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주목할 산업주 : HD중공업·LG이노텍·삼성전기·토모큐브 [헬로스톡]

2025.07.01 09:45:41

서재창 기자 eled@hellot.net


헬로스톡은 반도체, 로봇, AI, 물류, IT 등 주요 산업군을 아우르며 시장 내 주요 기업들의 주가 동향과 전망을 정리해 전달하는 고정 기획시리즈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 속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기업과 시장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별, 종목별 최근 이슈와 증권사 리포트를 토대로 한 전망 등을 소개합니다.



HD현대중공업, 고평가 우려 불식...‘이익 가시성·배당 확대’로 랠리 지속

 

HD현대중공업이 조선업 전반의 주가 랠리 속에서도 독자적인 프리미엄을 이어가며 목표주가를 55만7000원으로 상향 조정받았다. 6월 말 기준 동사의 주가는 43만7000원으로, 최근 1년간 190%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11% 수준의 안정적인 영업이익률이 예상되며, 매출과 순이익 역시 전년 대비 각각 5.6%, 118.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HD현대삼호의 수익성과 유사한 구조를 유지하며, 수익성 장기 개선에 대한 신뢰도 높아졌다. 

 

 

특히 방산과 엔진 사업을 함께 보유한 구조는 미국·사우디 등지의 해양 방산 시장 확장과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친환경 엔진 수요 증가에 모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으로 평가된다. 재무적으로도 1분기 순현금이 1.9조 원을 넘어서며 재무 안정성과 주주환원 여력 모두 확보된 상태다. 이미 작년부터 배당을 재개했으며, 올해부터는 반기 배당까지 고려 중이다.

 

2025년 연간 기준 예상 PER은 29.1배로, 국내 기계 업종 평균과 유사하거나 소폭 낮은 수준이다. 증권가는 높은 선가와 조선 수주 잔고를 감안할 때, 업황 피크아웃 우려보다 성장 지속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LG이노텍, 우려 속에 기회...AI·비용개선이 주가 반등 신호 될까

 

LG이노텍이 최하단 밸류에이션 구간에서 반등 가능성을 모색 중이다. 7월 1일 기준 주가는 14만 7,400원으로, P/B 0.6배 수준까지 하락해 역사적 저점대에 근접해 있다. 시장에서는 애플의 AI 경쟁력 부족, 관세 리스크, 카메라 공급망 경쟁 심화 등을 우려했지만, 실상은 이 같은 요소들이 이미 주가에 선반영됐다는 평가다. 

 

2분기 실적은 매출 3.9조 원, 영업이익 333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4%, -7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학솔루션 부문의 적자 전환과 환율 악화가 주된 원인이다. 그러나 고객사 내 카메라 점유율은 60% 수준을 견조하게 유지하며, FY26 신제품에는 고사양 카메라 탑재가 예정돼 있어 기술력 차별화가 기대된다.

 

애플의 AI 로드맵 공개나 Siri 고도화 일정 발표는 투자심리 회복의 촉매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 베트남 공장을 통한 원가절감 효과가 본격화하며, 수익성 회복 여력도 높아질 전망이다. 목표주가는 22만5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52.6%의 상승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 

 

필요하시면 이 브리핑을 중심으로 동종 업계 내 비교 분석 콘텐츠도 확장해 드릴 수 있습니다.

 

체질 개선 나선 삼성전기...서버와 전장 비중 크게 늘었다


삼성전기가 전통적인 IT 세트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산업·전장 부문으로의 체질 개선을 본격화하고 있다. 전체 매출에서 서버와 전장 비중은 2024년 26%에서 2025년 30%, 2026년엔 35%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매출 의존도는 10년 전 62%에서 현재 29%로 줄었다. 

 

특히 MLCC 부문에서 전장용 매출 비중은 2024년 27%에서 2025년 30%로 증가하며, 전장 및 산업용 비중이 스마트폰·PC 등 IT용과 유사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서버용 MLCC 시장도 연평균 2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삼성전기는 약 40%의 과점적 시장 점유율을 보유 중이다.

