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강서공업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기가(Giga)인터넷 현장체험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기가인터넷 현장체험 교육’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기가인터넷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관련 분야의 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통신 산업분야의 현장을 체험하고 이를 통한 취업 및 창업 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강서공업고등학교 재학생 50여명은 서울 마포구 소재 LG유플러스 상암사옥을 방문하여 무선망 관제센터 및 현장의 네트워크 장비와 운영 국사 등을 견학하고 전반적인 LG유플러스의 통신 운영 환경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 전문가로부터 차세대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기가인터넷 기술과 인터넷과 GE-PON(기가 이더넷-수동형광 네트워크: Gigabit Ethernet-Passive Optical Network)에 대한 이론교육과 체험활동도 진행됐다. LG유플러스 김응재 선행기술연구팀장은 “이번 기가인터넷 현장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고등학생들이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구체적인 진로계획을 세워 나갈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TI가 고전력 다중 토폴로지 DC/DC LED 드라이버 TPS92690를 출시했다. 신제품 TPS92690은 조절 가능한 스위칭 주파수와 전류 감지 스레스홀드 기능을 제공하여 자동차 전조등, 안개등, 범용 에어리어 라이팅 설계 시 낮은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제품은 로우사이드 전류 감지 기능을 내장한 N채널 MOSFET 컨트롤러로, 스텝업(부스트) 또는 스텝업/스텝다운(SEPIC, Cuk, 플라이백) LED 드라이버 토폴로지를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PS92690 DC/DC LED 컨트롤러는 설계자가 자신의 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조절 가능한 스위칭 주파수(최대2MHz)와 전류 감지 스레스홀드를 조절를 통해 크기의 소형화나 고효율 달성, 또는 이 둘을 절충하도록 LED 구동 전자제품을 최적화할 수 있다. 더불어 내부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외부 클록으로 설계 내의 다른 컨버터들과 스위칭 주파수를 동기화 할 수도 있으며, 로우 사이드 전류 감지로 Cuk 컨버터와 같은 EMI가 낮은
슈나이더 코리아가 삼성 SDI의 LIB가 적용된 산업용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를 선보였다. 새롭게 출시된 UPS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와 삼성 SDI의 기술협력으로 탄생됐으며, 최근 데이터센터가 직면한 전력난 위협에 적합한 솔루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PS는 정전 발생 시 즉각적으로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갑작스러운 서버 가동 중단이나 전원 차단에 따른 데이터손실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설비이다. 페타바이트 단위의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센터나, 주요 생산 장비나 설비를 가동하는 공장 등에서는 정전이 심각한 경제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UPS 성능이 안정적인 운영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UPS 전원으로는 통상적으로 납축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으나, 부피가 크고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번에 양사가 공동 개발한 LIB 적용 UPS는 에너지 집적도가 높아 UPS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기존 대비 1/3까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LIB의 방전효율이 뛰어나 같은 배터리 용량으로도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최소화하고, 추가적인 배터리 없이도 충분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는 최근 동부대우전자에서 출시한 ‘클라쎄 큐브’ 냉장고에 자사의 NFC/RFID 메모리 디바이스를 탑재했다고 밝혔다. ‘클라쎄 큐브’는 ‘국내 최초 NFC 냉장고’라는 타이틀에 맞게 획기적인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며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클라쎄 큐브는 NFC 스마트폰과 냉장고 사이에 전달되는 냉장고의 상태 정보나 사용자의 사용 습관 정보를 제공하며, 소비자들은 이를 통해 냉장고를 보다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교환은 냉장고의 센서에서 정보를 받아 저장하여, 스마트폰으로 이 정보를 다시 전달하는 ST의 M24LR 다이나믹 NFC/RFID 태그 때문에 가능하다.