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산업, 제조업 혁신 핵심 분야로 부상 ‘3D프린팅산업 발전전략 포럼’ 발대식 개최 3차 산업혁명을 일으킬 기술로 주목받는 3D프린팅산업 육성에 정부가 본격적으로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학연 함께 지난 7월 8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3D프린팅산업 육성을 위한 ‘3D프린팅산업 발전전략 포럼’ 발대식을 개최했다. 새로운 제조업 패러다임을 주도할 핵심 분야로 부상 중인 3D프린팅산업 육성을 위한 3D프린팅산업 발전전략 포럼 발대식이 개최됐다. 이날 포럼 발대식에는 김재홍 제1차관, 김창경 한양대학교 교수를 비롯하여 학계, 연구계, 관련 업계 등에서 2백여명이 참석했다. 3D프린팅 기술은 디지털 디자인 데이터를 이용, 소재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3차원 물체를 인쇄하듯 만들어 내는 기술로,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파급효과가 큰 차세대 제조 핵심 기술이다. 디지털 설계도만 있으면 제품 생산이 가능하므로 제조공정의 획기적인 간소화를 가져와 R&D혁신, 창업활성화, Niche Market 등장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은 성장초기 단계이며 국가차원의 대응전략을 통해 기술 국산화 산업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미국, 일본, EU 등 주요국에서는
효율과 디자인 겸비한 스마트형 LED 솔루션 대세 세계 LED 시장의 판도를 살펴보고 하계 전력난 대책의 핵심 기술이 한자리에 모인 국제 LED EXPO & OLED EXPO 2013이 지난 6월 28일 성공리에 폐막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이번 전시회에는 총 13개국 약 250개 업체, 참관객 18,000여명이 참가했으며 수출상담회 성과도 지난해보다 증가하여 참가 업체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김혜숙 기자(eltred@hellot.net) 올 여름 최악의 전력난이 빚어지면서 블랙아웃(대규모 동시 정전)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급 차질을 최대한 방지하고 가용 가능한 발전 수단을 총 동원하여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로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5의 에너지라 불리는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큰 에너지 절약 제품, 대표적으로 LED 조명의 보급을 확대하는 것이 좋은 해결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LED 관련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본 전시회가 개최되어 정부 기관 및 관련 업체 종사자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국제 LED EXPO & OLED EXPO 2013에는 총 13개국
센서, 빠르게 검출하고 간편하게 설정한다 윤병철 오토닉스 계장 센서 및 제어기기의 기본 개념과 활용 센서를 말하기 전에 먼저 센서와 컨트롤러를 구분 지어야겠다. 센서와 컨트롤러 구분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생산 현장에 적용할 때나 본인 스스로가 어떤 필요에 의해서 설계할 때 효율적인 시스템을 만들 수 없다고 본다. 센서 및 컨트롤러란? 센서의 정의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는 보이는 값을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가 여러분들을 보고 있다. 제 눈이 센서가 된다. 그렇다면 컨트롤러는 뭘까. 제가 여러분을 보면서 뒤에 앉아 계시는 분이 넥타이를 만지고 있다거나 물을 마시고 있다고 할 때 “물이 시원한가요?” 아니면 “넥타이가 틀어져 있네요.”라고 제 생각을 외부로 출력하는 것들을 컨트롤러라고 보면 된다. 다시 한 번 정의를 하면 센서는 보이는 것이고 컨트롤러는 보이는 것을 내부의 어떤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을 통해서 외부로 피드백시키는 것이다. 센서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겠다. 사실 오토닉스가 전 세계 모든 종류의 센서를 다 가지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주요 제품 대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토닉스의 제품을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보겠다. 우
