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모드 무선 충전 수신기 IC IDT ☎ (02)567-1903 www.IDT.com/korea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와 PMA(Power Matters Alliance) 표준간 호환이 가능한 듀얼모드 무선 충전 수신기 IC (IDTP9021)는 IDT의 기존 IDTP9020 무선 충전 수신기의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WPC ‘Qi’ 표준과 PMA Type1 상호운용성 규격을 모두 준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일 칩 솔루션으로 디자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제품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 수많은 모바일 기기 설계에 이상적이다.
환경친화적 배터리 충전기 페어차일드 반도체 ☎ (032)680-1355 www.fairchildsemi.com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USB 호환 단일 셀 리튬이온 스위칭 충전기(FAN54015)는 충전 시간을 줄이고 열 발산을 완화하기 위해 1.45A를 공급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고효율 3MHz DC-DC 동기식 벅 컨버터를 채용했다. 디바이스의 혁신적인 시스템 아키텍처를 통해 스위치 모드 벅 컨버터의 역사용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500mA USB OTG(on-the-go) 승압 정류기로 사용함으로써 USB 주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RS-232/485/422 to CAN 컨버터 에이디씨씨스템 ☎ (02)866-0321 www.adcsystem.co.kr 대만 ICP DAS社의 CAN 컨버터(I-7530A)가 이용된 CAN 통신은 하나의 시리얼 버스 시스템으로 지능형 산업용 장치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적합하다. 이 모듈은 사용자로 하여금 RS-232 /485/422 인터페이스가 있는 어떠한 PC나 장치로도 CAN 장치와 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ICP DAS에서는 USB to CAN 컨버터인 I-7565-G CR, CAN bus 리피터인 I-7531도 같이 공급하고 있다.
비디오/오디오 캡처 카드 다스씨스템 ☎ (02)866-0003 www.dassystem.co.kr ADLINK의 고해상도 비디오/오디오 캡처 카드(HDV62A)는 풀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 영상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카드로 얻을 수 있다. 이 제품은 풀HD급 영상을 60fps로 최대 1080p까지 지원하고, 10비트 고해상도 ADC와 HDCP를 지원하며 멀티미디어 장치 테스트, 의료용 이미징과 같이 2개의 비디오/오디오 소스를 동시에 캡처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또한 RGB, NTSC/PAL, S-video, YPbPr도 지원한다.
저탄소 녹색 성장의 기반 기술, 파워 반도체 다양한 기기에서 전력 손실을 억제하여 최적의 제어를 실현하도록 하는 파워 반도체는 에너지 절약, 환경 부하 저감을 위한 핵심 디바이스로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SIC(탄화규소) 계열, GaN(질화갈륨) 계열을 비롯한 차세대 파워 반도체는 기존 파워 반도체의 한계 성능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파워 반도체란 파워 반도체는 예전부터 있던 실리콘계와 차세대 파워 반도체인 SIC계, GaN계, 다이아몬드계, 산화갈륨계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는 대부분의 시장을 실리콘계가 차지하고 있다. 실리콘계에서 향후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품목은 산업용 및 신에너지용 IGBT 모듈, 가전용 지능형 파워 모듈이다. 또한 SIC계의 경우 차세대 파워 반도체에서 새로운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 종합마케팅 비즈니스 회사인 후지경제에 따르면 파워 반도체 시장과 관련된 구성 부재 시장도 확대될 것이라고 한다. 실리콘계 전용의 경우, 예전부터 사용되어 온 부재로 대응할 수 있어 앞으로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파워 반도체 제조 전공정에서는 대부분 예전부터 사용됐던 반도체 제조장치 전용이나 중고가 사용되고
직렬-연결 배터리를 위한 능동 밸런싱 솔루션 대형 고전압 재충전 가능 배터리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에서 전력망 로드 관리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일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형 배터리 스택은 개별 배터리 셀의 직/병렬 어레이로 구성되며, 수십kWh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높은 에너지 밀도와 최고 전력 성능을 가진 리튬 폴리머, LiFePO4 셀은 일반적인 기술로 채택되고 있다. 단일-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안전한 동작을 보장하고 배터리의 조기 노화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셀 충전 및 모니터링의 세심한 제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단일-셀 시스템과 달리 직렬-연결 배터리 스택은 셀 밸런싱과 같은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갖고 있다. 모든 직렬-연결 셀은 밸런싱을 필요로 한다 스택의 모든 셀이 동일한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보유한 경우 배터리 스택의 셀들이 ‘밸런싱’되었다고 한다. SoC는 셀의 충전 및 방전에 따른 개별 셀의 최대 용량 대비 전류 잔여 용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5A-hr의 잔여 용량을 가진 10A-hr 셀은 50%의 SoC를 갖고 있다고 한다. 모든 배터리 셀은 손상 또는 수명 저