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클라쎄 스마트’ 앱으로 해당 정보들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 습관이나 계획에 맞춰 냉장고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클라쎄 큐브는 센서가 보내는 정보를 받아 냉장고의 문열림을 알리고, 구역별 온도 상태를 전하며, 직접 A/S를 요청하고 원격 진단을 받도록 하는 새로운 차원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를 가능하게 한 ST의 M24LR 다이나믹 NFC/RFI
삼성전자가 ’840 EVO’를 비롯한 1테라바이트 SSD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18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2013 삼성 SSD 글로벌 서밋(2013 Samsung SSD Global Summit)’을 개최했다. ’삼성 SSD 글로벌 서밋’은 ’SSD 대중화 시대로’라는 테마로 개최됐으며 세계 각국 언론이 모인 자리에서 삼성전자는 HDD 시장을 본격 대체하며 고성장하는 SSD 시장의 미래를 새롭게 전망했다. 이 날 삼성전자는 성능 향상을 통해 소비자 사용 편의성과 기업의 IT 투자 효율을 극대화한 1테라바이트 이상 대용량 SSD 제품군을 새롭게 선보여 참석한 언론으로부터 크게 호평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SSD 대중화와 소비자 시장 내 점유율 지속 확대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 ’840 EVO’ SSD 런칭을 시작할 예정이며 이후 출시 국가를 늘려 가며 글로벌 컨슈머 마켓을 본격적으로 공략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840 EVO’ SSD는 4월에 양산한 세계 최소 칩 사이즈인 10나노급 128기가비트 고속낸드를 탑재해 기존 840 SSD 대비 연속쓰기 성능을 최대 3배 이상 향상시켰으며, 노트북에서 용량제한 없이 HDD를 대체할 수 있도록 최대 용량 1테라바
로우 라인에서 디레이팅 없이 90-264Vac의 입력 전 범위에서 최대 전력을 제공하는 1500와트 AC-DC 전원공급장치(LCM1500Q-T-4)이다. 이 모델의 정격은 24V 단일 출력이며 ±10%까지 트리밍될 수 있다. 정밀한 디지털 제어 루프가 폭넓은 부하 범위에서 효율을 최적화하므로 새로운 LCM1500 모델의 효율이 전 부하에서 91% 더 크며 통상적인 역률이 0.99이고 전력 밀도는 12W/in3이다. LCM1500Q-T-4는 장비가 꺼져 있을 때도 OEM 대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5V 대기 전압을 제공한다.
LG전자가 필름 영사기를 연상시키는 이색적인 디자인의 ‘클래식 미니빔 TV(모델명 : PG65K)’를 출시했다. ‘클래식 미니빔 TV’는 클래식한 느낌을 주는 동시에 감각적인 에어홀(통기구) 디자인과 화이트 색상으로 현대적 감성을 더했다. 이 제품은 손바닥만한 크기(12.5×12.5×6cm)에 착탈식 배터리를 적용해 휴대가 용이하다. 특히 전원코드 없이 배터리만으로도 영화 한편(2시간)을 감상할 수 있어 여행, 캠핑 등 야외활동에 제격이다. 세로로 세우기 위한 별도 거치대도 있어 실내에서는 삼각대 없이 천정을 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TV 방송 튜너를 탑재하여 사용자는 전용 안테나만 있으면 실내뿐 아니라 야외에서도 자유롭게 생생한 화질의 HD 방송을 즐길 수 있다. ‘클래식 미니빔 TV’는 16 : 9 와이드 HD(1280×800) 화면을 지원하고 500 안시루멘(ANSI-Lumens) 밝기와 10만 대 1 명암비를 구현하여 더욱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영상을 표현한다. 램프는 저전력 친환경 소재인 LED 광원으로 수명이 약 3만 시간이다. 하루 4시간 사용 시 램프 교체 없이 20년간 사용 가능하다. 또, 사용자는 무선영상전송 기능으로 PC,
매스웍스코리아는 7월 23일 화요일, 코엑스 컨퍼런스룸(402호)에서 'MATLAB(매트랩) 수석개발자 로렌 슈어(Loren Shure)의 대학 활용 강좌'를 개최한다. MATLAB 수석개발자 방한에 맞춰 무료로 진행되는 이 강좌는 MATLAB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교육 및 연구 기관에서의 MATLAB, Simulink(시뮬링크)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하고자 마련되었다. MATLAB 개발에 참여한 로렌 슈어가 직접 강연자로 나서 MATLAB 최신 버전의 특징 및 활용 예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MATLAB의 새로운 기능들(What’s new in MATLAB)”, “MATLAB을 활용한 물리강의(Teaching Physics with MATLAB)”를 주제로 대학 교육 과정에서의 전산 모델링, 데이터 분석 및 통합 방법을 쉬운 설명과 구체적인 예제를 통해 접근한다. 로렌 슈어는 지난 26년간 사용자들이 MATLAB과 여타 솔루션의 사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북미와 유럽,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오가며 다수의 MATLAB 활용 강좌를 진행한 바 있으며 The Art of MATLAB(http://blogs.mathworks.c
