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저전력 AI 시스템 구현할 카이럴자성 양자점 개발
-
경희대 연구팀, 리튬 이온 배터리 대체할 나트륨 기술 개발
-
5G 네트워크와 EtherNet/IP 활용: 클라우드 환경 위한 TSN 연결(3편)
- 2025-04-19 09:58
- 조익영 ODVA코리아 전무
-
건설 시공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한 자동화 시공 시스템과 그 설계법
- 2025-04-19 09:48
- 하마모토 켄이치, 카지마건설주식회사 기술연구소
-
CES와 미국 과학 기술 정책으로 보는 스마트 제조 흐름
- 2025-04-19 09:24
- 아오키 타카시, 일본정책투자은행 설비투자연구소 주임연구원
-
KAIST 연구팀, AI 이용해 효소 예측·설계 가능성 제안
-
인하대, 열 안정성·촉매 효율 높인 플라스틱 분해 효소 개발
-
‘그래핀 침전 없는 필름 개발’ ETRI, 환경친화형 소재 발표
-
경희대 연구팀, 인간 시냅스 모사한 광 뉴로모픽 소자 개발
-
ETRI, 안리쓰 VNA로 실내투과형 RIS 실험...제품화 준비 기여
-
인하대, ‘Coanda 효과’ 적용한 친환경 프로펠러 기술 개발
-
“내 얼굴 안 올려도 지브리풍으로”...UNIST, 콘텐츠 생성 AI 개발
-
마우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탐구 시리즈 공개
-
KAIST, 이산화탄소 분해 가능한 세라믹 전해전지 개발
-
인하대 연구팀, 체온으로 전기 생산하는 인공피부 개발
-
KAIST 연구팀, 광손실 30배 낮춘 고성능 광소자 칩 개발
-
KAIST 연구팀, 시간 분해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법 개발
-
KAIST, 차세대 플라스틱 생산 가능한 미생물 균주 개발
-
ROS1드라이버로 ADI 트라이나믹 모터컨트롤러 마스터하기
- 2025-03-18 23:18
- 아나로그디바이스
-
한번 충전으로 최대 1천㎞ 가는 배터리 개발 청신호 켜졌다
-
KAIST, 성능 7배 높은 저온·저압 암모니아 합성 촉매 개발
-
미분무 소화설비, 친환경 대안으로 주목…가스계 설비 대체 가능성 입증
-
경희대 연구팀, 배터리 충전속도·안정성 높이는 기술 개발
-
자율 제어 AI에 의한 화학 플랜트 에너지 절약 오퍼레이션
- 2025-03-09 12:31
- 코부치 케이이치로, 요꼬가와디지털주식회사 Enterprise AI 추진실
-
1
한화로보틱스, ‘로봇 AI 비전’ 기술 정부 공인 “제조업 AI 전환 선도”
-
2
[글로벌NOW] 기술은 진격, 현실은 제동...‘인프라 대전환’ 맞은 글로벌 산업
-
3
현대모비스, ‘미래차 생태계’ 왕좌 노린다...전동화·SDV 역량 강화 발표
-
4
[헬로BOT] ‘기술·미각 융합’ 에니아이, 조리 로봇 혁명으로 '맛의 균일화' 시대 연다
-
5
한화엔진, 세계최초 LNG운반선용 VCR 적용엔진 생산
-
6
[헬로FA] ‘AI 시대, 모듈 혁신’이 뜬다...데이터센터 8주 완공 시대여는 슈나이더
-
7
[헬로FA] ‘올턴키 원스톱 솔루션’ 장착한 제니스일렉트로닉스, “불황 무풍지대, ‘AI·ESG’ 겨냥”
-
8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베트남 호치민자동화협회, 전략적 MOU 체결
-
9
셀트리온·휴온스가 찜할 바이오 스타트업은?…충북대, 오픈이노베이션 참가사 모집
-
10
9월 1일 주목할 산업주: 농심·한화에어로스페이스·카카오·대한항공 [헬로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