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엘정보통신은 SAS와 파트너십을 맺고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데이터와 AI에 기반한 솔루션 공급에 적극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전국 1만 여 개의 공공 및 교육 기관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는 케이엘정보통신은 통합 홈페이지 서비스, IT 서비스 아웃소싱, 공개 소프트웨어 기술지원 서비스,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및 유지보수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SAS와의 파트너십 체결로 케이엘정보통신은 SAS의 공공 부문을 위한 특화 솔루션에 자사의 검증된 구축 서비스 능력을 결합해 데이터 및 AI 기반 기술을 확대 공급해 나간다고 밝혔다. 최종윤 케이엘정보통신 대표이사는 “공공기관에서 방대한 데이터와 AI 기술에 기반한 다양한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관련 기술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도입돼 활용되고 있는 SAS의 공공 솔루션에 케이엘정보통신의 전문 컨설팅 및 구축 서비스를 함께 포함해 제공함으로써 공공기관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대고객 서비스 강화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날로 지능화되고 있는 공공 부문 부정 결제 및 부정 수급 문제에 대응
일부 금지 조항은 발효 뒤 6개월부터 적용되며 이후 단계적으로 도입돼 2026년 이후 전면 시행 유럽연합(EU)이 세계 최초로 마련한 포괄적 인공지능(AI) 규제법이 연말께부터 순차 시행될 전망이다. 유럽의회는 13일(현지시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AI 법' 최종안이 찬성 523표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반대는 46표, 기권은 49표였다. EU 27개국 장관들이 내달 최종 승인하면 관보 게재를 거쳐 발효된다. 일부 금지 조항은 발효 뒤 6개월부터 적용되며 이후 단계적으로 도입돼 2026년 이후 전면 시행된다. 최종안에 따르면 EU는 AI 활용 분야를 총 네 단계의 위험 등급으로 나눠 차등 규제할 계획이다. 고위험 등급으로 분류되는 의료, 교육을 비롯한 공공 서비스나 선거, 핵심 인프라, 자율주행 등에서 AI 기술 사용 시 사람이 반드시 감독하도록 하고 위험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범용 AI(AGI·사람과 유사한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지능을 갖춘 AI)를 개발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투명성 의무'를 부여하기로 했다. 관련 조항은 2021년 발의된 초안에는 없었지만 이듬해 챗GPT 등 생성형 AI 등장으로 AI 오남용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
개인과 기업을 위한 맞춤형 정책 추천-관리-신청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협력 테스트웍스는 맞춤형 공공 정책 추천 및 신청 서비스 기업인 ‘웰로’와 ‘공공 데이터 고도화를 통한 공공 서비스 생태계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웰로 정책 데이터 집계에 따르면 3월 초까지 집계된 중앙정부와 지자체, 정부 산하기관에서 내놓은 유효한 정책은 수만개 에 이른다. 일자리, 육아가정, 근로자, 소상공인, 시니어, 장애인 등 다양한 대상별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정책이 대상자가 직접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구조여서, 다양한 기관의 정책 정보를 제때 알고 신청하기란 쉽지 않은 현실이다. 웰로는 개인과 기업을 위한 맞춤형 정책 추천-신청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매칭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해 테스트웍스와 협업하여 공공 데이터 수집 가공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테스트웍스와 웰로는 수많은 공공 정책을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여 해당 고객 및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정책 추천-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공사례를 함께 발굴하여 공공 서비스 생태계를 개선하고, 공동 비즈니스 기회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예정이다. 웰로는 작년 8월에 서
ⓒGetty images Bank 가트너(Gartner Inc.)는 2016년 스마트 시티에서 16억 대의 사물인터넷 기기(Connected Things)가 사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5년보다 39% 증가한 수치다. 스마트 시티는 여러 부문이 지속가능한 성과를 내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도시화된 공간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상황, 특정 분야 정보 중 공유 된 실시간 정보, 운영 기술 시스템으로 실현된다. 가트너 리서치 총괄 부사장인 베티나 트라츠-리안(Bettina Tratz-Ryan)은 "2017년까지는 상업용 스마트 빌딩이 사물인터넷(IoT)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2018년에는 스마트 홈이 10억 대 이상의 IoT 기기를 사용하면서 선두로 올라설 것이다"라고 밝혔다. 상업용 부동산은 IoT 도입으로 많은 이익을 얻고 있다. IoT는 수 많은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 관리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고급 서비스 운영을 가능케 한다. 베티나 부사장은 "특히 IoT는 산업 단지, 상업 지구, 쇼핑몰, 공항이나 항구와 같은 대규모 단지에서 에너지, 공간 관리와 빌딩 유지 관리 비용을 30%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