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나 PC 등 잦은 디지털 기기의 사용을 원인으로 40대 초반부터 근거리 시력 장애나 시야 흐림 현상을 겪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노안이 생기면 가까운 것을 볼 때 흐릿하거나 눈의 피로 등으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기 쉽다. 때문에 40대 이후라면 정기적인 눈 검사를 진행하여 시력과 눈에 잠재된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른 나이에 노안이 찾아와 돋보기안경을 착용하기에는 부담스럽고 일상생활이 불편하다면 노안교정술 등과 같은 방안도 고려할 만하다. 흔히 라식, 라섹 수술로 노안 증상의 개선을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노안 교정의 원리는 20~30대 시력교정술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노안과 초기 증상이 비슷해 구분이 쉽지 않은 안질환으로 백내장이 있다. 백내장도 노안과 마찬가지로 눈이 침침해지지만 노안은 근거리에 있는 물체와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 반면, 백내장은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가 모두 잘 보이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 밖에도 시야가 흐릿하게 보이거나 뿌옇게 보이고 색상 왜곡이 생기는 경우에도 백내장을 의심해봐야 한다.
백내장의 궁극적인 치료 방법은 수술이지만,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당장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백내장의 진행 정도와 시력 감소 등을 확인해 진행속도를 지연시키는 안약을 눈에 점안하는 보존적 방법부터 시도해볼 수 있다. 이후 환자가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가 커지면 수술을 결정하며 수정체의 혼탁 정도, 환자의 불편감 등을 고려해 시기를 정하게 된다.
전문의들은 “수술의 경우 노안 증상을 개선하는 노안교정술, 백내장과 노안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다초점인공수정체 삽입술 등이 있다”며 “인공수정체삽입수술은 노안으로 인해 탄력이 떨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광학적으로 설계된 특수렌즈 인공수정체가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모두 볼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한다.
노안·백내장 수술 시간은 10분 내외로 수술 후 봉합할 필요가 없어 난시 발생 확률이 낮고 환자의 렌즈 적응에 따라 돋보기를 벗고도 일상생활이 가능해지지만, 백내장과 노안이 함께 찾아온 사람들에게 필요한 수술이므로 사전 정밀검사를 통해 수술 적합성 여부를 확인한다고 덧붙였다.
GS안과 김진형 원장은 “백내장의 경우 조기에 발견해 대처해야 시력을 회복하고 합병증을 막을 수 있는 안질환인 만큼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노안과 초기증상이 매우 유사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며 ”적기를 놓치면 수정체가 굳고 팽창하면서 과숙백내장 단계나 합병증 등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