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지역 ITS 인프라 구축 사업 위해 현지에 'TIMOS' 1차 도입 비트센싱이 중앙아시아 지역 지능형교통체계(ITS) 인프라 구축 사업에 참여하며 글로벌 ITS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비트센싱은 이번 사업을 통해 자사의 통합 교통 센서 'TIMOS'를 현지에 1차로 도입했으며, 성공적인 운영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AI 기반 서버 솔루션 'TraXight'의 도입도 기대되고 있다. TIMOS는 레이더와 카메라, 엣지 컴퓨팅 기술을 통합한 교통 센서로, 스피드 위반 탐지와 차량 검지 시스템을 포함해 다양한 도시 교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특히 도로 안전과 효율적인 차량 흐름 관리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비트센싱은 이 센서를 TraXight와 연계함으로써 AI 기반 교통 데이터 분석, 도로 인프라 통합 관리, 사고 대응 역량 등 전반적인 ITS 운영 수준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비트센싱은 그간 국내 스마트시티 및 ITS 분야에서 다수의 성공 사례를 통해 기술력을 입증해 왔다. 이탈리아 베로나시와의 협업에 이어 중앙아시아까지 진출하며 유럽과 아시아 주요 시장에서 ITS 솔루션의 경쟁
배터리 안전기술, K-UAM 상용화, 교통 인프라 분야 빅데이터 활용 등 협력 KT는 24일 한국교통안전공단과 지상은 물론, 상공 모빌리티 등 미래 모빌리티 사업에서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KT는 전날 KT 송파사옥에서 최강림 KT AI모빌리티사업단장과 한청헌 한국교통안전공단 미래모빌리티추진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전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전기차 운행 데이터 기반 배터리 안전기술 분야 공동기술 개발 협력,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상용화를 위한 공동 협력, 교통 인프라 분야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업 기회 발굴 및 공동 사업화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최 단장은 "KT가 보유한 AI 기반 모빌리티 역량에 한국교통안전공단의 교통 분야 전문 역량과 빅데이터가 융합되면 정부가 추진 중인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의 성공적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