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공식적으로 110개 국정과제를 발표했다. 윤석열 정부가 세운 국정비전은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함께 잘 사는 국민의 나라'다. 차기 정부는 경제 체질을 선진화하고 핵심 전략 산업 육성,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 강화 등에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번 연재기사에서는 차기 정부가 확정한 산업 분야 제도 개선 및 지원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백신·치료제 강국 도약으로 국민 건강 지킨다
윤석열 정부가 바이오·디지털헬스 분야에서 내건 목표는 백신·치료제 강국으로의 도약이다. 보건안보전략기술 집중 투자와 글로벌 협력 강화를 바탕으로, 바이오헬스 산업을 수출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빅데이터 기반 첨단·정밀의료 확산으로 국민 건강을 향상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본격적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은 윤석열 정부는 감염병 등 보건안보 관련 과제와 희귀 난치 질환 등 국가적 해결 필요과제에 대한 혁신적 연구개발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팬데믹 발생 시 초고속 백신치료제 개발 전략을 마련하고 관련 법률을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차기 정부는 WHO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를 계기로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구축, 세계바이오서밋 개최 등을 통해 바이오 분야 글로벌 중심으로 도약하겠다고 언급했다.
제약 바이오 분야에서는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메가펀드를 조성하고 의사과학자 등 융복합 인재 양성, 바이오헬스 규제 샌드박스 등 규제 개선을 통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는 국민 개개인이 자신의 의료 및 건강 정보를 손쉽게 활용하는 '건강정보 고속도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맞춤형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의료 마이데이터,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차기 정부가 주목하는 기술 중 하나는 빅데이터다. 윤 정부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구축 및 개방, 바이오 디지털 활용 인공지능 개발 등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정밀의료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연구 단계부터 기술-규제 정합성을 동시 검토해 규제예측성을 높이고 전주기 지원 체계를 구축해 제품화 성공률을 제고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허가 후 사용정보 수집 및 평가를 통한 제품 안전·성능 환류체계를 확립하고 시장성보다 공공가치가 큰 희귀제품 등 국가 공급 기반을 확충할 계획이다.
윤석열 정부는 이 같은 전략을 통해 차기 팬데믹 대비 백신치료제 선제적 개발로 위기 발생 시 신속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2030년까지 600억 달러 규모로 바이오헬스 수출 확대와 동시에 150만 개 일자리 확충으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