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가형 인공지능(AI) 공개가 세계 IT 업계에 충격을 준 가운데 인도도 올해 안에 자체 파운데이션 AI 모델들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는 등 AI 개발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31일(현지시간) 현지 매체와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아슈위니 바이슈노 인도 정보통신부 장관은 전날 수도 뉴델리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바이슈노 장관은 정부가 AI 관련 18개 프로젝트를 최근 선택했다면서 이들 프로젝트를 제안한 업체는 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 등과 관련해 정부 지원을 받아 농업과 기후변화 등의 부문에서 AI 관련 앱을 구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도에서 만들어진 이들 파운데이션 AI 모델은 전 세계 최상 모델과 경쟁할 것"이라며 6개 주요 개발업체가 연내에 파운데이션 AI 모델들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생성형 AI의 기반이 되는 파운데이션 AI 모델들은 광대한 데이터로 훈련해 더 광범위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AI 패러다임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바이슈노 장관의 이번 언급은 딥시크가 최근 저가형 AI를 출시해 IT 업계에 충격을 안긴 가운데 나왔다. 그는
아마존 노바 마이크로, 아마존 노바 라이트 등 4개의 최첨단 모델 포함해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는 오늘 AWS 리인벤트에서 광범위한 작업에서 최첨단 인텔리전스와 업계 선도적인 가격 대비 성능을 제공하는 차세대 파운데이션 모델(FM)인 '아마존 노바(Amazon Nova)'를 발표했다. 아마존 노바 모델은 아마존 베드록에서 사용 가능하며, 아마존 노바 마이크로(매우 빠른 텍스트-텍스트 변환 모델), 아마존 노바 라이트, 아마존 노바 프로, 아마존 노바 프리미어(텍스트, 이미지, 비디오를 처리하여 텍스트를 생성하는 멀티모달 모델)를 포함한다. 아마존은 또한 두 가지 추가 모델인 아마존 노바 캔버스(스튜디오급 이미지 생성) 및 아마존 노바 릴(스튜디오급 비디오 생성)을 출시했다. 로힛 프라사드(Rohit Prasad) 아마존 인공 일반 지능(AGI) 수석부사장은 "아마존 내부적으로 약 1,000개의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이 진행 중이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여전히 고민하는 문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새로운 아마존 노바 모델은 내부 및 외부 개발자의 이러한 과제 해결을 돕고, 지연 시간, 비용 효율성, 맞춤화, 검색 증강 생성(RAG), 에이전트
Motif, 1020억 개 파라미터 보유한 한국어 LLM으로 높은 한국어 성능 기록 모레는 자체 개발한 한국어 LLM(거대언어모델) 파운데이션 모델인 ‘Llama-3-Motif-102B(이하 Motif)'를 허깅페이스에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3일 밝혔다. 국내 주요 IT 기업 등에서도 초대형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 이번 Motif 사례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모든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AI인 한국어 LLM 파운데이션 모델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소스 코드까지 공개하는 것은 국내 AI 산업 발전에 있어 큰 의미를 가진다. 자국어 전문 AI 역량 확보는 소버린 AI의 필수요소이기 때문이다. 모레는 메타가 LLM 라마를 오픈소스로 공개한 이후, 전 세계 AI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된 것과 같이 고성능 한국어 LLM을 오픈소스로 배포해 한국 AI 생태계 성장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AI 모델 사업 본격 추진을 위한 자회사도 설립할 예정이다. 이번에 모레가 공개한 'Motif'는 기존 출시된 최고 LLM의 한국어 성능을 능가한다. Motif는 1020억 개의 매개변수(파라미터)를 가진 한국어 LLM으로, 한국판 AI 성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