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성 업, 에너지 다운…블랙아웃 꼼짝 마! 에너지 효율 관리 솔루션, 비상발전기 테스트 시스템 2011년 9월 발생한 대규모 블랙아웃 사태 시, 비상발전기의 60%가 작동하지 않았고 그로 인해 물질적 손해는 물론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손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비상시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비상발전기는 의미가 없다. 이제 실부하 테스트를 통한 비상발전기 테스트 솔루션이 블랙아웃 걱정 없는 고품질의 전력 제공을 책임진다. 에너지 절감 당면 과제 작금을 사는 이라면 누구나 에너지에 대해 많이 고민하지만 기본적으로 당장 에너지와 관련해서 그 심각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현 상태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머지않은 미래인 2050년 기준으로 지금의 에너지 사용 요구량보다 2배의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한다. 그때 지금처럼 에너지를 사용한다면 급격한 기후변화나 환경오염으로 인해 CO2 방출량을 현재의 2분의 1로 줄어야 지금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을 거라는 보고가 있다. 다시 말해 에너지 요구량은 현재의 2배가 필요하고 CO2 방출량은 2배를 줄여야 하는, 즉 에너지 딜레마에 처해 있다. 그런 만큼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당위적인 목표이다.
센서, 아는 만큼 보인다 센서 및 제어기기의 기본 개념과 활용 센서와 컨트롤러를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 정의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센서와 컨트롤러 구분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생산 현장에 적용할 때나 어떤 필요에 의해서 설계할 때 효율적인 시스템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센서 및 컨트롤러란? 센서의 정의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는 보이는 값을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가 여러분들을 보고 있다. 제 눈이 센서가 된다. 그렇다면 컨트롤러는 뭘까. 제가 여러분을 보면서 뒤에 앉아 계시는 분이 넥타이를 만지고 있다거나 물을 마시고 있다고 할 때 “물이 시원한가요?” 아니면 “넥타이가 틀어져 있네요.”라고 제 생각을 외부로 출력하는 것들을 컨트롤러라고 보면 된다. 다시 한 번 정의를 하면 센서는 보이는 것이고 컨트롤러는 보이는 것을 내부의 어떤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을 통해서 외부로 피드백시키는 것이다. 센서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겠다. 사실 오토닉스가 전 세계 모든 종류의 센서를 다 가지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주요 제품 대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토닉스의 제품을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보겠다. 우선, 근접센서가 있다. 말
기업용 클라우드 인식 증가…문제는 메일 ID 통합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통한 IT 인프라 혁신 방안 이노그리드는 국내 벤처 기업으로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 클라우드 솔루션을 바탕으로 작은 규모의 퍼블릭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고, IT 인프라를 도입하는 데 있어서 가장 고민되는 사내 업무용 시스템(메일, 파일 공유 등)을 어떻게 클라우드로 이전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가에 대해 짚어본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최근 IT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더 이상 클라우드를 빼고는 이야기할 수 없게 되었다. 클라우드란 IT 인프라,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서버, ERP, 데이터 등을 통칭하는 IT 자원이 네트워크를 통해 어느 정도 표준화된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클라우드로 정의되는 서비스라고 하면 Anytime, Anywhere, Any-device(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을 통해서든)로 원하는 만큼의 IT 서비스를 이용하고,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클라우드의 목적은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
