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국토교통부는 지난 1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25회 물류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물류산업 발전에 기여한 물류인을 격려하고 물류 분야 종사자들의 자긍심과 사기를 높이기 위해 개최하는 행사로, ‘한국물류대상 시상식’을 비롯하여 우수물류기업 인증서 수여, 물류기업 상생협력 콘퍼런스 및 투자 협약식 등이 열렸다. 올해는 맹성규 국토교통부 2차관을 비롯해 조정식 국토교통위원장, 박근태 통합물류협회 회장 그리고 500여 명의 물류 종사자와 관계자가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물류산업은 최근 5년간 6%대의 고속성장으로 총매출 92조 원,기업체수 19만 개, 종사자수 59만 명 등 국가기간산업으로 성장해 왔다. 또한 종전의 단순 수송·보관 중심, 제조업 지원역할에서 생산‧배송‧유통과 융합한 고부가가치 종합 서비스산업으로 발전 중이며, 전자상거래의 발달을 토대로 택배물량이 20억 상자를 돌파하는 등 소비자 물류시장에서 급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한국물류대상 시상식에서는 올 한 해 동안 물류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인 등에게 훈장 1명, 산업포장 2명, 대통령표창
[첨단 헬로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그간의 동반성장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상생협력 시대를 열기 위한 소통 마당이 열렸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동반성장위원회와 함께 지난 1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7년 동반성장주간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상생협력’을 슬로건으로 열린 금년 동반성장주간 행사는 대기업 간담회, 동반성장 대토론회, 대․중소기업 구매상담회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함께 열렸으며, 박정 국회의원, 중기부차관 등이 기념식에 참석하여 동반성장 유공자를 포상하고 그간의 노고를 격려했다. 기념식에서는 대·중소기업간 협력으로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와 우수기업에 대한 시상이 진행되었다. 3,400여 중소협력사의 연매출 5조원 실현에 기여한 KT 윤경림 부사장과 전자부품 정밀 패키징 기술을 개발해 지역 주력산업을 육성한 진성전자 서길호 대표이사가 동탑훈장의 영예를 안았다. 기술제안전시회를 도입, 협력사의 매출에 기여한 LG생활건강 박헌영 상무와 110여명의 전문지원 조직을 구성, 협력사 품질향상에 기여한 LG전자 권순걸 부장이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최수규 중소벤
[첨단 헬로티] LG전자가 퀄컴(Qualcomm)과 함께 자율주행차 부품시장 선점에 나선다. LG전자와 퀄컴은 지난달 19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 공동개발 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협약식에는 LG전자 CTO부문 안승권 사장, 스마트사업부 김진용 부사장과 퀄컴 자동차사업총괄 나쿨 두갈(Nakul Duggal) 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날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LG전자 서초 R&D캠퍼스 내에 이동통신 기반 V2X(Vehicle to Everything, 차량과 모든 개체 간 통신) 등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과 미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소를 설립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또 LG전자와 퀄컴은 내년 말까지 마곡산업단지 내에 연면적 1,320 제곱미터(㎡) 규모의 연구소를 추가로 설립할 계획이다. 양사는 LG전자가 차량용 통신 및 커넥티드카 부품 분야에서 축적해 온 역량에 퀄컴의 LTE는 물론 5G에 이르는 최신 차량용 통신칩셋 기술을 결합한 앞선 커넥티드카 솔루션을 선보임으로써 자율주행차 부품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양사가 공동개발하는 차량용 5G 통신기술은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글로벌 시험인증 기관인 TÜV SÜD(티유브이슈드)와 함께 삼성전자 LED 전장 부품에 대한 공동 시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삼성전자 LED 사업팀과 TÜV SÜD는 지난달 24일 여의도 투아이에프씨에 위치한 TÜV SÜD Korea 본사에서 공동 시험 프로그램 개발 기념식을 가졌다. 독일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는 TÜV SÜD는 15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글로벌 인증 기관으로 사람, 환경, 재산의 안전 보호를 위해 시험, 인증, 검사, 교육 등 종합적인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동차 시험 인증 분야에서 100년 이상의 역사와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한다. 일반적으로 완성차 업체에 전장용 LED 부품 공급 시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진행한 제품 품질 시험결과가 요구된다. 삼성전자는 LED 전장업계 최초로 제 3자 인증기관과 공동으로 시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프로그램에 전장부품관련 국제 규격인 AEC-Q102 시험 외 TÜV SÜD와 공동 발굴한 안전 시험 항목을 추가 적용해 품질 검