IGBT 및 MOSFET 재생 가능 에너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35V 단일 채널 게이트 드라이버 오늘날 컨트롤러와 전원 스테이지의 통합은 현실화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보다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선호하며, 1MHz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실리콘(Si) MOSFET이 주류를 이룬다. 이러한 전원 스위치들은 일반적으로 5V 또는 12V의 IC 게이트 드라이버나 이와 유사한 솔루션을 통해 구동된다. 복잡하고 다양한 전력 변환이 요구되는 전자시장 분야에서 POL(Point-of-oad) 애플리케이션의 스위칭 전력 컨버터는 일반적으로 비절연 방식이다. 전력 수준은 200W 이하로 상당히 낮다. 전력은 일반적으로 DC 전압에서 다른 전압으로, 예컨대 12V에서 3.3V로 변환된다. 전원 스테이지 스위치는 통합되어 있거나 저전류 컨트롤러나 트랜지스터로 구동된다. 재생 가능 에너지의 트렌드 대부분 국가의 총 전력 포트폴리오에서 풍력과 태양력 등으로부터 생산되는 재생 가능 에너지의 비율은 낮은 편이지만, 최근에는 해마다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재생 가능 에너지가 가용 전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가들도 있다. 예를 들어 덴마크 에너지청(Danish Energy
네트워크 카메라와 같이 콤팩트한 고분해 능동 브리지 애플리케이션에서 열이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이미지 품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열 유발 잡음이 시스템의 이미지 센서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 카메라의 영상 품질을 떨어트릴 수 있다. 열 변동성을 제어하기 위한 통상적인 히트 싱크 솔루션은 부품 수를 추가하고 보드 공간을 혼잡하게 하므로, 충분히 복잡한 이들 디자인을 더욱 더 복잡하게 한다.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FDMQ86530L 60V 쿼드 MOSFET 제품은 “all-in-one” 패키지를 이용함으로써 디자이너가 이와 같이 중요한 설계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FDMQ86530L 솔루션은 4개 60V N-채널 MOSFET을 통합하고 페어차일드 고유의 GreenBridge™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다이오드 브리지에 비해 전도 손실과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간 절약적인 열 향상 4.5mmx5.0mm MLP 12리드 패키지로 제공되는 이 디바이스 제품은 히트 싱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12V 및 24V AC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콤팩트한 디자인이 가능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는 절연형 8포트 PSE(power source equipment) 컨트롤러 칩셋(제품명 : LTC4290/LTC4271)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들은 IEEE 802.3at (PoE+) Type 1- 및 Type 2를 준수하는 PoE(Power-over-Ethernet)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LTC4290/4271은 더욱 간단하면서 더 적은 부품 수를 사용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8개의 독립적인 PSE 채널을 제공해, 보드 공간을 감소시키고 궁극적으로 솔루션 전체 비용을 절감시킨다. LTC4271은 PSE 호스트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반면, LTC4290은 고전압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두 IC 모두 저렴한 이더넷 트랜스포머에 연결된다. 트랜스포머 절연형 통신 프로토콜은 값비싼 옵토 커플러 6개와 기존 설계 방식에서 사용된 복잡한 절연형 3.3V 전원을 대체하여, 결과적으로 비용을 상당히 절감시키고 더욱 우수한 내구성 및 쉬운 설계 제조방식을 실현한다. LTC4290/LTC4271 칩셋은 보급형 준수 테스트에서 PoE+ 및 PoE 시스템에 맞는 100% 상호호환성 점수를 획득했다. LT4275
울프슨이 스마트폰과 휴대용 기기에 HD 오디오를 제공하는 WM8997 플랫폼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플랫폼은 높은 유연성을 갖는 울프슨의 HD 오디오 허브(HD Audio Hub)에 SLIMbus®와 I2S 인터페이스을 지원하는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으로, 보다 향상된 HD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WM8997 고성능 HD 오디오 허브는 헤드폰 재생 시 6.5mW의 소모전류와, 102데시벨(dB)의 뛰어난 신호대잡음비(SNR)를 통해 보다 선명하고 맑은 통화 품질을 제공 할 뿐만 아니라 매우 정교한 녹음 기능과 음악 재생 음질을 구현한다. 더불어 이번에 추가된 SLIMbus®과 I2S는 동시사용 가능하여 독립형의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DSP)을 통해 제품생산자(OEM)에게 보다 유연한 플랫폼 설계 환경을 제공하며,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종류와 상관없이 하나의 오디오 솔루션으로 모든 플랫폼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해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간편한 통합성을 가능하게 하여 미래지향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울프슨 오디오 솔루션 부서의 존 폴사이스(John Forsyth)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부사장은 “WM8997은 수상에 빛나는 울프슨의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Infinion)와 글로벌파운드리(GLOBALFOUNDRIES Inc.)가 40nm 임베디드 플래시(eFlash, embedded flash) 기술에 대한 공동 기술 개발 및 생산 협력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인피니언의 eFlash 셀 설계에 기반한 기술 개발과 40nm 공정 구조를 이용한 차량 및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생산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 글로벌파운드리와의 이번 협력은 65nm 이하의 CMOS 기반 기술에 대해 기술 공동개발에 참여하고자 하는 인피니언의 전략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른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공정 및 양산 인증은 2015년 2분기로 계획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양산 개시는 2017년 상반기로 예정되어 있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경영 이사회(Management Board) 위원인 아룬자이 미탈(Arunjai Mittal)은 “40nm 공정 구조를 이용한 차세대 임베디드 플래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차량뿐만 아니라 칩 카드 및 보안 시장에서 인피니언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킬 것이다”라면서 “우리는 탁월한 제조 전문기술과 다양한 대륙의 사이트를 확보하고 있는 글로벌파운드리가 인피니언의