ERP, 클라우드로 확장성 강화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통합 ERP 사례 기업의 변화 대응 시간이 매우 빨라졌다. 그중에서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프로세스 실행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는 점이다. 전자결제를 예로 들면, 예전에는 결제를 하나 받기 위해 결제판을 들고 왔다 갔다 하거나, 팩스를 보내거나 해서 결제를 받았지만 지금은 전자결제로 바로바로 처리하고 있다. 실행 속도는 엄청나게 빨라졌는데 문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화의 측면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혁신은 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IT 기술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통합 ERP 도입의 필요성 크게 대두 우리나라의 중견 중소기업의 IT를 통한 운영 프로세스 혁신 노력은 ERP를 중심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그러나 기존의 ERP 도입은 회계 패키지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경영진의 관점에서 통합 ERP 도입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하게 되었다. 그 배경에는 적시에 볼 수 있는 경영 관련 자료가 부족하다, 자료의 데이터에 대한 신빙성이 떨어진다, 수작업이 많아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에 문제가 생긴다, 회계의 투명성이 담보되지 않는
모바일 RFID ‘손 안에서 현장을 읽다’ RFID를 활용한 모바일 솔루션 소개 및 적용사례 저전력 경량화된 RFID 리더와 모바일 기술을 활용해서 새롭게 나온 게 모바일 RFID이다. 모바일 RFID는 플렉시블하게 이동하면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주로 반도체 공정 내 물류관리, 자산관리, 검침기 관리, 그리고 스마트워크 프로젝트라는 일환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RFID 장점들 먼저 RFID 시스템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가장 밑단에 태그가 있고, 리더와 안테나가 중간에 위치한다. 안테나를 통해서 주파수를 방사시켜서 태그를 깨워서 데이터를 취득하게 된다. 여기까지가 하드웨어 로우 레벨이다. 그 윗단에서는 소프트웨어가 이더넷이나 시리얼 통신을 이용해서 취득된 태그들의 정보를 관리한다. 기본 하드웨어는 크게 리더와 태그, 안테나 3가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파수 대역 별로 리더와 태그의 크기 및 형태가 다르다. 안테나 경우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루프 안테나로 쓸지, 다이폴 안테나로 쓸지 가변적이다. RFID의 목적은 모든 사물에 고유한 개체 식별을 부가해서 그것을 관리하겠다는 데에 있다. 모든 개체에 식별 정보를 부여해서 태그를 붙
M2M/IoT로 에너지 소모량 30배 절감 M2M/IoT 기술을 적용한 제조업 공정 개선 에너지 절약하면 생산성이라는 부분은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에너지를 끄는 형태를 얘기한다. 그러나 에너지를 끈다고 하는 것은 결국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생산을 안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 생산성을 올리면서도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바로 M2M/IoT 기술이다. M2M/IoT는 제조업의 공정을 개선하는 핵심기술로 에너지를 쓰되 생산성을 올리는 ICT 융합 기술이다. 미래 생산 시스템은 M2M 기반 u-매뉴팩처링 ‘기계+IT 융합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공장을 운영할 수 있다는 개념에서 만들어졌다. 공장자동화에 이런 시스템들을 적용하면서 e-매뉴팩처링, u-매뉴팩처링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되었다. 여기서 ‘e’는 과거 공장자동화의 한 부분을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형 관리 및 생산정보화 기술을 이용해서 기계제어의 전자화, 정보부여와 다기능화, 작업자와 기계간의 통신을 하는 의미로 P2M(Peer to Machine)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도 초에는 이러한 P2M을 기반으로 한 e-매뉴팩처링이 널리 구축되었다. 2000년도 후반에는 외부(타 기계, 인간,
가스스프링 TOSS는 국내 최초로 개발된 질소(N2) 가스스프링이다. 그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가스스프링을 국산화하여 합리적인 가격과 신속한 납기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기존에는 유럽이나 미국에서 수입하여 규격이 Inch 단위였지만 TOSS는 국내 산업 실정에 맞는 mm 단위의 규격을 세계 최초로 완성하였다. 또한 국내외 생산현장에서도 품질의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신원에스앤티 TEL 02-2675-6744, www.shinweon.com