[첨단 헬로티] 현대차그룹이 한국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스마트공장 확산에 적극 앞장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함께 지난달 25일 경기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이영섭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광식 현대차그룹 부사장,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 150개 협력사 대표 등 2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 산업혁신운동 및 스마트공장 발대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는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에서 스마트공장 추진 계획을 발표한 후 현대차그룹이 협력사 품질경쟁력 확보 방안 및 스마트 공장 구축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성공적인 완수를 위해 참석자 모두가 결의를 다지는 순으로 진행됐다. 현대차그룹은 산업부와 함께 산업혁신운동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2017년까지 5년간 264억원, 즉 현대차그룹 251억원, 산업부 13억원을 지원해 총 1150개 중소기업의 공정혁신 및 스마트공장 전환을 지원한다. 이와 별도로 현대차그룹은 광주창조혁신센터와 함께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40억원을 지원해 광주지역 200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도 지원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업체당 2000만원을 지원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전환을
[첨단 헬로티] 하니웰 Sensing & IoT 사업부가 신제품 MicroPressure Board Mount Pressure Sensor - MPR 시리즈를 출시했다. 새로 출시한 MPR 시리즈는 초소형 압전저항 실리콘 압력센서로서 풀스케일 스팬 및 온도 범위에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출력을 제공한다. 온보드 주문형반도체(ASIC)를 사용하여 특정 온도 범위의 센서 오프셋, 감도, 온도 효과, 비선형성에 대해 보정 및 온도 보상이 가능하다. MPR 시리즈 제품은 대량 주문 생산(연간 25만개 이상)의 소비자용/비소비자용 의료기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압력센서다. MPR 시리즈는 초소형 디자인으로 PCB 설치 공간 최소화가 가능하다.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이 있어 시스템 연결 및 구현이 용이하다. 부수적인 장착 요구사항을 최소화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직접 연결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IPC/JEDEC J-STD-020D.1 습도민감도레벨-1(Moisture Sensitivity Level-1) 표준 등급을 준수하며, 저전력 동작으로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배터리 수명도 연장해 준다. 보상된 온도 범위 내에서
[첨단 헬로티] LS전선은 폴란드 남서부 지에르조니우프市에 차량 배터리용 부품 생산법인(LS EV Poland)을 설립한다고 지난 2일 밝혔다. 유럽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비중을 늘려가고 있으며 국내 배터리 업체들도 생산거점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유럽 본토에서 시장을 선점하고, 적기에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LS전선은 전기차 및 일반 차량용 배터리에 사용되는 전장부품을 생산, 완성차 업체와 배터리 제조사 등을 대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연간 약 20만 대의 차량용 배터리에 납품이 가능하다. 국내 전선업체로서는 유럽의 첫 생산거점이다. 이로써 LS전선은 미국, 중국, 베트남, 인도 공장을 포함, 총 7개의 생산법인을 보유하게 되었다.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글로벌 거점 전략에 의해 유럽 진출의 교두보로서 폴란드에 생산법인을 설립하게 되었다”며 “유럽에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 등에 대한 확장 투자도 검토 중으로, LS전선은 미래를 위한 선행투자를 계속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LS전선은 최근 총 200억 원 가량을 투자, 지에르조니우프市 경제특구에 대지 26,450m2(8,000평), 건평 9,920m2(3,0
