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디안, AI 기반 복원 기술 적용한 불국사 법화전 모형 기증 전통 목조 건축 구조 분석 및 복원 설계 가속화한다 “문화유산 보존·복원에 과학적 정밀성 더해” 캐디안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문화재 보존·복원 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사측은 이 일환으로, AI 기반 설계·제작 솔루션을 적용한 1/10 크기의 ‘불국사 법화전’ 축소 복원 모형을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에 기증했다. 이번 기증은 국가유산청·국립문화유산연구원 주관 프로젝트인 ‘문화유산 스마트 보존·활용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캐디안은 해당 사업의 ‘AI 기반 전통 목조 건축물 목구조 분석 및 가상 설계 기술 개발’ 과제에 참여해 이번 성과물을 도출했다. 이 과제에서 전통 목조 건축물의 구조를 AI 기술로 정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불국사 법화전의 복원 설계를 진행한 뒤 정교한 미니어처 형태로 제작했다. 해당 모형은 향후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의 전시 및 교육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예정이다. 회사는 전통문화유산의 보존·활용 측면에서 디지털 기술의 접목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승훈 캐디안 대표는 “AI와 컴퓨터지원설계(CAD) 기술을 전통 건축 유산에 적용함으
DWE 시리즈 시장 상륙...증가한 측정 길이 및 높은 정밀도 갖춰 아날로그, IO-Link, Profinet, CANopen 등 지원 인터페이스 다각화 자동 창고 시스템, 모바일 기계, 무인운반차(AGV) 등에 도입 예고 터크가 새로운 드로우 와이어 엔코더(Draw-Wire Encoder) ‘DWE 시리즈’를 새롭게 출시했다. 이로써 선형 위치 센서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이 제품은 광학, 초음파, 레이더 센서 등 비접촉식 시스템이 한계에 도달하는 산업 환경에서 길이 측정 솔루션을 제공한다. 250mm부터 최대 40m에 이르는 광범위한 측정 길이를 지원하며, 아날로그 출력, IO-Link, Profinet, CANopen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작동 가능하다. 특히 티칭(Teachable)이 가능한 아날로그 출력을 통해, 부분 범위 사용 시에도 전체 출력 범위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모델에 따라, IP65·IP67·IP69K 등의 국제보호등급(Ingress Protection rating) 보호 규격을 만족한다. 아울러 –20~85°C에 이르는 온도 범위에서도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드로우 와이어(Draw-Wire) 메커니즘은 높은 가속도와 함께 최대 ±
‘RB-Y1’,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MIT·UC Berkeley 등 산·학 현장에 납품돼 미국 법인 확장 및 기술 지원 체계 구축, 인공지능(AI) 개발자 및 연구기관과의 협업 강화 등 시장 공략 활동 전개 예고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자사 차세대 이동형 양팔 로봇 ‘RB-Y1’을 앞세워, 미국 시장 내 입지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앞서 사측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조지아 공과대학교(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등 미국 소재 대학에 RB-Y1을 공급한 바 있다. 여기에 글로벌 기업 연구소에서도 해당 업체를 연구 플랫폼으로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23년에는 미국 일리노이주 샴버그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후, 이를 지난해 하반기에 시카고 인근 알링턴 하이츠로 이전하며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여기에는 데모룸, 기술 지원 센터, 교육 센터가 배치됐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개발자, 연구기관, 시스템통합(SI) 업체 등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현지 엔지니어 채용 및 본사
전기 커넥터 ‘도이치 커넥터(Deutsch Connector)’, 통신 네트워크 표준 ‘SAE J1939’ 적용 IP68 및 IP69K 안전 등급 기반 비접촉식 설계, 넓은 동작 온도 범위, 내구성 등 특징 강조 터크가 혹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각도 측정을 보장하는 ‘QR20 각도 센서’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전기 커넥터 ‘도이치(Deutsch Connector)’와 글로벌 통신 네트워크 표준 ‘SAE J1939’을 내화해, 모바일 장비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사측은 해당 모델을 포함해, QR20 엔코더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이러한 연결 방식과 비접촉식 설계 원리는 센서부터 인터페이스까지 국제보호등급(Ingress Protection rating)의 IP68 및 IP69K 등급을 충족한다. 케이블 충격, 진동 및 인장 하중 등에 대한 기계적 내구성을 갖춘 이 유도형 각도 센서는 모바일 장비에 최적화됐다. 터크 측은 별도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이나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 없이도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SAE J1939 출력을 지원하는 모델은 호환 네트워크에 손쉽게 통합 가
