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너리가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하 KMAC)과 제품별 환경영향평가 솔루션의 화이트라벨링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그리너리는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탄소회계, ESG 공시대응 기능까지 포함한 플랫폼을 개발해 KMAC에 제공한다. 그리너리의 LCA시스템은 제품 생애주기별 환경영향평가와 공정별 탄소 배출량을 관리할 수 있는 LCA(Life Cycle Assessment) 솔루션이다. 공정흐름도 기능으로 정확한 LCA를 도출할 수 있고 각 공정별로 탄소 감축 및 효율화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업의 환경규제 담당자는 탄소발자국, 자원소비 등 환경영향 지표를 편리하게 분석할 수 있다. 내년에는 사업장별 탄소배출량을 산정하는 탄소회계, ESG 공시대응을 위한 기능도 탑재한다. 그리너리는 KMAC과의 화이트라벨링 협력을 통해 환경시스템 시장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KMAC는 DX, 에너지, ESG, 스마트PI 등 다양한 분야의 컨설팅 역량을 갖춘 경영컨설팅 전문 기업으로 솔루션 기반 컨설팅 사업을 최근 적극적으로 확대해가고 있다. 그리너리와 KMAC이 보유한 환경 노하우를 지속적으로 결합해 클라우드 기반의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탄소회계 전문기업 오후두시랩과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대표 김병훈)이 지난 24일, 탄소회계 전문기업 오후두시랩(각자대표 설수경, 오광명)과 ‘디지털 무역과 탄소 데이터 관리 기술 연계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최근 해외 주요국 중심으로 환경 무역장벽이 높아짐에 따라 수출기업이나 제품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발맞춰 디지털 무역과 탄소회계를 대표하는 두 기업이 손잡고 선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무역 탄소 데이터 관리 기술 실증 △상호 기술 교류 및 데이터, 정보교환 △신사업 공동 발굴·추진 등에 있어 긴밀히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KTNET의 디지털 무역·물류 인프라와 오후두시랩의 탄소회계 솔루션 ‘그린플로’를 연계해 수출입 업무에 필요한 디지털 기반의 탄소배출량 관리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수출기업은 EU 배터리법,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디지털제품여권(DPP) 등 환경무역규제 대응에 필요한 탄소배출량 측정부터 보고까지 KTNET의 디지털 무역·물류 플랫폼을 통할 수 있게 돼 향후 해외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