[첨단 헬로티] 콘티넨탈이 새롭게 확대한 차량 전동화 포트폴리오를 중국에 선보인다고 밝혔다. 고전압 전동화 솔루션은 순수 전기자동차를 실현하는 중요 요소이고, 최우선적으로 ‘현지화(local-for-local)’ 되어야 하는 제품이다. 2017년 계획하고 있는 전동화 공장 가동은 중국 차량 전동화 사업에 대한 콘티넨탈의 의지를 잘 보여준다. 콘티넨탈은 올해 말 중국 텐진에서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MHEV)의 솔루션의 생산을 시작한다. 또한 중국 시장의 요구조건에 맞춘 배터리 전기자동차(EV)용 통합형 고전압 구동시스템도 중국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콘티넨탈 구동 사업본부의 루돌프 스타크(Rudolf Stark) 전기차부품 사업부 담당 부사장은 “콘티넨탈은 이-모빌리티 분야의 기술 선두기업이다”며 “이미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드라이브 시스템 기술을 대규모 양산하고 있으며, 콘티넨탈에 있어 차량 전동화는 친환경 이-모빌리티의 미래로 가는 길이다”고 말했다. 콘티넨탈의 검증된 차량 전동화 포트폴리오에는 전기 모터, 인버터 및 전력 변환장치 같은 구동시스템 핵심 부품 외에도 배터리 관리 및
[첨단 헬로티] SK텔레콤이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함께 산학연 자율주행 공동연구 연합체 어라운드 얼라이언스(AROUND Alliance))를 지난달 31일 발족했다 ‘어라운드 얼라이언스’는 국내 자율주행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 대학, 연구소가 서로의 역량과 인프라를 공유해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됐다. ‘어라운드 얼라이언스’는 △사고 위험 없는 자율주행을 위한 인공지능 및 주행 인지·판단 소프트웨어 고도화 △범용 자율주행 플랫폼 구축 △주요 소프트웨어 오픈 소스 제공 △인재 양성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차량 통신 기술인 V2X(Vehicle to Everything)를 활용한 차량과의 협력 주행, 차량-사물인터넷간 안전 정보 교환 분야 등의 공동 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어라운드 얼라이언스’는 범용 자율주행 플랫폼을 구축해 국내 자율주행 상용화를 가속화한다. 연합체는 기업, 기관별로 산재돼 있는 국내 자율주행 플랫폼의 규격 통일을 주도하고, 핵심 소프트웨어를 오픈 소스 로 공개할 계획이다. 이에
[첨단 헬로티] 현대자동차가 자동차 제품경쟁력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플랫폼 부문을 혁신할 30년 경력의 고급차 플랫폼 기획 전문가를 영입한다. 현대자동차는 지난달 31일 BMW에서 플래그십 라인 7시리즈와 고성능 모델 ‘M’ 브랜드의 플랫폼 개발을 주도한 ‘파예즈 라만(Fayez Abdul Rahman)’을 제네시스아키텍처개발실장(상무)으로 영입한다고 밝혔다. 11월부터 합류하는 ‘파예즈 라만’ 상무는 플랫폼과 패키지 개발 부문에서 30년간 축적한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해 현대자동차 고유의 미래 플랫폼 개발 방향성을 정립하고 플랫폼 개발 전 과정에 걸친 혁신을 담당한다. ‘파예즈 라만’ 상무는 일단 제네시스 브랜드의 플랫폼(아키텍처) 기획과 개발을 담당하고, 이후 현대자동차 플랫폼 개발에 참여한다. 먼저 제네시스아키텍처개발실장으로서 고급차 경쟁력의 핵심요소인 다이내믹한 주행성능과 승차감, 안전성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최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ICT시스템을 차량에 완벽하게 담아낼 수 있는 첨단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플랫폼 개발 선행단계부터 강건설계(
[첨단 헬로티] 삼성SDS가 현 대표이사인 정유성 사장이 사임을 표명함에 따라 지난 2일 후임 대표이사에 삼성SDS 솔루션사업부문장인 홍원표 사장을 내정했다. 홍원표 신임 삼성SDS 대표이사 사장은 미국 벨통신연구소, KT 휴대인터넷사업 본부장(전무) 출신으로 2007년 삼성전자에 입사 후 무선사업부 상품전략팀장(부사장), 글로벌마케팅실장(사장) 등을 거쳐 2015년 말부터 삼성SDS 솔루션사업부문장을 맡아 왔다. 홍 사장은 정보통신분야 및 S/W 플랫폼 관련 폭넓은 지식과 경험 및 글로벌 역량을 바탕으로 삼성SDS를 Global Top Tier IT 솔루션&서비스 기업으로 성장시켜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SDS는 부사장 이하 2018년 정기 임원인사도 조만간 마무리해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첨단 헬로티] 쌍용자동차가 자율주행 자동차 임시운행 허가를 받아 일반도로에서 시험 주행을 시작한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이번에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자동차는 티볼리 에어 기반의 자율주행 자동차로, 쌍용자동차는 지난달 국토교통부에 임시운행 신청서를 제출하고 인증시험을 통과해 지난달 16일 자율주행 레벨3의 임시운행 허가를 받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6년 2월 시험·연구 목적의 자율주행 자동차 임시운행 허가 제도를 도입해 실시하고 있으며, 레벨3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고속도로 등 일정구역을 자율주행 할 수 있는 수준을 말한다. 