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matronE NC CimatronE는 견적 산출에서부터 프레스 설계, 형상 변경 NC 및 EDM 프로그래밍까지 프레스 금형 설계 및 가공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이다. CimatronE NC는 데이터 변환 없이 프레스 설계에서부터 NC 프로그램 단계까지 모든 형상의 속성들을 편집 없이 전환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에러를 방지한다. 또한 가공 형상이 모듈 간에 서로 연관되어 있어 디자인 변경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자동 드릴 드릴 프로그램 시간을 90% 이상 단축한다. •유연하고 정확하며 사용하기 쉬운 드릴링 기능들은 원판가공에서부터 5축가공과 건드릴 가공까지 폭넓게 적용 •수백 개의 홀을 몇 초 안에 자동으로 인식하는 자동 드릴 작업 •드릴링을 하기 전에 홀 위에 존재하는 소재를 검사하는 소재 형상 인식 기능과 최적화된 드릴링 공정을 지정하여 드릴링 코드 자동 생성 기능 효율적인 황삭 공구 수명 연장과 더불어 소재 제거 비율을 극대화한다. •미리보기 기능은 몇 초 내에 가공경로를 미리 볼 수 있게 해주며, 가공 기술을 극대화하고 실수를 최대한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소재는 다양
국내 연구진이 리튬이온의 이동속도가 빠른 젤리형태의 리튬이차전지 전해질을 개발하여 지난 10여 년간 리튬이차전지 시장을 장악해 온 액체전해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 및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의 지원으로 UNIST 송현곤 교수팀이 주도하고 박노정 교수팀이 공동 수행한 이번 연구는 젤리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리튬이온이 기존 액체 전해질 대비 1.5배 이상 빠르게 움직이는 젤리 전해질을 개발한 것으로, 전지 성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장치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 젤리 전해질 개발 연구진. 김영수 박사과정(좌), 송현곤 교수(가운데), 박노정 교수(우) 기존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액체 전해질은 리튬이온이 빠르게 움직이는 장점은 있지만 전해질이 전지 밖으로 흘러나올 가능성으로 인해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는 젤리 또는 고체형태의 전해질은 리튬이온의 전달율이 큰 것과 안전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리튬이온이 느리게 움직이는 단점이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금번 개발된 신규 젤
【기술 동향】CAM 소프트웨어의 최신 기술 개발 동향 금형 설계·제작의 효율화를 실현하는데 있어 CAD/CAM 시스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설계와 가공의 난이도, 가공기의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시스템에 대한 유저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벤더 각사는 앞다투어 최신 금형 기술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개발, 도입하고 있다. 한국델켐(주) 글로벌 경제 위기로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은 기업들이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금형과 가공업계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자연스럽게 CAM 솔루션 업계도 더딘 성장을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CAD/CAM은 이제 성숙 단계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시장이 포화 상태이고, 정체되어 있는 실정이다.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많은 현 상황에서 CAM 솔루션 업체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남들과는 다른 강력한 경쟁력이 필수 요소이고, 강력한 경쟁력이란 결국 ‘시간 단축’을 최대 과제로 안고 있는 제조현장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하고도 수준 높은 기술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상품이 시장에서 빠르게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따라서 빨리 생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을 적절히 도입함으
