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지식IN] 모빌리티 최대 이슈는 소형·경량화...커넥터 분야는?

2025.07.02 17:04:33

최재규 기자 mandt@hellot.net

 


'산업지식IN'은 급변하는 산업 현장의 실무자들이 겪는 실제적인 질문에 최고 전문가들이 직접 심층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특별 기획 콘텐츠입니다. 각 주제별로 진행된 온라인 세미나(웨비나) 현장에서 발표자와 참관객이 실시간으로 주고받은 핵심 질의응답을 엄선해 독자들에게 전달합니다. 이는 독자들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얻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콘텐츠는 복잡한 이론보다 실제 사례와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해,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DX)과 혁신을 위한 로드맵 구축을 지원합니다.


 

오늘날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선 지 오래입니다. 차량은 이제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스마트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차량 설계 및 부품 기술에 전례 없는 혁신을 요구하고 있는데요. 더 많은 기능과 센서가 집약되면서도 내부 공간의 효율성과 경량화는 필수적인 과제가 됐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차량용 부품의 소형·경량화가 미래형 모빌리티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부상했습니다.

 

이러한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첨단 소형화 커넥터 솔루션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자동차 시장의 최신 트렌드를 진단하고, 이에 최적화된 소형·경량화 커넥터 솔루션이 어떻게 실제 차량에 적용되는지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보여줄 예정입니다.

 

 

이러한 심도 깊은 내용을 다룬 ‘소형·경량화를 통한 차량 설계의 최적화’ 웨비나에는 커넥팅 솔루션 업체 ‘몰렉스(Molex)’의 기술 전문가가 직접 나섰습니다. 앞선 모빌리티 혁신을 어떻게 이끌고 있는지 밝혔는데요. 자동차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동 수단 관련 엔지니어에게 이번 웨비나가 기술적 통찰과 실질적인 솔루션 모색에 영감을 줬습니다.

 

몰렉스의 독자적인 노하우가 어떻게 모빌리티 분야의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에 이점을 제공하는지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Q & A


 

Q. 소형·경량화 설계 기술의 핵심 요소은 어떤 것들이 있고, 이 가운데 가장 집중하는 기술 영역은?

 

A. 작으면서도 USCAR 및 LV214 성능 규격에 부합하는 제품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Q. 타 전자 부품이나 기기 영역에서도 소형·경량화는 중요한 트렌드다. 제품 소형·경량화 시 발열이나 에너지 효율화 등의 기술적 장벽이 제기되는데, 몰렉스가 추구하는 소형/경량화에서는 어떤 도전 요소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기술은 뭔가?

 

A. 발열은 USCAR 및 LV214 성능 규격뿐만 아니라, 자동차 제조사에서 각자의 제한 규격을 두고 있다. 이러한 규격을 만족하는 터미널(Terminal)을 만들고 있다. 내재화된 각종 제조 노하우를 통해 소형화와 설계 안정화를 동시에 구현하고 있다.

 

Q. 차량의 커넥터 소형화 효과는 큰 효과가 예상되는데 경량화 효과는 미비할 것으로 생각된다. 커넥터 자체가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는데 경량화함으로써 무게 절감 효과가 큰가? 기존 대비 얼마나 경량화 효과가 있는지?

 

A. 소형화는 전기자동차(EV) 대중화에 따른 배터리 팩(Battery Pack) 등의 기구적 제약 상황에서 유용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PCB) 사이즈 최적화에도 기여한다. 언급한 대로 경량화보다는 소형화를 통한 설계 최적화에 더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경량화에 대해서는 현재 소형화 외에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를 줄이는 형태의 신제품이 개발 중이다.

 

Q. 몰렉스의 듀라클릭(Duraclik) 제품이 고진동 상황에서 타사 제품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차량 제조사가 요구하는 폼팩터에 맞춤형 제공도 가능한가?

 

A.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통해 더욱 향상된 내진동 성능을 구현했다. 각 차량 제조사에서 요구하는 폼팩터에 따라 맞춤형 제공도 가능하다.

 

Q. 라이팅(Lighting)과 시트(Seat) 부분에 최적화된 솔루션은?

 

A. 현재 자동차 라이팅 분야는 듀라클릭 시리즈가 많은 완성차 업계에 적용되고 있다. 이는 소형화를 통해 라이팅 내부의 작은 PCB 최적화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국내외 규격인 LV214 스펙을 충족한다.

 

Q. 125°가 높은 온도이기는 하지만, 자동차나 바이크의 하계 주행 시 부위에 따라 그 이상으로 올라갈 수도 있을 것 같은데, 125°가 충분한 한계 온도인가?

 

A. 현재 자동차 부품 대부분의 일반적인 성능 요구 온도는 –40~125°로 알려져 있다. 그 이상 온도가 올라가는 섹션에 대해서는 다른 규격이 적용되는 특수한 부품들이 사용된다.

 

Q. 몰렉스의 부품 공급 단가는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나? 만약 그렇다면 원가 절감을 위해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활동은 무엇인가?

 

A. 수요에 따라 가격은 다르게 책정된다. 원가 절감은 구매를 통한 원재료 단가 인하나 제조 혁신을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다만, 자동차 부품은 고객사의 부품 제조 변경 신고 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신제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제조 원가 절감 아이디어를 최대한 반영하고 있다.

 

Q. 납품사에서 요청하는 표준 규격에 맞춰서만 설계가 이루어지는 것인가?

 

A. 커넥터가 준수해야 할 표준 규격에 부합되게 설계하고 있으며, 최대한 모든 고객의 요구에 맞는 코어 제품군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고객 맞춤형 설계는 고객의 요구 사항 및 자금 지원에 따라 그에 맞게 의사 결정이 이뤄진다.

 

Q. 글로벌 시장에서 환경 규제가 많은데 성분과 친환경 적용 여부가 궁금하다.

 

A. 사출물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사는 모든 환경 규제를 고려해 제품을 설계하고, 친환경 개발 원칙을 따른다. RoHS, 프탈레이트 규제 등의 원칙을 준수하며, 이를 기반으로 제품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Q. 소형화가 오히려 차량 제조사에서의 조립 난이도를 높여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는 없나?

 

A. 경험상 해당 문제점은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 조립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오체결 방지 구조를 적용했으며, 일부 라인업에서는 체결 시 클릭음을 통해 정확한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오디오 스펙도 갖추고 있다.

 

Q. 모빌리티가 소형·경량화되면 정비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은?

 

A. 소형 커넥터라 할지라도 정비성이 크게 저하되지는 않는다. 특히 체결·분리가 어려운 제품의 경우, 별도의 전용 공구(Tool)를 함께 제공해 정비 편의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기업의 혁신을 위한 다양한 질문과 고민들에 대한 생생한 질의응답이 오갔는데요. 특히 몰렉스가 제안하는 솔루션과 노하우가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효율성 증대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네요. 아직 해소되지 않은 궁금증이나, 더 깊이 논의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하단 댓글창에 질문을 남기기 바랍니다. 해당 분야 전문가가 직접 나서서, 질문에 대해 자세하고 명쾌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번 웨비나에서 다뤄진 발표 자료를 받고 싶다면, 댓글창에 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헬로티 최재규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상호명(명칭) : (주)첨단 | 등록번호 : 서울,자00420 | 등록일자 : 2013년05월15일 | 제호 :헬로티(helloT)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김진희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12년 4월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 Hello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