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티넷코리아가 양자 컴퓨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이중 보안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양자 키 분배(QKD)와 포스트 양자 암호화(PQC)를 양대 축으로 구성돼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전반에 걸쳐 양자 공격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포티넷은 양자 컴퓨팅의 강력한 연산 능력이 기존 암호화 체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일부 대칭키는 보안 강도를 높여 방어가 가능하며 비대칭키에 대해서는 새로운 대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포티넷은 양자 상태를 활용한 QKD 기술과 양자 공격에 내성을 가진 PQC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2023년 출시된 포티넷의 방화벽 운영체제 ‘FortiOS 7.6’은 PQC 알고리즘인 KYBER와 DILITHIUM을 탑재해 양자 공격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 하드웨어와 호환돼 기업이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보안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또한,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양자 장치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키 생성부터 전송, 암호화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했다. 생성된 키는 광섬유를 통해 포티넷 방화벽으로 안전하게 전송된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다국적 은행
SK텔레콤(이하 SKT)은 미국의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와 함께 양자 사업 관련 양사 간 협력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17일 밝혔다. 서울 을지로 소재 T타워에서 열린 양사의 회동에는 아이온큐의 피터 채프먼 이사회 의장, 토마스 크래이머 최고재무책임자(CFO), 필립 파라 기업 및 전략 제휴 담당, 진재형 한국지사장 등이 참석해 유영상 CEO를 비롯한 SKT 주요 관계자들과 만났다. SKT는 지난 2월 AI·양자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아이온큐와 지분교환을 포함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회동은 양사 협력에 대한 후속 논의를 위해 진행됐다. SKT와 아이온큐는 퀀텀 네트워킹, 양자보안 등의 영역에 양사가 동일한 관심을 갖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으며 해당 영역에 대한 협력을 꾸준히 강화·발전시키기로 했다. 또한 양사 협력을 기반으로 SKT가 보유한 양자보안 사업 관련 여러 관∙기업과의 파트너십을 양자컴퓨터까지 확대할 가능성도 함께 점검했다. SKT와 아이온큐는 양자보안 관련해 아이디퀀티크(IDQ)와의 협력을 유지 및 강화하는 것에 동의했으며 양자컴퓨터의 가능성에 대해 알리는 것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유영상 SKT CEO는 “
기업전용회선 전송망 300G급 PQC-PTN 장비 개발…전송망-가입자망 양자보안 적용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양자내성암호(PQC)가 적용된 300G급 기업전용회선 장비를 개발해 광전송장비(Q-ROADM) 등과 함께 다양한 유무선 통신환경에 ‘End-to-End 다계층 양자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장비는 기업전용회선 전송망을 구성하는 PTN(패킷 전송 네트워크) 장비다. PTN은 기업 고객이 안정적이고 고속의 전용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특히 금융·제조·IT 기업 등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들에게 필수장비다. LG유플러스는 PTN 장비가 처리하는 데이터에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해 보안성을 강화한 전송카드를 개발했으며, 이를 기업전용회선 전송망 구간에 적용할 경우 양자컴퓨터의 공격에도 안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기업전용회선 가입자망에 활용하는 30G 소용량급 PQC-PTN 장비의 개발도 마쳤으며, 이번 300G급 전송망 PTN 장비로 ‘PTN 망’ 구축과 함께 대용량의 전용회선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양자보안 시대의 주축인 양자내성암호는