 

FC-BGA 역시 서버용 중심으로 매출 비중이 2023년 13%에서 2025년 37%로 확대된다. AI 가속기용 제품은 2분기부터 매출 인식이 본격화하며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전장용 카메라 모듈은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상용화에 따라 중장기적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편, 2분기 실적은 매출 2.7조 원, 영업이익 1982억 원으로 추정되며, 환율 하락 영향으로 기존 추정치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MLCC 가동률 회복과 AI 가속기향 매출 증가로 개선이 예상된다.

 

토모큐브, AI 기반 3D 바이오 이미징 선도...美 FDA·AI 진단 수요에 실적 반등 신호

 

토모큐브가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반등 구간에 진입할 전망이다. 올해 1분기 매출은 24억 원, 영업적자 25억 원을 기록했지만, 2분기부터는 미국법인 매출이 본격 반영되며 분기 흑자 전환 가능성이 제기된다. 연간으로는 매출 148억 원, 영업적자 50억 원 수준으로, 내년에는 흑자 전환도 예상되고 있다.

 

성장성을 이끄는 핵심 동력은 AI 기반 3D 홀로그래픽 이미징 기술이다. 토모큐브는 빛의 굴절과 산란을 분석해 세포 내부 구조를 실시간 3D로 관측하는 독보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국 FDA 인증을 준비 중이다. 의료 영상 진단 영역에서 비침습·비표지 방식의 이미징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며 글로벌 시장 진입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특히 하반기에는 미국 내 딜러망 확대와 함께 고정형 제품 TC-R102가 중심이 돼 수출 매출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AI 병리 분석 소프트웨어와 결합된 솔루션형 제품 라인업도 구축 중이며, 국내 대형병원 및 암센터를 대상으로 한 임상 데이터 확보도 병행하고 있다. 

 

동사는 코스닥 상장사 중 정밀 의료영상 분야에서 AI 융합형 성장주로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 중이다. 고정 수요 기반의 연구용 시장에 이어, 규제 승인 이후 의료기기 시장으로의 확장이 성공할 경우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도 높아진다. 중장기적으로는 AI 병리 진단 분야의 확장성과 글로벌 플랫폼 기업과의 파트너십 여부가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종합 전망

 

HD현대중공업, LG이노텍, 삼성전기, 토모큐브 등 각기 다른 산업군의 대표 기업들이 고유의 리스크 속에서도 체질 개선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통해 반등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조선업 호황과 함께 안정적인 이익률, 순현금 1.9조 원 수준의 재무 여력, 방산·엔진 부문의 확장성 등으로 장기 투자 관점에서 프리미엄이 유지되고 있다. 주가는 이미 고점 대비 강세를 보였지만, 고선가 수주잔고와 배당 확대 여력이 여전히 매력적이다. 

 

LG이노텍은 애플발 우려가 있었지만, 고사양 카메라 기술과 베트남 공장 원가절감 효과, Siri 기반 AI 생태계 확장 등 중장기 반등 모멘텀을 갖췄다. 저PBR에 따른 저평가 매력도 부각된다. 삼성전기는 전통적인 IT 중심에서 산업·전장 비중을 빠르게 확대 중이며, AI 가속기용 FC-BGA와 서버용 MLCC 경쟁력이 강화하고 있다. 2026년까지 전장 비중은 35%까지 오를 전망이며, 실적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갖춘 이중 모멘텀 보유 기업으로 평가된다. 

 

토모큐브는 기술력 기반의 정밀 의료영상 AI 기업으로, 3D 홀로그래픽 이미징과 병리 진단 소프트웨어 융합을 통해 미국 FDA 인증과 수출 확대를 준비 중이다. 아직 적자 기조지만 고정형 제품 판매와 미국 시장 진입이 본격화되며 내년 흑자 전환 가능성이 열려 있다. 결론적으로, 산업군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구조적 전환과 기술력이 주가 회복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하반기와 2026년을 바라보는 투자자라면, 단기 실적보다는 체질 개선 속도를 주목할 시점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상호명(명칭) : (주)첨단 | 등록번호 : 서울,자00420 | 등록일자 : 2013년05월15일 | 제호 :헬로티(helloT)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김진희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12년 4월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 Hello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