보호 회로의 스위칭 회로에 사용되는 MOSFET EFC6601R과 EFC6602R은 제품 설계 시 솔루션 사이즈를 줄여주는 동시에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배터리 수명을 극대화한다. 싱글 혹은 듀얼 리튬이온 전지에 적합한 이 신제품들은 ROHS 요구사항을 준수하며 우수한 수준의 RDS 성능을 보여준다. 또한 이 소자들은 LGA(Land Grid Array)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소형의 로우 프로파일 설계로 공간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제품이다. 온세미컨덕터의 SANYO 반도체 제품 그룹의 총괄 매니저인 타카시 아키바(Takashi Akiba)는 “리튬이온 베터리가 출시된 이래 온세미컨덕터는 충전/방전 보호 회로 스위칭 MOSFET을 개발, 공급하는 데 전력해왔다”며 “당사의 축적된 지식과 전문성은 소자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했을 뿐 아니라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데도 이바지했다”고 밝혔다.
마우서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새로운 크로그래머블 로직 기술 사이트(mouser.com)를 오픈했다. 이 사이트는 엔지니어들이 더욱 다양한 타입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기술을 배우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부품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마우서의 새로운 프로그래머블 로직 기술 사이트는 PLD기술을 위한 자료 소개 센터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이 사이트는 Altera의 Cyclone® V System-on-chip FPGA와 MAX® VCPLD를 포함해 최신 고성능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을 조명하며 사이트의 특집기사를 통해 PLD 설계의 장점들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사이트의 기술 자료 섹션에는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노트를 비롯해 제조업체와 오토모티브, 방송, 컴퓨터 및 저장, 의료, 군사, 무선 등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필츠코리아가 플랜트, 기계류의 접근 지점 또는 위험 구역에서 손과 신체를 보호해 주는 라이트 빔 장치 ‘PSENopt’을 출시했다. PSENopt는 보호 유형 IP 6k9k까지 보호가 가능해 위생 요건이 까다로운 습한 환경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반사경을 사용하면 라이트 커튼 빔의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어 추가로 라이트 커튼을 사용하지 않고도 대형 보호 필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스토 프로텍터를 장착함으로써 충격, 충돌, 진동 등이 발생하는 거친 산업환경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제품은 또 시험 봉, 정렬 가이드 및 뮤팅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이 갖추어져 있어 안전 제어 기술과 결합이 이상적이며, LED를 통한 내장형 진단 기능으로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LG유플러스가 대형 게임 포털 넥슨과 함께 클라우드 게임 활성화에 나선다. LG유플러스는 넥슨과 제휴를 맺고, Full HD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C-games’를 통해 넥슨의 인기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 비엔비’ 를 제공키로 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가 지난해 출시한 ‘C-games’는 국내 최초 클라우드 기반 게임 플랫폼으로 가상 공간에 저장된 대용량 게임 콘텐츠를 스마트폰, 태블릿, IPTV 등에서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서비스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업무 제휴를 통해 동시 접속 35만명에 달하는 인기 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 비엔비’를 LG유플러스 ‘u+tv G’에서 우선 제공하고, 이를 시작으로 모바일, 태블릿PC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가 C-games를 통해 선보이는 ‘크레이지 아케이드 비엔비’는 물풍선을 이용해 상대를 물방울에 가둬 터트리면 이기는 게임으로 기존 PC버전으로만 제공되던 것을 IPTV로 쉽게 즐길 수 있게 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LG유플러스에서 제공되는 ‘크레이지 아케이드 비엔비’는 원활한 게임 진행을 위해 ‘C-games 전용 조이스틱’을 통해 게임 접근성 및 고객 편의성
플루크네트웍스는 데이터 통신 관리자가 TP케이블 및 광케이블 작업 시 복잡성을 줄여 빠르고 정확한 시스템 인증으로 수익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된 Versiv™ 케이블 인증 테스터 제품군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케이블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2012 플루크네트웍스 시장 조사’에 따르면 1,000개의 케이블 설치 작업이 진행될 때 복잡성으로 인한 실수나 재작업으로 1주 이상의 노동력이 추가되고 평균 2,500달러 이상의 손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출시한 케이블 인증 테스터 Versiv™는 단순 테스트나 문제 해결에서 벗어나 처음부터 전체 인증 주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어 관리자가 발빠른 대응으로 오류를 줄여 수익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Versiv™는 TP케이블, 광케이블 및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테스트를 위한 상호 교환 모듈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테스트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고 테스트 설정과 계획, 보고서 작성을 단순화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ProjX™를 활용하고 있어 작업 복잡성이 크게 줄었다. ProjX™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을 통해 총괄 책임자는 테스트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프로그래머빌리티(programmability)를 제공하는 USB2 컨트롤러 허브(USB2 Controller Hub UCH2) 제품군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제품군은 최근 인수한 SMSC의 제품들로 구성된 제품으로, 총 7종의 새로운 UCH2 IC가 출시됐다. 이들 제품군은 프로그래머빌리티를 제공하여, PC및 모바일 장치 개발자들이 외장 메모리 없이 설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더해, 마이크로칩의 첫 번째 UCH2는 USB2 와 USB HSIC(High Speed Interchip) 연결을 지원하고, 링크 전력 관리(Link Power Management)와 같은 저전력 모드 제공을 통해 최대한의 배터리 수명을 보장하며, 벽체 충전기를 BC1.2, 애플(Apple®), SE1 및 차이나 충전(China charging)과 같은 고급 배터리 충전 모드로 대체했다. 신제품은 벤더 특정 메시지 및 단순 포트 변환을 위한 플렉스커넥트(FlexConnect)와 같은 다중운영 시스템의 특성을 지원하기 위한 유연성을 갖췄다. 최근PC 시장은 USB3로 변환하는 추세에 있으며, 모바일 장치 시장은 2015년까지 USB2 사용이 두드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