매년 여름 반복되는 전력난, 올해는 원전 가동중지와 무더위로 전력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건물의 에너지 관리시스템'이 기업의 전력위기 극복을 위한 최적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건물의 에너지 관리시스템'이란 건물 내 전력을 포함한 에너지의 사용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건물의 효율적인 운영을 꾀하는 에너지 절감기술이다. 실제로 에너지관리시스템에 의한 에너지 절감효과는 크다. 지난 9일 에너지 관리공단이 개최한 세미나에서 발표된 사례에 의하면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설치한 건물이 그렇지 않은 건물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과 비용이 40% 절감되었다”고 한다. 특허청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 동안 16건에 불과하던 관련 출원이 2009년 이후 전체 168건이 출원되어 이전보다 무려 1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출원되고 있는 관련 기술은 단순히 건물 전체의 전력사용만을 제어하던 과거의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건물 내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각종 에너지 사용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최근 5년간 출원인별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출원의 절반 이상(52%)을 기
LG유플러스가 데이터는 물론 음성과 문자까지 모두 LTE로 이용할 수 있는 세계 최초 ‘100% LTE’ 스마트폰 ‘갤럭시S4 LTE-A’를 18일 출시하고 LTE-A서비스 상용화에 나섰다. 지금까지는 음성 및 문자는 기존 이동통신 네트워크(CDMA)로, 데이터는 LTE네트워크를 이용했으나, LG유플러스가 세계 최초로 100% LTE 서비스를 시작함으로써 음성과 문자, 데이터 등 모든 통신 서비스를 LTE로 제공하는 진정한 LTE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100% LTE는 통화연결 시간이 0.25초~2.5초로 기존 통신 네트워크 대비 최대 20배 빠르고, 문자(SMS)도 3G 보다 30% 이상 빠르게 전달할 수 있으며, 50~7,000Hz의 폭넓은 가청 대역을 이용하여 목소리 원음에 가까운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HD급 음질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 통화 중 최대 150Mbps 전송 속도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비디오형 SNS 등 LTE-A를 100%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LG유플러스는 콘텐츠 중심의 고화질·고용량 데이터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LTE-A 고객들이 데이터 걱정 없
SKT, 스마트로봇 알버트 말레이시아 수출 (주)첨단 등 중기와 협업 돋보여 ▲SK텔레콤 김돈정 스마트러닝 사업1팀장(사진 오른쪽)과 말레이시아 스마트 클래스 구축 전문업체인 컴백스가 2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스마트 로봇 알버트 수출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SK텔레콤이 스마트로봇 알버트의 동남아 수출길을 열었다. SKT는 말레이시아 스마트 클래스 전문업체인 컴백스(CommBax)와 알버트의 수출 협약식을 22일 체결하고 본격적인 공급에 나섰다. 이번 계약 규모는 3,000대 수준이며 SK텔레콤은 올해 안으로 '알버트' 초도물량 1,000대를 시작으로 3년간 매년 1,000대씩을 컴백스에 납품하게 된다. 컴백스는 말레이시아 교육기관 등에 전자칠판 등을 납품하는 스마트 클래스 구축 관련 선도 기업으로 이번 수출 계약은 향후 말레이시아 스마트러닝 서비스 수출과 관련해서도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SK텔레콤은 기대했다. 이번 수출 성사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역할 분담을 통한 시너지가 돋보였다는 게 업계 평가이다. SKT는 동남아∙중동 교육사업자들과의 탄탄한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있는 (주)첨단을 통해 말레이시아 시장 진출의 물꼬를 텄으며,
중소기업진흥공단은 한국전력거래소와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중소기업 절전 컨설팅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지난 17일 중진공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중진공과 전력거래소는 국가적인 전력난 해소에 기여하고, 중소기업의 전력 사용 경비를 절감하기 위해 오는 8월부터 전력 다소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절전 컨설팅’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중진공은 자금, 컨설팅 등을 지원한 중소기업 중 업종, 주생산품, 전력 사용료 등을 분석해 전력 다소비 기업을 선별하고, 전력거래소는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전기요금 절감방안, 전기소비 절감장치 등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게 된다. 