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브포인트(AvePoint)는 AI서비스 ‘M365 코파일럿’ 벤치마킹 기능을 자사의 M365 사용현황 모니터링 솔루션인 ‘타이그래프(tyGraph)’에 최초로 적용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통해 조직은 자사의 AI 도입 및 사용 패턴이 다른 기업과 비교해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애브포인트 컨피던스 플랫폼(AvePoint Confidence Platform)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AI 도입을 지원하는 데이터 관리 SaaS 플랫폼으로, 기업이 AI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거버넌스를 강화하며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365, 구글 워크스페이스, 세일즈포스 등 협업 도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보안, 규제 준수, 데이터 백업 및 AI 최적화 기능을 제공한다. 애브포인트는 이번 기능 확장을 통해 기업이 AI서비스인 M365 코파일럿(Microsoft 365 Copilot)의 성공적인 활용과 지속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벤치마킹 ▲예측 분석 ▲활동 점수 등과 같은 평가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존 펠루소 애브포인트 최고 기술 책임자(CTO)는 “AI의 잠재력
모든 제조업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는 바로 '스마트화'다. 디지털 전환을 필두로 스마트 공장, 스마트 제조 구현은 제조업의 혁신을 한 단계 끌어올린다. 디지털 전환을 위해선 현장에 맞는 혁신 기술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이 존재하지만 실제 중소/중견기업은 적용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벤치마킹'이다. 주변 성공 사례를 살펴보며 우리 현장에 맞는 디지털 전환을 강구하는 것이다. 이번 2023 AI 활용 기계/제조 디지털 전환 컨퍼런스는 부산국제기계대전과 동시 개최되며, 고객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철저한 사례 중심의 실용적인 발표로 구성됐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김대영 교수, 인타운 이용은 책임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재선 박사, 버넥트 하태진 대표, 픽잇코리아 조영범 Application engineer, 마크포지드 조윤태 이사, 뉴로클 이홍석 대표가 연사로 나서 사례 중심의 AI를 활용한 기계 및 제조 디지털 전환을 소개한다. 오는 5월 18일 부산 벡스코 2층 세미나룸에서 진행하는 이번 행사는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
모든 제조업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는 바로 '스마트화'다. 디지털 전환을 필두로 스마트 공장, 스마트 제조 구현은 제조업의 혁신을 한 단계 끌어올린다. 디지털 전환을 위해선 현장에 맞는 혁신 기술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이 존재하지만 실제 중소/중견기업은 적용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벤치마킹'이다. 주변 성공 사례를 살펴보며 우리 현장에 맞는 디지털 전환을 강구하는 것이다. 이번 2023 AI 활용 기계/제조 디지털 전환 컨퍼런스는 부산국제기계대전과 동시 개최되며, 고객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철저한 사례 중심의 실용적인 발표로 구성됐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카이스트 오토아이디랩 김대영 교수, 인타운 이용은 책임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재선 박사, 버넥트 하태진 대표, 픽잇코리아 조영범 Application engineer, 마크포지드 조윤태 이사, 뉴로클 이홍석 대표가 연사로 나서 사례 중심의 AI를 활용한 기계 및 제조 디지털 전환을 소개한다. 오는 5월 18일 부산 벡스코 2층 세미나룸에서 진행하는 이번 행사는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사이버 보호 기업 아크로니스는 ‘프로스트앤설리번의 프로스트 레이더: 서비스형 재해복구(DRaaS, disaster recovery as a service)' 보고서에서 '행동하는 기업(Company to Action)''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아크로니스는 12개의 다른 경쟁업체와 함께 성장 및 혁신 부문에서 쿼드런트 내 상위권에 등재됐다. 이 보고서는 아크로니스를 '투자, 파트너십 또는 벤치마킹을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기업'으로 평가했다. 프로스트 레이더는 프로스트앤설리번이 매년 발표하는 벤치마킹 시스템 및우수 기업 평가 보고서다. 지난 2022년 11월에 발표된 DRaaS 레이더는 각 산업에서 성장 기회를 가장 잘 활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기업을 선정했다. 레이더에 선정되었다는 것은 해당 기업이 성장 잠재력, 모범 사례, 경쟁력, 고객 가치, 파트너 잠재력 등의 범주에서 우수성을 입증했음을 의미한다. 보고서의 X축은 혁신 지수를 의미하며 기업의 파괴적 트렌드에 대한 이해도와 이러한 트렌드에 도전하는 솔루션을 개발하는 능력에 따라 등급이 매겨진다. Y축은 성장 지수를 의미하며 매출, 시장 점유율, 비전, 영업 및 마케팅 역량 등을 분석해 수치화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등의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지능형 공장이다. 반월·시화 산단은 3800만㎡의 면적에 1만9927개 업체가 등록돼 있는 국내 최대의 국가산업단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향후 3년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기업이 공동으로 총 909억원을 투자해 반월·시화 산단을 스마트공장 거점 클러스터로 육성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대표 스마트공장과 데모 스마트공장, 스마트 통신 인프라 등이 구축된다. 대표 스마트공장 구축에는 총 100억원이 투자된다. 반월·시화 산단에 있는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동양피스톤을 대표 스마트공장으로 고도화해 후발업체들이 벤치마킹하고 우수 기술과 생산 공정을 확산하도록 지원한다. 동양피스톤은 국내 1위, 세계 4위의 피스톤 제조 전문기업으로 5개 이상의 다양한 공정이 수반돼 뿌리산업 업종 기업들의 유용한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데모 스마트공장 구축에는 총 150억원이 투자된다. 사물인터넷, 가상물리시스템 등 첨단 스마트 제조 기술이 집약된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를 민관 합동으로 조성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