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를 탑재한 차량이 산업현장을 직접 찾아가 시제품을 생산하고 기술을 지도해 주는 ‘3D 프린팅 모바일 팩토리’가 운영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조기업 밀집 지역에 3D 프린팅 기자재를 실은 차량이 방문해 시제품 제작, 기술 지도, 기본 교육 등을 해주는 서비스를 운영하기로 하고, 18일 한국산업단지공단 경기지역본부에서 개회식을 가졌다.
이에 따라 분기별로 전국에 분포한 산업단지공단을 순회 방문해 각종 3D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장비와 인력, 시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포털에서 사전 접수를 받아 지원한다.
3D 프린팅은 구현하기 어려운 형상을 구현하고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해 기업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고가의 장비와 활용 능력 부족으로 실제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기업이 공동으로 3D 프린터를 활용하고 제조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지난해 7월 안산을 시작으로 올해에는 대전, 창원, 내년에는 익산, 구미, 강릉에 제조센터를 구축했거나 구축 중이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