양자 QPU 플랫폼에 사용가능한 양자 계측 제어장비와 클라우드 및 지원 서비스 등 공개 SDT(대표 윤지원)가 오는 25일(화)부터 27일(목)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리는 ‘퀀텀코리아 2024’에 참가, 양자 컴퓨팅, 양자 센싱, 양자 보안 등 핵심 양자기술을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SDT는 양자기술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양자 응용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퀀텀코리아 2024를 통해 다수의 양자 QPU 플랫폼에 사용가능한 양자 계측 제어장비와 클라우드 및 지원 서비스 등 양자기술 상용화 성과를 소개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이번 행사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하는 SDT의 양자 가상화 실험실 구현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등 양자가상실험실 구동에 필요한 모든 기술 요소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제공, 실험실 자동화 구현을 통해 연구자가 효율적으로 양자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양자지원기술 기업발굴 및 육성 사업’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한 CCU(Coincidence Counting Unit)와 TTMU(Time Taggi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코리아와 국민대학교는 지난 19일 국민대 본부관에서 차세대 통합형 전자 설계 자동화(EDA)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산학협력 선도모델 창출 및 국가 수준의 첨단분야 인재양성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선우 키사이트코리아 대표이사, 정승렬 국민대 총장 등이 참석해 '미래 세상과 소통하는 양자보안 차세대 통신 파이(π)형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을 나눴다. 협약을 계기로 키사이트코리아에서는 차세대통신 혁신인재양성체계 구축을 위해 236억 원 상당의 차세대 통합형 전자 설계 자동화(EDA) 소프트웨어를 국민대에 기증하게 된다. 이를 시작으로 키사이트코리아와 국민대는 현장실습 및 캡스톤 디자인 등 산학연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산업체 재직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등을 통해 유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할 전망이다. 이선우 키사이트코리아 대표이사는 "차세대통신 기술을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국민대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는 무선 통신, 자율 주행, 항공우주, 방위산업 등 전반의 산업에 기반이 되는 차세대통신을 이끌어 갈 리더들을 양성하고, 키
한국 암호모듈 검증제도 대비 양자보안 기술 공동개발 및 관련 관련사업 확대 협력키로 SDT가 디지털보안 전문기업 드림시큐리티, 방위산업 보안솔루션 개발업체 시드코어와 함께 양자보안 기술개발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DT 윤지원 대표와 드림시큐리티 김영진 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SDT 역삼동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을 통해 KCMVP 대비 양자보안 기술 공동개발 및 관련 국내 비즈니스 확대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3사는 이번 MOU와 함께 향후 양자키분배(QKD) 장비 개발 및 보안적합성 검증과 함께 양자난수생성(QRNG) 기반 카메라 개발 등 양자기술을 적용한 보안 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SDT는 QKD 장비개발 및 양자특성 시험 및 보안적합성 검증 수검, 카메라 드라이버ž영상 추출 소프트웨어 개발과 카메라 하드웨어 제작 등을 담당한다. QKD 장비 및 보안카메라 탑재용 검증필 암호모듈 적용, QKD 장비의 양자키관리(QKMI) 시스템 연동, 보안카메라 운영환경의 KCMVP 획득 등은 드림시큐리티가 담당키로 했다. 또한 시드코어는 이번 공동개발 MOU를 토대로 국방 분야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SDT가 '퀸텀코리아 2023'에 참가해 양자컴퓨팅, 양자센싱, 양자보안 등 국내 양자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다양한 장비를 통해 실험실에서만 관찰되던 양자 현상을 산업과 일상에서도 느껴볼 수 있는 전시를 선보인다. 퀀텀코리아는 2020년부터 개최해오던 ‘양자정보주간’을 새롭게 브랜드화, ‘대한민국 양자 대도약의 원년’을 기념하고 양자문화 및 기술산업 확산 가속화를 위해 국내외 대표 석학과 정부부처 관계자, 관련 대표기업들이 함께 양자 생태계 혁신 흐름을 조망하는 최고 수준의 국제 행사다. 클라우드 기반 양자 정밀 측정 장비 개발을 비롯, 양자표준기술에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장비와 인프라 시장을 개척해오고 있는 SDT는, 이번 퀀텀코리아 행사를 통해 양자 컴퓨터나 양자 센서 등 국내 양자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다양한 실험ž계측장비들을 소개한다. 지난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양자지원기술 기업발굴 및 육성 사업’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한 CCU를 비롯해 TTMU, QC 등 큐비트 신뢰성을 정밀 측정할 수 있는 양자 장비들이 선보일 예정이다. 이 밖에도 완벽한 보안 제공을 위한 QKD 시스템과 QRNG 기반 해킹 불가 IP카메라 NodeV 등 양자암호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