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분 회로는 부귀환 제어로 오차를 적분할 목적에서 반드시 사용된다. 오차가 있을 때마다 응답하면 출력은 계속 응답해야 하므로 변동이 커진다. 따라서 오차를 적분하여 직류 오차가 제로가 되도록 응답하면 제어 출력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급격한 변동으로 오차가 커졌을 때는 응답할 수 없다. 이때 응답을 신속하게 하고 싶을 경우 미분 회로를 이용한다.
필터 중 가장 자주 사용되는 것이 로패스 필터이다. 노이즈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화이트 노이즈(백색 잡음)의 경우, 로패스 필터로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면 노이즈가 감소한다.
또 A-D 컨버터에서는 샘플링 정리에 따라 신호 주파수 대역을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 이하로 억제하지 않을 경우, 에일리어싱이 발생한다. 이 대역 제한에도 로패스 필터가 사용된다.
액티브 필터의 회로 형식 중에서 간단하고 쉽게 높은 성능을 얻는 것이 샐런키(sallen-key)형이다. 샐런키형에 사용되는 비반전 앰프에는 게인이 1배인 회로와 1배보다 큰 게인을 가진 회로가 있다. 여기서 선택한 것은 게인이 1배인 전압 폴로어이다.
필터에는 각종 차단 특성이 있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통과 대역 응답의 평탄성이 강점인 버터워스 특성과 파형 전송이 우수한 베셀 특성을 채용했다.
하이패스 필터는 신호 주파수가 직류를 포함하지 않을 때 여분의 직류분을 제거하거나, 신호 주파수가 50Hz/60Hz의 전원 주파수보다 높을 때 생기는 전원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로패스 필터에 비해 사용 빈도는 적다.
- CQ출판사 『트랜지스터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