오토데스크 코리아는 클라우드 기반 BIM(빌딩 정보 모델링)을 ‘BIM 360 글루(Glue)’ 온라인 협업 소프트웨어와 ‘오토데스크 BIM 360 필드(Field)’ 건설 현장관리 소프트웨어로 확장했다고 밝혔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BIM을 통해 설계와 건설 팀들이 사무실 밖에서도 컴퓨팅 집약적인 업무를 할 수 있게되어 프로젝트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방대한 양의 모델에 지능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 빠른 시각화와 시뮬레이션이 가능해 협업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건설산업의 모바일 기기 도입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관리하는 방식도 재정의되고 있다. 아마르 한스팔 오토데스크 BIM 제품 수석 부사장은 “BIM은 AEC 산업을 바꾸고 있다. 처음에는 건축분야에서 변화가 시작되어 최근에는 건설부분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오토데스크의 클라우드 및 모바일 기술을 통해 데스크톱 환경에서의 BIM의 한계를 극복해, 다양한 프로젝트 팀들은 이제 엄청난 속도와 파워로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정하고 협력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BIM 360 글루의 향상된 클라우드 기반 협업 기능과 모바일 접근성으로 모든 프로젝트 팀원들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조정 과
SK텔레콤(www.sktelecom.com)이 25일(현지 시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LTE월드서밋'의 'LTE어워드'에서, '최고 LTE 발전상'을 수상했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LTE월드서밋(LTE World Summit)'은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Informa(인포르마)'에서 주관하는 세계 최대의 LTE 컨퍼런스로,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열렸다. 이번 'LTE월드서밋'은 증가하는 모바일 트래픽에 대한 대처, LTE-A, VoLTE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으며, 250명 이상의 연사가 참여하여 컨퍼런스와 세미나 등 다채롭게 열렸다. 전시 부스에서는 125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다양한 LTE 기술을 선보였으며, 서밋 기간 동안 세계 각국의 ICT 전문가 3,000명 이상이 행사에 참석했다고 주최측은 밝혔다. SK텔레콤은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망 기술인 'PETA 솔루션' 등 전세계 LTE 기술을 선도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LTE월드서밋' 기간 중 열린 'LTE 어워드'에서 수상했다. SK텔레콤은 올해 2월 열린 모바일 월드 콩크레스(MWC)에서 ▲Glob
아이폰 사용 내용 확인하기 01.[설정]-[일반]에서 ‘사용 내용’을 선택한다. 전체 저장 공간과 각 앱의 사용 공간이 나타난다. 02. 앱을 선택하면 자세한 내용이 나타난다. ‘응용 프로그램 삭제’를 누르면 해당 앱과 데이터가 삭제된다. Tip_ 아이폰 사용 중에 속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 답답했던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럴 때는 저장 공간을 확인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앱을 삭제하거나 정리하는 것이 좋다.
해외의 ICT 동향 환경 문제 해결하는 솔루션으로 인식 ICT를 환경 문제 해결 전략의 중요한 부분으로 보는 정부가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OECD 회원국 정부들은 ICT 및 환경 관련 정책과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하지만 일부 공통적인 초점과 목표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관리, 중점 목표 및 평가의 질이 국가별로 크게 다르다. <한국정보화진흥원> 김혜숙 기자 (eltred@hellot.net) ICT 및 환경 관련 정부 정책과 프로그램 관리를 담당하는 주체는 여러 가지가 있다. 중앙 정부 내에서 단일 부처나 국가 기관에 의해 정부 정책 및 프로그램이 구축, 관리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하지만 일부는 지방 행정 기구에 의해 분권화된 방법으로 조직되어 범정부 기관(통상 최고정보책임국)에 의해 조율되기도 한다. 정부간 기관을 통해 정책 및 프로그램이 조직되는 경우도 있다. 덴마크와 일본, 그리고 미국은 정책과 프로그램이 중앙집권적으로 관리되는 국가들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덴마크의 그린 IT 액션플랜은 과학기술혁신부에 의해 수립되었다(2008). 일본의 그린 IT 이니셔티브는 경제산업성(METI : Ministry of Economy
녹색 성장의 핵심 솔루션, ICT 글로벌 녹색 성장에 시너지 효과 발휘 오늘날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들은 경제 성장과 환경이 상충하지 않고 상호 시너지를 발휘하는 녹색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국가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그린 ICT는 이들의 전략을 실행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들 역시 높은 ICT 활용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린 ICT 기반의 글로벌 녹색 성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도전 과제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 김혜숙 기자 (eltred@hellot.net) ICT는 경제 내 모든 업종에 걸쳐 환경성과를 높이고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ICT 및 인터넷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희소한 자원을 관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분야로는 도시 인프라, 건물 및 에너지 분야가 포함된다. ICT 시스템은 또 환경오염, 생물 다양성 피해, 토지 이용 패턴, 사막화 등을 모니터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이러한 이유로 혁신 잠재력을 가진 ICT 업계가 기후 변화와의 싸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데 이
