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K-AI 국가대표 프로젝트)’ 발탁
엔씨소프트 인공지능(AI) 기술 자회사 ‘NC AI’ 컨소시엄 일원으로 활동 예고
산업 특화 AI 데이터 가공 역할을 맡아 국가 AI 주권 확보 ‘정조준’
인터엑스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이하 K-AI 국가대표 프로젝트)’에서 국내 인공지능(AI) 경쟁력 고도화에 기여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하는 사업으로, 국내 AI 기업의 기술력을 결집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터엑스는 엔씨소프트 AI 기술 자회사 ‘NC AI’가 이끄는 그랜드 컨소시엄의 핵심 일원으로, 산업 AI로의 전환을 통해 국내 기간 산업 전반의 혁신을 목표로 하는 국가적 전략 사업에 동참하게 됐다.
회사는 이 프로젝트에서 산업 특화 AI를 위한 데이터 확보 및 가공에 집중한다. 이는 다양한 원본 데이터(Raw Data)를 AI가 즉시 학습하고, 정확도를 높이는 고품질의 ‘AI 학습용 데이터(AI-Ready Data)’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사측은 AI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근본적인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두 가지 독보적인 기술을 제공한다. 자체 개발 비정형 데이터 지식화 엔진 ‘도큐먼트.AI(Document.AI)’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반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이 여기에 해당된다.
먼저, 도큐먼트.AI는 각 산업 현장이 보유한 기술 보고서, 미디어 콘텐츠 등 파편화된 비정형 데이터를 AI가 이해하도록 가공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구조화된 정보로 변환한 후, 신속·정확하게 가공한다.
이어 디지털 트윈 기반 피지컬 AI 기술은 학습 데이터 생성이 주요 임무다. 실제 환경에서 수집이 어렵고 막대한 비용이 드는 희귀한 시나리오를 가상 세계에 정밀하게 구현한다. 그후 AI가 현실에서는 얻기 힘든 데이터와 경험을 학습하게 함으로써, AI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이렇게 인터엑스는 산업 현장의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을 자체 개발하고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이 이번 프로젝트 참여의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
인터엑스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 참여는 대한민국 AI 주권 확보의 국가적 목표에 기여하는 데 중요한 기회”라며 “앞으로도 데이터 가공 기술력과 산업 AI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NC AI 컨소시엄의 성공과 대한민국 산업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