언매니지드 스위치 플러스(Unmanaged Switch Plus) 출시 기존 ‘언매니지드 스위치’에 신기능 이식...필수 관리 기능, 안정성 등 내재화해 어드밴텍이 필수 현장 관리 기능과 산업 환경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산업용 네트워크 라인업 ‘언매니지드 스위치 플러스(Unmanaged Switch Plus)’ 시리즈를 공식 출시했다. 해당 제품은 전작 ‘언매니지드 스위치’ 제품군의 간편성과 내구성은 유지하고, 웹 기반의 간편 설정 ‘원터치 활성화(One-Touch Activation)’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포트 기반 서비스 품질(QoS) 설정, 이더넷 전력 공급(PoE) 전력 제어, 가상 근거리 통신망(VLAN) 구성, 장애 알림 기능 등 다양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플러그앤플레이(Plug & Play) 방식을 차용한 기존 언매니지드 스위치의 설치 편의성을 유지한 것이다. 그러면서 네트워크 운영의 가시성과 안정성을 개선한 시도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이 제품은 –40~75°C에 이르는 넓은 동작 온도 범위를 갖췄고, 국제보호등급(Ingress Protection rating)의 IP30 등급을 획득했다. 사측은 견고한 외형
씨메스 미국 지사, 북미 식품 원료 제조사와 60억 원 규모 물류 자동화 솔루션 계약 맺어 향후 2년간 로봇 포대 팔레타이징(Palletizing) 솔루션 공급...올해는 25억 원 규모 첫 발주 확정 씨메스가 북미 소재 프리미엄 식품 원료 제조사와 약 430만 달러(한화 약 60억 원) 규모의 로봇 물류 자동화 솔루션 공급 수주를 따냈다. 이번 계약은 씨메스 미국 지사가 주계약자로 참여해 2년에 걸친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솔루션 공급 대상 업체는 유제품·식물성 분말, 시즈닝 등 맞춤형 식품 원료 솔루션을 제공하며 북미 식품 산업 전반에 걸쳐 공급망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는 해당 업체 공정 내 포대 팔레타이징(Palletizing)을 관장하는 솔루션을 우선 공급한다. 이 중 첫 발주는 7월 말(현지시간) 약 180만 달러(한화 약 25억 원) 규모로 확정됐다. 내년부터는 씨메스 3D 비전 시스템으로 솔루션을 확장·고도화해, 계약 조항에 따라 사업 범위를 더욱 넓힐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포대 팔레타이징 솔루션은 고중량 포대 제품 적재 공정을 자동화하고, 생산성·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됐다. 인력난과 비용 상승 등 허들이 높아
급변하는 CAD 시장, 새롭게 요구되는 ‘효율적 혁신’ 현재 컴퓨터지원설계(CAD) 기술은 제품 설계, 건축, 엔지니어링, 제조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변혁기를 맞은 글로벌 CAD 시장은 인공지능(AI),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클라우드 컴퓨팅, 빌딩정보모델링(BIM), 3D 스캔 데이터 통합 등 최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추세다. 최근 CAD 시장의 주요 이슈는 AI와 머신러닝이 설계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원격 근무 환경 확산과 글로벌 협업 증가로 클라우드를 통한 실시간 설계 공유 및 협업 기능이 핵심 역량으로 부상하고 있다. 건축 및 건설 분야에서는 설계·시공·유지보수 등 전 생애주기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BIM의 도입이 의무화되거나 권장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호환성, 특히 DWG(Drawing) 파일의 충실도와 특정 공급업체(Vendor)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적인 생태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2차원(2D)에서 3차원(3D)
중국 증시 상장 절차 돌입...기업가치 약 1조9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 중국 소재 로봇 업체 유니트리로보틱스(Unitree Robotics 이하 유니트리)가 중국 증시 상장 절차에 들어갔다. 지난 19일(현지시간) 재련사·증권시보 등 다수의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는 전날 누리집을 통해 유니트리가 저장성 증권감독국에 상장 지도(Tutoring)를 위한 등록을 마쳤다. 이때 상장 지도는 중국 증시에서 기업공개(IPO)를 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다. 현재 유니트리는 창업자 겸 최대 주주 왕싱싱(Wang Xingxing)이 지분 23.82%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왕싱싱은 합작사 상하이위이기업관리컨설팅합작회사를 통해 10.94%의 지분을 간접적으로 통제하며, 종합하면 총 34.7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상장지도기관 중신증권(CITIC Securities)은 유니트리가 오는 10월부터 12월까지 IPO 요건을 충족하는지 종합 평가하고, 관련 규정에 따라 상장 신청 서류 준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유니트리의 상장 관측이 제기되면서 현지 매체들은 유니트리의 기업가치가 100억 위안(약 1조9400억 원)에 달
