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바우머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는 10GigE속도를 지원하며 바우머가 제공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 정밀 검사 시스템에 적합한 최신 Sony Pregius, Pregius S와 Gpixel 센서를 적용해 10 Gig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최대 65MP 해상도를 지원한다. VLXT 제품은 2D/3D측정에 적합한 반도체, PCB/FPCB 및 LCD/OLED의 검사에 적합하다.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바우머는 190개국의 39개의 지사를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자동화 공정을 위한 센서, 엔코더, 프로세스 센서, 산업용 카메라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로 다양한 어플리
바우머코리아는 스마트 물류, AI 카메라, 2차 전지 분야를 중심으로 차별화된 솔루션을 선보이며 국내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유럽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센서, 엔코더, 비전 카메라 등으로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기술 선도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는 바우머코리아는 특히 고속 데이터 전송과 정밀도를 요구하는 2차 전지 생산 라인과 스마트 물류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10기가 이더넷 기반의 비전 카메라와 온도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고해상도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는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바우머코리아는 이번 AW2025 전시회를 계기로 현재의 비즈니스 역량을 내부 물류(Intralogistics)와 모바일 머신용 센서 시장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고품질 센서와 엔코더로 구축한 바우머코리아의 경쟁력 Q. 바우머와 바우머코리아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주세요. A. 바우머 그룹은 1952년 스위스 프라우엔펠트에서 설립된 정밀 기계 전문기업으로, 70년 이상의 역사 동안 공장 및 공정 자동화에 필요한 고정밀 센서와 엔코더, 비전 카메라 등의 솔루션을 제공해 왔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50,000여 개의 제품 포트폴리
바우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다양한 모델의 산업용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CX 시리즈는 빠른 진행 기록 및 평가를 위한 CMOS 카메라의 최신식 글로벌 롤링 셔터로, 0도에서 65도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유동적인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컴팩트한 29x29mm 하우징에서 최대 24메가 픽셀까지 협소한 환경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X.I, CX.XC는 대표적인 응용 제품으로 각각 기능이 추가되어 다양한 산업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바우머코리아는 고해상도 10 GigE 카메라인 LX 시리즈, AI 응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메라인 AX 시리즈 역시 선보였다. 바우머 그룹은 자동 이미지 처리를 위한 센서, 엔코더, 측정 장치, 부품을 만드는 제조업체로, 전 세계 19개국 39개 지사를 운영하는 글로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앞으로 김민규 지사장이 바우머코리아를 이끌게 됐다. 지난 9월 1일 취임을 하고 곧바로 바우머코리아의 미래를 위한 새단장을 시작했다. 김민규 지사장에게 앞으로의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Q. 이번에 지사장으로 취임하셨는데요. 이에 대한 인사 한 말씀 바랍니다. A. 바우머는 동종 업계에서도 기술력으로 인정받는 제품 공급사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이번 바우머코리아의 지사장으로 임명되어 기쁨과 동시에 도전과 책임을 동시에 느끼고 있습니다. Q. 어떤 부분에 포커스를 두고 바우머코리아를 이끌 계획인가요? A. 첫 번째로 조직의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 국내 오토메이션 시장은 수준높은 기술적 완성도를 요구합니다. 이러한 시장 요구에 부응하는 핵심 기술 공급사로 성장하기 위한 조직 내부의 다양한 역량의 강화는 고객의 파트너가 되기 위한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겠습니다. 두번째로 마켓 포지셔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전기, 전자, 디스플레이, 2차전지, 자동차, 중공업, 조선 등의 산업에서 세계적으로 시장과 기술을 이끄는 기술 강국입니다. 바우머 제품의 포트폴리오는 국내 시장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갖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바우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를와 센서, 엔코더 등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바우머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는 초고속 정밀도를 자랑하며, 10GigE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바우머가 제공하는 Auto Focus 기능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초고속 정밀 검사 시스템에 적합한 최신의 Sony Pregius, Pregius S와 Gpixel 센서를 적용, 10 Gig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최대 65MP 해상도를 지원한다. VLXT 제품은 2D/3D측정에 적합한 반도체, PCB/FPCB 및 LCD/OLED의 검사에 적합해, 검사 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는 업체에 적합하다. 바우머코리아의 홍동수 부장은 “2년여 만에 개최되는 만큼, 많은 기업과 관람객이 굉장히 기다렸던 전시회다. 새롭게 출시된 제품을 소개할 자리와 기회가 적었던 만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바우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를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바우머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는 초고속 정밀도를 자랑하며, 10GigE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바우머가 제공하는 Auto Focus 기능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초고속 정밀 검사 시스템에 적합한 최신의 Sony Pregius, Pregius S와 Gpixel 센서를 적용, 10 Gig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최대 65MP 해상도를 지원한다. VLXT 제품은 2D/3D측정에 적합한 반도체, PCB/FPCB 및 LCD/OLED의 검사에 적합해, 검사 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는 업체에 적합하다. 바우머코리아 관계자는 “우수한 이미지 품질, 고 대역폭과 효율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산업용 카메라 제품”이라고 밝혔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