오토닉스가 릴레이 및 인터페이스 I/O 단자대의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통해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선다. 새롭게 라인업 된 제품 중 하나인 1점 릴레이 단자대 ABS 시리즈는 정격 부하 전류 5A, 10A 가 추가되어 대용량 부하 대응이 가능함은 물론, 신호 입력 시 고휘도 LED가 ON되어 동작 확인에 용이하다. 또한 5A는 MATSUSHITA(Panasonic) PQ1A, Omron G6B/ 10A는 Omron G2R, Panasonic ANH의 릴레이 사용이 가능해져 보다 다양한 작업장에 활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나사가 필요 없는 Screwless 타입의 AFL 시리즈와 원터치 방식의 Rising Clamp 타입인 AFR 시리즈도 출시했다. 이들 제품은 편리한 체결 방식으로 작업시간 단축과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스마트 벤처창업학교(이하 창업학교)가 앱, 콘텐츠, SW융합 분야 청년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입교자를 모집한다. 중소기업청은 지난 14일 옴니텔과 경북대학교 2곳을 창업학교 운영기관으로 선정하고, 6.25일부터 운영기관별로 입교자 모집·선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창업학교는 미래 일자리 창출을 이끌 앱, 콘텐츠, SW융합 등 유망 지식서비스 분야의 실전 창업과 성장을 위해, 우수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계획 수립에서 개발 및 사업화를 단계별로 일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기관별로 55개 팀씩, 총 110개의 (예비)창업자를 선발하여 7개월 과정의 단계별 경쟁방식을 통해 올해 최종 80개 팀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번 창업학교 입교자로 선발되는 경우, 창업 교육, 전문가 멘토링, 마케팅을 비롯하여 개발과 사업화에 소요되는 자금을 총사업비의 70% 이내에서 최대 1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입교자에 대한 지원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첫 단계에서는 3주간의 사업계획 수립 교육과정 동안 전문가 멘토링을 통해 보유 아이디어에 대한 사업계획을 구체화한 후, 사업계획 평가 결과 선정된 45개 창업팀은 2주간 창업 및 경영에 필요한 실무교
오토데스크 코리아는 클라우드 기반 빌딩정보 모델링(BIM)을 ‘BIM 360 글루’ 온라인 협업 소프트웨어와 ‘오토데스크 BIM 360 필드’ 건설 현장관리 소프트웨어로 확장했다. 클라우드 기반의 이 소프트웨어는 설계와 건설팀들이 사무실 밖에서도 컴퓨팅 집약적인 업무를 할 수 있어 프로젝트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방대한 양의 모델에 지능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 빠른 시각화와 시뮬레이션이 가능해 협업을 최적화할 수 있다. 모든 프로젝트 팀원들은 BIM 360 글루의 향상된 클라우드 기반 협업 기능과 모바일 접근성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으며, 디자인을 검토하고 조정 주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오토데스크 관계자는 여러 프로젝트 설계 및 건설팀은 클릭 한번으로 실시간 최신 프로젝트 모델을 검토하고 공정간 간섭을 관리할 수 있어 프로젝트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것으로 기대했다.
IR(International Rectifier)이 극히 소형화된 SOT-23-5L 패키지로 높은 구동 용량을 제공하는 IRS44273L 로우-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 IC 제품을 출시했다. 용이성을 특징으로 하는 IRS44273L은 IGBT 및 MOSFET 게이트 구동에 이용하기 위한 간편한 솔루션으로, 1.5A(정격) 싱크 및 소싱 용량, 고속 스위칭 성능, 저전압 록아웃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이 새로운 디바이스 제품은 이전에는 SO-8 등과 같이 더 큰 패키지로만 이용할 수 있었던 기능을 지원하므로 더욱 컴팩트하면서 경제성 뛰어난 시스템 디자인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SOT-23-5L 패키지로 로우-사이드 드라이버로서 가장 높은 구동 전류를 제공하므로 디자이너들이 이보다 대형의 SO-8 디바이스 대신에 이 새로운 IC 제품을 이용할 경우, 솔루션 크기를 훨씬 줄일 수 있다. 이 외에도 IRS44273L은 패키지 양쪽에 2개의 출력 핀을 제공하므로 레이아웃 유연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디자인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디바이스는 비-반전 입력을 이용하며 CMOS 및 LSTTL 컨트롤러와 호환 가능하다.