초저배형 메모리 모듈 소켓 DDR3 DIMM 소켓은 표준 디자인보다 낮은 장착 높이로 설계됐다. 또한 ATCA 블레이드 시스템에서는 장착 높이가 최대 2.80mm 이하인 저배형 메모리 모듈을 사용했다. 10밀리옴의 낮은 레벨 접촉 저항값을 특징으로 하는 이 소켓은 표준 DIMM 모듈을 지원하며 블레이드 서버에서 전력 소비량을 줄여준다. 이 제품은 네트워킹, 스토리지 시스템, 고급 컴퓨터 플랫폼, 산업 제어기기 등 광범위한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한국몰렉스 ☎ 031-492-9000 www.korean.molex.com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ERP가 뜬다 황웅상 SK텔레콤 매니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통합 ERP 사례 기업의 변화 대응 시간이 매우 빨라졌다. 그중에서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프로세스 실행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는 점이다. 전자결제를 예로 들면, 예전에는 결제를 하나 받기 위해 결제판을 들고 왔다 갔다 하거나, 팩스를 보내거나 해서 결제를 받았지만 지금은 전자결제로 바로바로 처리하고 있다. 실행 속도는 엄청나게 빨라졌는데 문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화의 측면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혁신은 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IT 기술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통합 ERP 도입의 필요성 크게 대두 우리나라의 중견 중소기업의 IT를 통한 운영 프로세스 혁신 노력은 ERP를 중심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그러나 기존의 ERP 도입은 회계 패키지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경영진의 관점에서 통합 ERP 도입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하게 되었다. 그 배경에는 적시에 볼 수 있는 경영 관련 자료가 부족하다, 자료의 데이터에 대한 신빙성이 떨어진다, 수작업이 많아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에 문제가 생긴다,
NI PXIe-5645R 벡터 신호 트렌시버 NI PXIe-5645R은 소프트웨어로 제작한 아키텍처에 구축되어 있어 LabVIEW를 이용하면 특정 요구사항에 맞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고성능의 차동과 싱글엔드 설정이 가능한 베이스밴드 I/Q 인터페이스가 추가됨으로써 최신 PC 및 FPGA 기술과 함께 더욱 빠른 테스트가 가능하다. 이 제품은 65MHz~6GHz 주파수 범위와 80MHz 순시 대역폭, 고속 디지털 I/Q의 24개 채널을 지원한다.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 ☎ 02-3451-3400 http://korea.ni.com
FL Isolator 100-M12 네트워크 아이솔레이터 FL Isolator 100-M12는 M12 커넥터를 사용하는 모든 산업용 이더넷 환경에서 보다 견고하게 사용되도록 설계됐다. 특히, EN 50155 기준의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했으며 구리로 된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 전위차와 최대 4kv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안정적인 보호기능을 제공한다. 이 제품은 또 산업 환경 내에서 최대 100Mbit/s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통신 노이즈에 대한 내성도 크게 향상시켰다. 피닉스컨텍트 ☎ 031-627-0454 www.phoenixcontact.co.kr
M2M/IoT 기술, 제조업을 혁신하다 차석근 에이시에스 부사장 M2M/IoT 기술을 적용한 제조업 공정 개선 에너지 절약하면 생산성이라는 부분은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에너지를 끄는 형태를 얘기한다. 그러나 에너지를 끈다고 하는 것은 결국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생산을 안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 생산성을 올리면서도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바로 M2M/IoT 기술이다. M2M/IoT는 제조업의 공정을 개선하는 핵심기술로 에너지를 쓰되 생산성을 올리는 ICT 융합 기술이다. 미래 생산 시스템은 M2M 기반 u-매뉴팩처링 ‘기계+IT 융합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공장을 운영할 수 있다는 개념에서 만들어졌다. 공장자동화에 이런 시스템들을 적용하면서 e-매뉴팩처링, u-매뉴팩처링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되었다. 여기서 ‘e’는 과거 공장자동화의 한 부분을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형 관리 및 생산정보화 기술을 이용해서 기계제어의 전자화, 정보부여와 다기능화, 작업자와 기계간의 통신을 하는 의미로 P2M(Peer to Machine)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도 초에는 이러한 P2M을 기반으로 한 e-매뉴팩처링이 널리 구축되었다. 2000년도 후반에는
SN65HVD101/102 SN65HVD101/102는 로컬 회로에 최대 20mA까지 공급할 수 있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통합하고 있어 디스크리트 구현 대비 최대 50%까지 보드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최대 40V, 정상 상태 보호기능을 통합하고 있어 설치 불량이나 케이블 단선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그뿐만 아니라 IO-LINK PHY 디바이스에서 유일하게 -40~105℃까지의 동작 온도 범위를 지원해 혹독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TI 코리아 ☎ 02-560-6800 www.ti.com