[헬로티] 바우머는 서서히 발전하는 기업이다. 최근에는 브랜드 인지도가 많이 올라갔다. 고객이 요구하는 환경에 딱 맞춰 제품을 커스터마이징 하고, 필요한 기능만 담아 가격을 합리적으로 책정했던 전략이 주효했다. 작지만 세심한 전략이다. 레이저 라인 프로파일 센서 ‘OX200 시리즈’는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고객의 요구에 적합한 제품이다. 이 제품 전략을 바우머코리아 정창영 과장에게 들어봤다. ▲바우머코리아 정창영 과장 <사진 : 헬로티> Q. 레이저 라인 프로파일 센서 ‘OX200 시리즈’는? A. ‘OX200 시리즈’는 멀티 통합형 레이저 라인 프로파일 센서다. 최대 125mm의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여 대상체의 높이, 폭, 거리 등의 7개 값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추가로 2D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 없는 앰프 일체형으로 경쟁사 제품 대비 컴팩트한 사이즈가 장점이다. Q. 차별점은? A. 기존의 포스콘(POSCON) 센서 시리즈는 측정 방식에 따라 엣지, 높이, 원형 측정 총 3가지 모델로 구분되어 있었다. 하지만 OX200은 엣지,
[첨단 헬로티] 바우머가 최근 올인원 프로파일(Profile) 센서 2종을 선보였다. 기존 포스콘(POSCON) 센서 기능을 한 데 모은 제품으로, 바우머는 이번 신제품이 사용자의 요구보다 한 발 더 앞서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략에 부합한다고 말한다. 이번 신제품에 대해, 앞으로의 시장 전략에 대해 성진경 바우머코리아 프로세스 인스트루먼트 차장에게 들어봤다. ▲바우머코리아 프로세스 인스트루먼트 성진경 차장 Q. 이번에는 센서 기능을 한 데 모은 컨셉으로 제품을 출시했는데요. 기존에 스마트 프로파일 센서인 포스콘 시리즈에서 업그레이드 된 제품으로, ‘OXM200’, ‘OXP200’으로 나눠집니다. 이번 제품은 레이저 라인빔을 이용해 다양한 측정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센서 자체에 내장된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원하는 출력값을 직접 설정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센서입니다. 두 제품의 큰 차이는 RAW 데이터 제공 여부입니다. OXM200은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바우머의 알고리즘을 거친 데이터를 제공하고, OXP200은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RAW 데이터를 제공합
[첨단 헬로티] 바우머코리아 비전테크놀러지 홍동수 부장 2019년은 한국 산업에 큰 고비였다.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 일본과의 무역분쟁으로 투자와 생산, 수출 등에 있어 여러 부침을 겪었다. 산업용 카메라 시장도 이 고비 속에서 한 해를 보냈다. 고비는 지나갔다. 이제는 매출을 다시 예년처럼 끌어올리는 일만 남았다. 바우머코리아는 시장의 변화에 한 발 앞선 제품 전략으로 매출 상승 분위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홍동수 바우머코리아 비전테크놀러지 부장에게 산업용 카메라 시장 현황과 제품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Q. 지난 해 일본과의 무역 분쟁(일본의 화이트국가 제외 조치)으로 힘든 한 해를 보내셨겠네요. A. 산업용 카메라 시장은 대기업에 납품되는 양이 90% 가까이 되는데, 지난 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OLED, 메모리 등의 시장에서 대기업들이 투자를 잠정 중단하면서 제품 판매가 뚝 끊기는 상황을 경험해야 했습니다. 여기에 지속적으로 이 시장에서 규모를 키우고 있는 ‘Made in China’ 영향이 겹쳐 매출 상황은 최악이다시피 했습니다. 추정컨대, 산업용 카메라 업체들이 평균 30% 이상의 매출 감소세를 경험했을 겁니다. Q. 개인적으
[첨단 헬로티] 바우머는 비전 및 센서, 엔코드 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바우머는 품질 경쟁력과 소비자 요구에 최적화 된 제품 전략으로 전세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바우머코리아 이성호 지사장은 오는 3월에 개최되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에서 50메카픽셀 디지털카메라와 성능과 활용성을 강화한 다양한 센서 제품군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Q. 주력사업은? A. 바우머코리아는 머신비전, 센서, 엔코드 및 계장 제품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다. 머신비전은 디지털카메라 부분과 스마트비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다양한 화소의 제품을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고 있다. 센서제품의 경우 근접, 포토센서에서 초음파 및 변위센서에 이르는 제품들이 있으며, 식음료에 사용되는 레벨 및 온도, 압력센서까지 다양한 포트폴리오로 준비되어 있다. 엔코드 역시 앱솔루트, 인크리벤탈 제품들이 있으며 특히 조선, 항만에 사용되는 Heavy duty 제품이 시장에서 반응이 매우 좋다. ▲바우머코리아 이성호 지사장 Q. 2018년 비즈니스 성과는? 바우머코리아는 2018년 전 제품이 고르게 성장을 하였다. 특히, ‘2018 오토
[첨단 헬로티] 바우머는 비전 및 센서 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전세계 19개국 38개 지사가 있을 만큼 사업 루트가 여러 갈래다. 하지만 생산은 지정된 국가에서만 이뤄진다. 가령 센서는 스위스에서만 생산된다. 바우머코리아 센서솔루션사업부 홍성우 대리는 “사업을 시작했을 때부터 스위스, 독일 등의 유럽 국가에서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 우수한 품질을 지켜가자는 뜻에서 현재까지 생산 지역을 유럽으로 국한시켜 온 것이다”며 바우머의 차별성이 그 점에 있음을 강조했다. 최근 바우머는 센서 제품군을 중장비 분야 뿐 아니라 반도체 시장 등으로 확대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다른 경쟁 기업들이 이 시장에 들어와 있는 만큼 바우머만의 차별화 포인트로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홍성우 대리에게 그 전략을 들어봤다. ▲ 바우머코리아 센서솔루션사업부 홍성우 대리 Q. 아시아 시장에서 센서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데 역점을 둔다고 했는데요. 지금 이 시장이 그러한 전략을 펼치기에 어떤가요? A. 바우머의 오랜 텃밭이었던 유럽 시장은 이미 성장 한계점에 도달했습니다. 반면, 중국이나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은 반도체 분야에서 센서 매출을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