국내 연구진이 레이저의 간섭무늬를 이용하여 기존 광학현미경보다 3배 이상 높은 해상도의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생물실험에서 흔히 사용하는 형광물질로도 전자현미경 해상도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상용성이 높아 주목받고 있다.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예종철 교수가 주도하고 민준홍 박사과정 연구원, 장재덕 박사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기존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의 경우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레이저의 세기를 높이거나 깜빡일 수 있는 형광 표지물질 등을 새로 디자인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물체에 손상을 입히거나 흔히 사용하는 일반적인 형광 표지물질이나 단백질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었다. 시약을 이용해 형광물질을 깜빡이게 하거나 주기적인 패턴의 조명을 주는 방식이 있었으나 범용으로 이용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기존 형광현미경에 간단히 스페클 조명을 적용하여 깜빡이는 형광물질을 새로이 만드는 번거로움 없이 80nm의 분해능을 얻을 수 있는 형광현미경을 고안해 냈다. 영상처리에서 제거해야 할 잡음으로만 간주되어 온 간섭무늬에 담긴 정보를 수집하여
LG전자가 세계 최대 태양에너지산업 전문전시회에서 혁신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LG전자는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린 ‘인터솔라 2013(Intersolar 2013)’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LG전자는 태양광 모듈 신제품 ‘모노엑스네온(MonoX™ NeON)’을 선보여 ‘인터솔라 어워드(Intersolar Award)’ 태양광부문 본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인터솔라 어워드(Intersolar Award)’는 ‘인터솔라 EU’가 주최하며 태양에너지 관련 혁신적인 제품 및 프로젝트를 선정해 시상한다. 태양에너지 학계, 업계, 미디어 등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에 의해 엄격한 심사과정을 거치는 권위 있는 상이다. 이번에 본상을 수상한 LG전자의 ‘모노엑스네온’은 기존 일반 모듈 대비 최대 6%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 제품이다. 정교한 반도체 공정 기술을 도입해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 생기는 전기 손실 현상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효율을 높였다. 또한 셀의 후면에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양면 발전 구조’를 갖춰 태양광 각도가 낮은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 시간의 발전량을 향상시켰다. ‘인
SK텔레콤(www.sktelecom.com)의 젊은층 대상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눝' 가입 고객들은 오는 30일까지 열흘 간 전국 번화가 9곳의 인기 맛집•멋집 90여 곳에서 각종 인기 메뉴를 반값으로 할인 받을 수 있다. 이번 혜택은 SK텔레콤의 '무한포텐(for 10)Days-반할Week' 이벤트를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젊은 층이 주로 모이는 지역에서의 파격 혜택을 통해 'T멤버십 눝' 가입 고객들이 더욱 유용하게 멤버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이벤트를 기획했다고 SK텔레콤은 밝혔다. 서울 가로수길, 강남역, 이태원, 홍대, 대학로, 부산 서면, 광주 전남대, 대구 동성로, 대전 둔산이 이벤트 혜택 적용 지역이며, 이벤트 참여 제휴처는 '무한포텐days 반값 할인 제휴처'라고 적힌 깃발을 부착해 고객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인당 반값 할인 횟수 제한은 없으며, 할인한도는 할인금액의 반만 차감하므로, 고객은 사실상 4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2만 원짜리 메뉴를 만 원에 할인 받아 식사하면서, 할인한도는 5천 점만 차감되는 식이다. 아울러 이 기간 동안 미스터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