초정밀 펄스 용접기 MPP는 금형 수정 및 정밀 용접에 가장 적합하도록 제작된 초정밀 펄스 용접기이다. 예열 없이 곧바로 용접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었으며, 세밀한 펄스 제어가 가능해 작은 금형에도 정밀한 용접이 가능하다. 또한 특별한 기계 조작이 필요없어 초보자도 숙련된 용접 기술자처럼 좋은 용접 품질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용접 후 수축,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예스레이저 TEL 02-2107-7177, FAX 02-2107-7377
고속 고정도 바피더 고속 고정도 바피더는 델타 HMI, 델타모터 및 Shilin PLC를 채용했으며, 조작자 편의를 위한 손쉬운 파라미터 세팅이 가능하다. 편리한 보수를 위한 한글 디스플레이를 채용했으며, 동기 제어장치 및 확정형 튜브(옵션)가 갖추어져 있고 모든 선반에 적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진다. 또한 소재 길이 확인 기능, 진동 감쇄를 위한 밀대 구조를 가진다. 페덱코리아 TEL 02-3436-6187, FAX 02-3436-6189
정밀 석정반 미크로 정반 ‘오석’은 높은 정밀도와 놀라운 안정성을 가지며, 주변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다. 전면이 검은 표면을 유지하고 있으며 자성을 띄지 않고, 원석 자체가 방식 기능을 하여 부식이 없다. 또한 내마모성, 내식성이 우수하며, 거친 표면,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제품 측정에 돌기 발생이 없고 정밀한 제품 측정에 적합하다. 미크로엠아이테크 TEL 031-354-2468, FAX 031-354-3016
용접흄 집진기 신영엔지니어링의 용접흄 집진기는 국내 최소의 콤팩트한 외형으로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아날로그 차압계로 분진축적 상황을 표시하여 필터 청소시와 교환 시기를 알려준다. 또한 특수 개발된 필터 여재는 99.97%의 높은 포집효율을 자랑하며, 인장강도가 높아 Media 파손의 염려가 없고 필터 프레임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되어 가볍고 튼튼하다. 신영엔지니어링 TEL 032-589-3650, www.syjjg.co.kr
사출성형 해석 소프트웨어 Simpoe-Mold는 프랑스 Simpoe SAS사에서 개발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해석 소프트웨어이다. 충진에서 변형까지 사출성형의 모든 과정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며, 제품을 개발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오류를 미리 예측해서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누구나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으며 복잡한 형상도 빠른 시간 안에 해석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제품이다. 프리즘 TEL 031-716-9488, www.prism21.co.kr
무인자동 밸런싱 시스템 프랙스이노베이션은 금형 내부에 설치하는 캐비티 센서 전문기업이다. VACA-B system은 동명테크와 공동 개발한 새로운 밸런싱 기술로, 각 캐비티별로 밸브 게이트를 적용하고 각 캐비티 충전 말단부에 캐비티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각 캐비티간 충전 완료는 충전 말단부의 캐비티 온도센서를 활용하고 밸브 게이트 개폐는 제어용 앰플리파이어 eDAQ를 활용한다. 프랙스이노베이션 TEL 02-2202-3356, www.plax.co.kr
미세 정밀 가공기 iQ300은 소형화, 고기능화가 진행되는 디지털 기기, 의료기기, LED, 반도체 관련부품 등의 정밀 미세 부품 가공 분야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가공기이다. 주축 최고 회전수가 45,000RPM으로 고속화된 주축을 탑재하였으며, 주축 모터 및 베어링 냉각 효율을 향상시켰다. 주축 진동 및 떨림을 억제하여 공구의 장수명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마키노후라이스제작소 TEL 02-856-8686, www.makinoseoul.co.kr
밀링 머신 고성능 서보 모터를 채택하여 소음이 없고 정확한 절삭 조건을 만족시키는 밀링 머신이다. 베이스와 칼럼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였으며, 재질은 FC30 이상을 채택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주축은 SCM-21 합금강 재질을 채택하여 탄소경화 처리와 정밀 연마를 거쳤으며, X, Y축은 정밀 볼스크류를 채택하여 이송이 순조롭고 정밀도도 우수하다. 삼성공작기계 TEL 032-714-0880, www.i-s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