중진공 박철규 이사장은 “이번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은 공공기관 상호 간 핵심업무 역량을 활용해 협력관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앞으로 시혜적 자선활동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핵심업무 역량을 바탕으로 타 기관과 협업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피닉스 컨택트가 튼튼한 하우징을 갖춘 고속 소형 PLC ‘AXC 1050’ 컨트롤러를 출시했다. Axiocontrol 라인의 이 제품은 Axioline I/O 시스템의 I/O 모듈에 내장된 Axiobus를 이용해 컨트롤러 옆으로 직접 증설이 가능하다. 로컬 스테이션의 구축을 위해 컨트롤러의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기존 네트워크와 통합하거나 다른 분산된 I/O 모듈들과 연결할 수 있다.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TCP/IP, UDP, Modbus/TCP, 프로피넷 등이 있다. 또한 Axiocontrol 컨트롤러는 UPS를 내장하고 있어 정전 발생에 대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는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시스템의 활용성을 보증하는 응용 방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XC 1050/XC 소형 컨트롤러는 특히 매우 거친 환경에서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설계됐으며 -40℃에서 +60℃까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와 Kdac(한국델파이)은 지난달 9일, Kdac 대구 본사에서 양 기관 대표 및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ICT 기반 지능형자동차 융합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대구지역 자동차부품산업 고도화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해 ▲ 지능형자동차 융합 분야 연구소기업 공동 설립 및 운영 ▲ ICT 기반 지능형자동차 융합 분야 기술개발 및 기술지원 ▲ 자동차 전장 분야 소프트웨어 공동개발 및 ISO26262 인증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주요 공동 연구과제로 차량용 스마트센서 기술 및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를 공동 개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ETRI는 이미 차량용 스마트센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Kdac의 글로벌 마켓을 활용함으로써 양 기관이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향후 공동으로 연구소기업 설립을 위해 노력해 나가기로 했으며, ETRI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동차 분야 원천기술들을 사업화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ETRI 대경권연구센터는 지능형 자동차용 스마트센서, 차량안전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주력 연구
서버, 태블릿, 노트북, 통신, 게임, 범용 POL(point of load) 레귤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의 전원장치 설계자들은 에너지 규격을 충족하고, 배터리 시간을 연장하고, 총 유지비용을 절감하도록 하기 위해 자신이 설계하는 디자인의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끊임 없이 찾고 있다.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디자이너들이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고정 온-시간 PWM 컨트롤러 및 드라이버와 하이-사이드 및 로우-사이드 MOSFET을 결합한 통합적인 POL 레귤레이터 제품들로서 차세대 TinyBuck™ 레귤레이터 제품군을 출시했다. TinyBuck 레귤레이터 제품은 최대 1.5MHz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으며 고객들이 높은 효율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필요한 인덕터 및 커패시터(LC) 소자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 제품군의 디바이스 제품들은 절반의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는 동급의 디스크리트 솔루션과 동일한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AN2306은 풀 부하, 12V 입력, 1.2V 출력일 때 500KHz 스위칭 주파수로 1.2μH 인덕터를 이용해서 92.5%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동일한 디바이스를 동일한 듀티 사이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