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워크·오리걸음 척척’...국산 휴머노이드 로봇 하체 플랫폼 ‘눈길’
-
테솔로, ‘문워크 하는 로봇 손가락’으로 주목...기술 전문 매체에 등재돼
-
KAIST, 여성 문자 ‘여서’ 현대 기술로 확장...국제상 수상
-
KAIST, 기초연구 기반 신약개발...7500억원 기술이전 성과
-
[봇규의 헬로BOT] 생존 조건이 된 로봇 혁신 ① | 전문가가 답한 미래向 키워드는 ‘오픈소스·탈중앙화·보안’
-
“로봇, 스펙에서 맥락으로”...‘로봇 친화 도시’의 해법 모색하다 [헬로즈업]
-
KAIST, 물리법칙 결합 AI로 신소재 물성 규명 효율화
-
KAIST “헌팅턴병 단백질 기능 규명...알츠하이머 연구에 기여”
-
KAIST 기술 상용화 확대...AI 자율 보행 로봇 스타트업 주목
-
KAIST, 광경화 3D 프린팅 내구성 극복...의료·정밀기계 활용
-
‘피지컬AI 글로벌 얼라이언스’ 공식 출범...산·학·연·관 총결집
-
KAIST “암세포 핵 비대 현상, 악성화 아닌 복제 스트레스 반응”
-
KAIST 연구진, 반도체 공정 한계 넘은 3D 뇌신경 칩 개발
-
전기차·스마트폰 배터리 발열, 색 변화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
KAIST, 치매·알츠하이머 열쇠 쥔 뇌 면역 유전자 규명
-
KAIST, 집에서 심전도 측정하는 차세대 헬스케어 기술 개발
-
“제2의 이태원 참사 예방” KAIST, AI 군중밀집 예측 기술 개발
-
KAIST 출신 연구진, 로봇 스타트업 성과 잇따라...산업 성장 견인
-
KAIST, 양자컴퓨팅으로 다성분 다공성 물질 설계 난제 해결
-
KAIST, 반도체 소자·패키징 연구 위한 첨단 인프라 구축
-
KAIST, 네이처 자매지 통해 韓 반도체 산업 청사진 제시
-
‘12분 충전·800km 주행’ KAIST, 차세대 배터리 원천기술 개발
-
KT, 서울대·KAIST와 산학 협력...핵심 AICT 기술 확보 나서
-
“유니콘 로봇기업 집중 육성”...KAIST, 대전 로봇밸리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