KPN 시리즈 프로세스 컨트롤러 KPN 시리즈는 기존 KP 시리즈보다 10배 향상된 50ms의 초고속 샘플링과 ±0.3%의 표시 정도를 구현했다. 이 제품은 가열/냉각 동시 제어, 자동/수동 제어 및 통신 기능 지원 등 제어를 실현한다. 또한 바 그래프 채용으로 제어 출력 조작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PC로 파라미터 설정(USB 및 RS485)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대형 표시부와 고휘도 LED 채용으로 시인성 역시 대폭 강화했다. 코닉스 ☎ 032-820-2400 www.konics.co.kr
DataMan 300 산업용 바코드 리더기 DataMan 300은 현장에서 구성 및 교체가 가능한 모듈식 조명 장치가 탑재됐다. 특히 8개의 통합 조명 뱅크와 외부 조명은 개별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 제품은 버튼 하나를 누르는 것만으로 ‘지능형 튜닝’ 기능이 자동 보정 루틴을 실행하여 리퀴드 렌즈상의 빛과 초점 거리 조합을 결정한다. 그뿐만 아니라 DataMan 300 렌즈 마운트는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 널리 이용되는 모든 렌즈 스타일을 지원한다. 코그넥스 코리아 ☎ 02-539-9047 www.cognex.com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현되는 스마트 워크 이보성 이노그리드 본부장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통한 IT 인프라 혁신 방안 이노그리드는 국내 벤처 기업으로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 클라우드 솔루션을 바탕으로 작은 규모의 퍼블릭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고, IT 인프라를 도입하는 데 있어서 가장 고민되는 사내 업무용 시스템(메일, 파일 공유 등)을 어떻게 클라우드로 이전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가에 대해 짚어본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최근 IT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더 이상 클라우드를 빼고는 이야기할 수 없게 되었다. 클라우드란 IT 인프라,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서버, ERP, 데이터 등을 통칭하는 IT 자원이 네트워크를 통해 어느 정도 표준화된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클라우드로 정의되는 서비스라고 하면 Anytime, Anywhere, Any-device(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을 통해서든)로 원하는 만큼의 IT 서비스를 이용하고,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클라우드의 목적은 인프라스트럭처(Infra
TKA30/38/45 폐쇄형 케이블 캐리어 TKA30/38/45 시리즈는 이물질이 케이블 공간 안에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연결 부위까지 곧바로 이어진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들 제품은 최적화된 체인 링크 기하학 구조와 3중의 밀봉된 스트로크 시스템 설계로, 자체적으로 긴 길이를 지원함을 물론 뒤틀림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커버는 내부나 외부로 개방할 수 있으며, 유압 케이블을 이용할 때 무거운 기계 하중을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다. 카벨슐렙 코리아 ☎ 031-776-4420 www.kabelschlepp.de
GT800 감열/열전사 데스크톱 프린터 GT800 감열/열전사 데스크톱 프린터는 다양한 소/중량 볼륨의 프린팅 애플리케이션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들을 탑재하고 있다. 교체 빈도를 줄여 정지 시간을 최소화하는 300미터 리본, 초당 127mm의 고속 인쇄, 라벨 처리량을 위한 32비트 프로세서, 고속 프로세싱과 그래픽, 긴 라벨을 지원하기 위한 대용량 메모리 등을 채용해 생산성을 높였다. 세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10/100 이더넷 옵션 등 유연한 선택이 가능하다. 창성정보기술 ☎ 02-597-5972 www.csitcorp.co.kr
CK3X 모바일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인 CK3X는 1.5m 낙하 시험과 비와 먼지 등 IP54를 통과한 제품이다. EX25 2D 근/원거리 이미저를 채용해 전방향 스캐닝이 가능하다. 802.11 A/B/G/N 표준을 충족해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고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의 256MB의 램과 1GB 플래시 메모리를 장착했다. Vocollect 음성을 지원하도록 설계했으며 기존의 바코드 데이터 수집과 결합할 수 있다. 인터멕 ☎ 02-552-2484 www.interme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