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아이 도입으로 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크게 줄여 펀진이 자사의 합성데이터 생성 플랫폼 ‘이글아이(EagleEye)’가 군의 시험평가를 통해 ‘군사용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이로써 펀진은 육군인공지능센터와 공동 수행한 ‘AI 기반 합성데이터 생성기술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국방 AI 분야에서 의미 있는 첫발을 내디뎠다. 이번 실증사업은 실제 작전환경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군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추진됐다. 군은 보안과 작전 지속성 문제로 인해 수집 가능한 데이터가 제한적이고, 이미 확보된 정보 또한 상황 편중 문제로 인해 AI 기술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펀진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AI 기반 합성데이터 생성 플랫폼 ‘이글아이’를 통해 극히 드문 상황이나 확보가 어려운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로 생성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검증에 나섰다. 이글아이는 다양한 환경 조건과 객체를 반영해 프롬프트 기반으로 자동 생성이 가능한 기술이다. 이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시험성적서를 확보한 상태에서 이번 군의 시험평가를 통해 ‘군사용 적합’이라는 인증까지 획득함으로써 기술의 안정성과 실용성을 모두 입증했다. 기존에는
CJ는 20일 인공지능(AI)센터를 공식 출범시키며 그룹의 디지털 혁신에 속도를 낸다고 밝혔다. CJ는 이날 서울 강남구 신사동 신사스퀘어에서 연구실과 사무공간, AI쇼룸 등으로 구성된 4층 규모의 AI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AI센터에는 산학협력 및 업계 교류를 위한 외부 연구진과 스타트업의 입주 공간도 갖춰져 있다. 애플과 야후, 페이팔 등을 거쳐 메타(옛 페이스북)에서 엔지니어링 조직 리더를 지낸 이치훈 센터장(경영리더)을 비롯해 30여명의 연구원이 근무한다. CJ는 앞으로 AI 전문역량을 갖춘 우수인력을 지속해서 확충하고 AI센터를 그룹의 AI 허브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AI센터는 계열사별로 분산돼 있던 AI 인프라와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면서 ▲ AI를 활용한 계열사 비즈니스 난제 해결 ▲ 외부 전문가 그룹 및 스타트업과의 개방적 협업을 통한 AI 생태계 활성화 ▲ AI 전문 인재 육성 및 그룹 디지털전환 전략 수립, 교육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 생활문화기업이라는 그룹의 강점을 활용해 일상생활과 밀접한 양질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성장동력 발굴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식품, 엔터, 물류, 상거래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