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와 부산광역시가 부산 화명·금곡지구와 해운대 지구의 노후 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선도지구 5,700호 공모를 공식적으로 시작한다. 이는 지난해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이후 처음으로 추진되는 지방권 공모로, 전국적인 노후 계획도시 정비 확산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명·금곡 2,500호, 해운대 3,200호…총 5,700호 규모
이번 선도지구 공모 접수는 오는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5일간 진행된다. 총 5,700호 규모로, 화명·금곡지구에서 2,500호, 해운대 지구에서 3,200호가 선정될 예정이며, 최종 결과는 12월에 발표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와 부산시는 이번 선정 규모를 결정하는 데 해당 구역 인근의 이주 수요와 주택 공급량을 면밀히 고려했다고 밝힌다. 또한, 향후 정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세 시장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이주 지원과 주택 수급 관리를 공동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공모 신청 방법, 평가 기준, 추진 일정 등 상세한 내용은 부산시 누리집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민 공람 시작…지구별 비전과 용적률 제시
선도지구 공모 시작과 동시에 부산시는 7월 9일부터 화명·금곡지구와 해운대 지구의 기본계획(안)을 부산시 누리집 등을 통해 공개하고 주민 공람에 들어간다. 화명·금곡지구는 "숲과 강을 품은 휴먼 도시, 화명·금곡"이라는 비전 아래, 현재 평균 용적률 234%에서 350%로 상향된 기준 용적률을 제시한다. 이는 계획 인구 증가를 수용하면서도 쾌적한 정주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개발 밀도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지역 특화 거점 육성'과 '15분 도시 실현' 등의 공간 구조 개선 계획을 포함한다.
해운대 지구는 "해운대 그린시티, 주민과 함께 새로운 미래도시를 열다"라는 비전을 기반으로, 기존 평균 용적률 250%에서 360%로 상향된 기준 용적률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지속 가능한 융복합 도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 등의 공간 구조 개선 계획을 통해 미래 도시의 모습을 그려나간다.
전국 노후 계획도시 정비의 중요한 이정표
국토교통부 이상주 국토도시실장은 "1기 신도시 외에도 수도권과 지방의 10여 개 지자체가 노후 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 상황에서, 이번 부산시의 기본계획(안) 주민 공람과 선도지구 공모는 첫 사례로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한다.
이어서 이 실장은 "앞으로 인천, 대전, 수원, 용인, 안산 등도 미래도시 지원센터 등을 통해 질서 있고 체계적인 노후 계획도시 정비가 가능하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이며, 전국적인 노후 계획도시 정비 사업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다. 이번 부산의 선도지구 공모는 노후 계획도시 재정비의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하며, 다른 지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