로봇 제조 인프라 본격 가동...각 현장 맞춤형 로봇 솔루션 공급 가속화 연간 산업용 로봇 8000대, 협동 로봇 2000대 생산 가능한 제조 체계 갖춘다 로볼루션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부지에 로봇 생산 인프라를 구축했다. 회사는 지난 25일 의창구 대산면 봉강가술로에 배치된 신사업장에서 확장 개업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본격적인 로봇 제조 인프라 구축을 알린 것으로, 향후 국내 로봇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사측의 비전도 함께 제시했다. 로볼루션은 로봇 자동화 솔루션 업체 뉴로메카의 자회사다. 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 FPD(Flat Panel Display)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제작·통합하고 있다. 로봇 본체부터 각종 로봇 특정 부분 말단에 탑재되는 엔드이펙터(End-effector), 제어 기술, 스마트 자동화 솔루션까지 전 공정을 자체 수행할 수 있는 전천후 제조 체계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의료 수술용 협동 로봇, 도축 자동화 시스템, 고중량 팔레타이징(Palletizing) 로봇, 모따기(Deburring) 및 연마(Polishing) 공정 등을 대표 기술로 강조한다. 이를 기반으로 정밀성·신뢰성이 요구되는 산업 분야에서 기술력을 입증
현장 디지털 전환(DX)의 핵심 플랫폼으로 진화한 HMI HMI(Human Machine Interface)는 작업자와 기계가 소통하는 핵심적인 접점 기술이다. 산업 현장에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인버터(Inverter)·센서(Sensor) 등 다양한 장비를 연결하고, 그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이 기술의 주요 역할이다. 작업자가 설비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모니터링·제어하도록 지원하는 기능 또한 HMI의 핵심이다. 다시 말해, HMI는 현장의 모든 정보를 집약하고 직관적인 조작을 돕는 터치스크린 기반 통합 관제 시스템이다. 과거 HMI는 기본적인 제어 기능과 정보 표시 수준에 머물렀다. 이후 4차 산업혁명 도래로 인해,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데이터센터(Data Center) 등 차세대 인프라의 중요성이 급증하면서 HMI의 역할은 급속도로 진화하는 중이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와 산업 트렌드는 HMI의 전략적 중요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 분석 기관들은 향후 5년간 HMI 시장이 연간 5%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HMI가 스마트 산업 인프라 환
새로운 시대, 새로운 질문: ‘BOT’과 공존의 길을 찾다 영화라는 예술 분야에도 새로운 기술이 도입돼 혁신적인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스크린 너머의 이야기를 단순히 관람하는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 관객은 다양한 첨단 기술을 통해 이야기 속으로 직접 뛰어들어 주인공이 되기도 하고, 가상 세계 속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형태의 영화적 경험을 영위하고 있다. 이는 곧 관객을 스크린 안으로 투입시키는 놀라운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3부에서는 이러한 기술 진보가 가져온 영화 경험의 혁신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과거·현재·미래의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관객 참여형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어떻게 열어가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관객은 능동적으로 스토리를 만들어나가고, 등장인물과 교감하는 새로운 영화적 주체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과 기술의 공존이라는 더 큰 주제 속에서 로봇 영화의 미래를 어떻게 재정의할지, 그리고 우리에게 어떤 새로운 질문을 던질지 함께 고민해보는 여정의 시작이 될 것이다. ① 관객이 주인공이 되는 현장형·참여형 영화의 시대 기술 진보는 관객을 이야기 속으로 직접 뛰어드는 경험으로 이끌고 있다. 가상
