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제조기업과 자동차 조립생산을 위한 현지 합작회사 설립이 추진되고, 종합상사가 중심이 된 한국형 자동차 모델 개발도 추진된다. 정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이란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을 수립해 21일 개최된 제1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의결했다.
이번 방안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중소·중견 수출기업과 대형 플랜트 수주를 위한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수출입은행은 상품 수출 확대를 위해 수출팩토링, 포페이팅 등을 활용하고, 병원·발전 등의 분야 금융지원을 위해 50억 유로 규모의 기본대출 약정을 체결한다.
무역보험공사는 이란 재무부와 20억 달러 규모의 기본금융 약정을 체결하고 기본 부보율을 크게 완화할 계획이다. 이밖에 정부는 달러화 이외의 여타 통화결제시스템을 도입하고, 대외경제협력기금 지원 대상국으로 이란을 재편입하고, 국내 은행의 이란 지점 신설을 추진한다.
두 번째는 현지 조립생산 방식 등 생산 협력을 강화한다. 자동차 분야의 경우 이란 제조사와 조립생산을 위한 합작기업 설립과, 종합상사가 중심이 돼 한국형 자동차 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농기계, 의료기기 등은 상담회와 전략포럼 등을 통해 시장 진출 기회를 창출한다.
세 번째는 이란 정부와 협력 기반을 구축한다. 해운·항만 분야의 경우 항만 개발 타당성 조사를 지원하고, 해운투자 설명회 개최 등과 관련해 이란 해사항만청과 협력을 추진한다.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는 보건정책, 병원설계, 의료시스템 등과 관련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테헤란 의대 건설 프로젝트 등에 한국형 병원 시스템을 수출한다.
이밖에 정보통신기술 협력위원회 개최, 할랄식품 시장 진출 지원, 이란문화원 신설, 세관상호지원협정 등 협력 분야를 다각화한다.
이란은 제재 해제로 수입시장이 확대되고, 동결 해외자산 해제와 원유 수출 재개 등을 통해 확보한 재정으로 에너지 플랜트와 사회 인프라 확충 등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