이에 따라 쌍용자동차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공용도로 운행 관련 성능 개발 및 검증을 위해 임시운행 번호판을 발급 받았으며, 이달부터 시험주행로 및 일반도로에서 기술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험 주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티볼리 에어 자율주행자동차는 차선 유지 및 변경, 차간 거리 및 속도 유지 기능이 탑재됐으며, 차선 변경시 사각지대에서 장애물 위험이 감지될 경우 운전자 경고 알림 및 차선 변경 정지 기술이 적용돼 안전성을 강화하고, 야간 운행 및 우천 시에도 안정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해 시스템 신뢰성을 확보했다. 한편
[첨단 헬로티] 페이스북이 국내 개발자와 신생 기업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플랫폼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는 ‘플랫폼 밋업(Platform Meetup)’을 서울에서 개최한다. 3일 양재동 엘타워에서 진행되는 플랫폼 밋업 행사에서는 페이스북 플랫폼을 통해 비즈니스 성장을 도모하는 국내 개발자 및 신생 기업의 지원을 위한 파트너십 전략 등이 소개된다. 참석 기업 및 개발자는 페이스북 제품 및 제휴 팀과의 세션을 통해 플랫폼 개발과 관련된 노하우를 공유 받고 지역 내 관련 기업과의 네트워킹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페이스북 파트너십 팀은 신생 모바일앱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인 'FbStart', 개발자 커뮤니티의 네트워킹과 성장을 돕는 'Developer Circles' 등을 통해 보다 많은 기업과 개발자가 페이스북 플랫폼을 활용해 비즈니스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국에도 지난 2015년 첫선을 보인 바 있는 FbStart는 현재 130곳이 넘는 국가의 약 6,000여 개의 스타트업을 위해 앱 기획 및 제작 전반에 걸친 무료 개발 도구와 멘토링을 제공하고 있다. 각 지역의 개발자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첨단 헬로티]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10월 13일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이 대표이사 사임을 발표함에 따라 11월 2일 삼성디스플레이 OLED사업부장인 이동훈 부사장을 후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 내정했다. 이동훈 신임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은 삼성SDI 브라운관사업부 마케팅팀장, 삼성디스플레이 전략마케팅실장 등을 역임한 디스플레이 영업마케팅 전문가다. 이 사장은 2015년 OLED사업부장으로 부임하여 차별화된 제품과 시장 다변화, 대형 거래선 개척을 통해 글로벌 OLED 시장에서 절대우위를 실현하며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 사장은 이번 승진과 함께 새로운 리더십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업의 지속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부사장 이하 2018년도 정기 임원인사도 조만간 마무리해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는 세트부문의 선행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DMC연구소와 소프트웨어센터를 통합해‘ 삼성 리서치(Samsung Research)’로 확대 재편한다. 삼성 리서치는 세트 부문의 통합연구소라고 할 수 있으며, 전세계 24개 연구거점과 2만여명의 연구개발 인력들을 이끌어 가는 명실상부한 선행 연구개발의 허브 역할을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부사장급으로 운영돼 왔던 연구소를 사장급 조직으로 격상하고 신임 CE부문장인 김현석 사장이 연구소장을 겸직하도록 해, 글로벌 선행연구 조직으로서 위상과 기능도 대폭 강화했다. H/W와 S/W로 이원화됐던 연구조직을 통합한 배경은 미래 융복합 기술에 대한 시너지를 제고하고,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인 인공지능(AI), IoT, 보안 등 미래 선행기술 확보에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CE부문장이 관장하던 DMC연구소와 IM부문장의 이끌던 소프트웨어센터를 통합함으로써, 전사 차원에서 신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혁신을 이끄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삼성전자는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