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구글·메타·오픈AI·애플 등 이른바 글로벌 빅테크 업체가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을 구성하는 각종 기술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형태뿐만 아니라, 인지·판단·직관·운동성 등 인간에 내재화된 요소를 그대로 모사한 차세대 기체다. 이 안에는 인공지능(AI), 비전(Vision), 센서(Sensor),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로봇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고도화 기술이 접목된다. 최근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한 ‘피지컬 AI(Physical AI)’는 이 같은 기술을 한데 관장하기에 주목받는다.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가동을 실제로 구현한다는 점에서 기대받고 있다. 이처럼 휴머노이드 로봇은 다양한 로보틱스 연계 시스템이 총망라한 기술 총체다. 그리퍼(Gripper)는 여러 로봇 하드웨어 중 대상물을 집고 옮기는 데 초점을 맞춘 제품이다. 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 등 로봇 팔(Robot Arm) 끝단에 부착되는 ‘로봇팔 말단장치’로, 로봇 손에 해당하는 기술이다. 손가락 개수로 세분화된 ‘핑거 그리퍼’부터 진공 그
[첨단 헬로티] 로보큐브(ROBOCUBE)가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네트워크 기반 모터 컨트롤러, 로봇용 모션센서 등을 선보였다. 로보큐브는 디지털 모터 제어 분야의 기술력으로 로봇 제품 생산을 비롯해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로봇 관련 통합 솔루션으로 제공하는 기업이다. 주 생산 제품은 네트워크 기반 모터 제어기(DC 시리즈, BLDC 시리즈, STEP 시리즈), 로봇용 모션센서(포스 및 토크 센서, 모션 센서), 로봇 모듈 등이다. 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네트워크 기반 모터 컨트롤러는 실시간으로 위치와 속도, 전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위치, 속도, 가속도값을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 RS232C, Daisy Chain 방식의 RS485, CAN 통신을 이용한 다중 모터 제어도 가능하다. 크기는 동급 대비 초소형이며 한 개의 보드로 2개의 모터 구동을 할 수 있다. 이 외에 2축 선형 보간 기능, PLC 기능, 모터 온도 추정 및 모터 과온도 보호 기능, 과전류·과전압·저전압·역기전력 보호 기능 등을 제공한다. 한편, 올해로 13번째를 맞이한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