어드밴텍이 반도체·LCD·CNC 머신 장비 제조용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 ‘AiMC 시리즈’를 출시했다. AiMC 시리즈는 인텔 3세대 IvyBridgei 시리즈를 채용함으로써 작은 크기로도 최상의 성능과 원격 관리, 보안, 전력소모 등에서 준비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이 제품은 빠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콤팩트 Turn-key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기존 월마운트 시스템과 비교해 보통 50% 이상 공간을 절약한다. 또한 최신 3세대 코어 i7/i5/i3 프로세서를 지원함으로써 CPU 성능이 강화됐고 그래픽 성능이 50%까지 향상됐다. 그뿐만 아니라 DDR3 메모리는 8GB까지 모든 시리즈에 지원되고 4개의 확장 슬롯이 각각 AiMC-2100, AiMC-3200, AiMC-3420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선 일종인 전자빔을 이용해서 현재 상용화된 화학적 나노입자 제조 공정보다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인 나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이병철 박사팀은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잉크 제조 공정/장치 개발’과제를 통해 전자빔을 이용해 나노입자를 연속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 장치를 파일럿 규모로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이병철 박사팀은 전자빔 조사장치, 제어시스템, 고전압 전원장치, 시료연속 순환장치 등으로 구성된 나노입자 제조 공정 일괄 시스템을 구축했다.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입자 합성은 국내외에서 원리 실증 차원에서 연구를 진행해왔으나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제조 생산 시스템을 제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자빔 이용 나노입자 제조 기술은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 전자를 나노입자의 원료가 포함된 용액에 조사해서 용액 속 물 분자를 둘러싸고 있는 전자를 활성화시키고, 반응성이 큰 이 전자가 환원 작용을 일으켜 시료를 짧은 시간 안에 나노입자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이 공정은 유독한 부산물을 만드는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제조가 가능해 투자비와 에너지 효율이 높고, 소형 조사 장치만으로 설기가 가능해 투
시스템 유스 케이스와 시나리오 시스템 개발에 도전할 때, 시스템 엔지니어링 관점에서 물리적 설계 솔루션으로 전환될 수 있는 능력 요구사항 세트로 임무목표, 운용, 업무수행이 있다. 대부분 조직과 개인은 임무 목표로부터 시스템 성능 규격서(SPS)로 요구사항을 문서화하기까지 쉽게 처리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는 다음 두 가지 사항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수행할 수가 없다. ① 사용자는 무슨 문제영역에 대한 해결을 원하는가? ② 문제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임무수행을 위한 솔루션 영역을 어떻게 제시하려 하는가? 시스템이 더욱 복잡화됨에 따라 획득자에 의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 방법론을 요구하게 된다. 한 가지 방법은 임무목표와 규격 요구사항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시스템 유스 케이스와 시나리오를 사용하는 것이다. 1. 얻고자 하는 내용 · 시스템 유스 케이스란 무엇인가? · 유스 케이스의 속성은 무엇인가? · 유스 케이스 분석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를 수행하는가? · 유스 케이스는 시스템 능력 요구사항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2. 주요 용어 정의 ·
특허청은 지난 24일 산업·업종별로 차별화된 지재권 보호 정책수립을 위해 특허청과 업종별 단체간 지재권 분쟁대응 협의회를 출범하였다. 이번 협의회의 출범은 우리 기업의 국제특허분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업종별로 분쟁의 특성이 상이한 점을 반영한 것이다. 우선 기업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볼 때 특허분쟁이 시작되는 이른바 '분쟁진입선'은 의약품 분야의 경우 약 270억원 규모 이상인 반면 반도체, 디지털 통신 분야는 10억원 이하의 기업도 분쟁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쟁이 시작되는 시기도 대부분 산업분야의 기업이 해외시장 수출 후 시장 점유율이 안정화되는 단계에서 발생하지만, 화약 분야의 기업은 수출전 시장진입 단계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우리 기업을 대상으로 특허공세를 펼치는 기업을 분석한 결과 화학, 바이오, 기계소재의 경우는 동종기업의 경쟁기업 비율이 높았으며, 정보통신과 전기전자는 NPEs의 비율이 높았다. 이에 특허청은 산업․업종별로 차별화된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우리 기업의 분쟁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해 주요 분쟁분야의 업종별 단체와 함께 지재권 분쟁대응 협의회를 출범시켰다. 분쟁대응협의회 출범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