‘로보컵 2025’ 홈서비스 부문 1위 부산대 팀 격려...기술력·혁신성 인정 “대한민국 인공지능(AI)·로봇 기술력 전 세계 입증해” 내년 인천서 개최하는 ‘로보컵 2026’ 계기로, AI·로봇 기술 고도화 위한 정부 지원 천명 이재명 대통령이 국제 인공지능(AI) 로봇 대회 ‘로보컵 2025(RoboCup 2025)’에서 홈서비스 부문 1위를 차지한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타이디보이’팀 학생들에게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우리 학생들이 치열한 경쟁 가운데, 세계 최고 수준의 AI 로봇 기술력·혁신성을 인정받아 큰 자부심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의 AI·로봇공학 기술 역량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고 높이 평가하며 “이를 계기로 우리의 우수한 기술과 인재가 세계 무대에서 더 큰 활약을 펼칠 수 있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끝으로 “내년 로보컵이 인천에서 개최되는 만큼, 앞으로도 우리나라가 AI 로봇 기술 분야를 선도해 나가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내년 로보컵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로보컵 2025’ 열린 브라질 살바도르서 대회기 가져와... 내년 대회 준비 본격화 내년 7월 중 송도컨벤시아서 50여 개국 3000여 명 참가 예정 인천형 로봇 산업 육성 정책 소개, 로봇·AI 분야 글로벌 혁신 플랫폼 위상 강화 ‘정조준’ 인천시가 이달 21일(현지시간) 브라질 살바도르에서 열린 ‘로보컵 2025(RoboCup 2025)’ 폐막식에서 차기 개최지로서 대회 상징인 대회기를 공식 인수했다. 이로써 ‘로보컵 2026 인천(RoboCup 2026 Incheon)’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로보컵은 지난 1996년 일본 오사카에서 'Pre-RoboCup'으로 시뮬레이션 대회로 첫 개막해, 이듬해 일본 나고야에서 공식적으로 첫 개최한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로봇 대회다. 올해는 이달 15일(현지시간)부터 이레간 37개국에서 총 1500명의 선수가 2000여 대의 로봇을 들고 참가했다. 로봇 축구, 홈 서비스, 산업 자동화, 재난 구호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실력을 겨뤘다. 이날 폐막식에 참석한 황효진 인천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인천시 대표로, 인천의 대회 개최 책무 및 비전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내년 대회는 내년 7월 중 인천 송도컨벤시아
한국기계연구원 중심으로 한 산·학·연·정 협력 ‘K-AI 휴머노이드’ 개발 착수 인간 수준 신체 능력, 작업 지능 기반 플랫폼 목표 “자율 성장 인공지능(AI) 두뇌 및 데이터 팩토리 구축” 1가구 1로봇 시대 대비 원천 기술 확보에 총력 한국기계연구원(KIMM)을 포함한 국내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이 미래 로봇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K-AI 휴머노이드’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한국기계연구원이 총괄하는 ‘자율 성장 AI 휴머노이드 글로벌 TOP 전략 연구단(Autonomous Growth AI Humanoid Global TOP Strategic Research Group)’은 지난 22일 대전 본원 열린 ‘K-AI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에서 이 같은 비전을 선포했다. 연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출연연을 임무 중심의 개방형 협력체계로 재편하기 위해 마련한 연구 지원 사업이다. 이들은 인간 수준 이상의 신체 능력과 작업 지능을 갖춘 휴머노이드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단에는 한국기계연구원을 포함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등 3개 출연연이 참여한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9개
머스크, 로보택시 사업으로 반전 노려...연말 미국 인구 절반 서비스 제공 공언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 악재 인정 “AI·로봇 리더십으로 미래 가치 극대화 전망” 테슬라 최고경영책임자자(CEO)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이끄는 전기차 제조 업체 테슬라(Tesla)가 2개 분기 연속으로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다. 이에 머스크는 테슬라의 미래에 대해 또다시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반면 시장은 냉담한 반응을 보이는 분위기다. 지난 23일(현지시간) 테슬라가 공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총매출은 224억9600만 달러(약 31조14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이러한 매출 감소 폭이 테슬라 역사상 최소 10년 만에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순이익(EPS) 역시 0.40달러(약 500원)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23% 줄어든 수치다. 매출과 EPS 모두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의 평균 예상치를 하회했다.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42% 급감한 9억2300만 달러(약 1조2700억 원)를 나타냈다. 영업이익률은 4.1%로 작년 동기인 6.3%보다 2.2%포인트 낮아졌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