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연구팀, 바이오 경로 이미지 자동 분석하는 AI 개발
-
KAIST 연구팀, 체외에서 인공근육 제작 성공...노화 연구 활용
-
[SHAPER AtoZ 2] 제조기업부터 개인까지...맞춤형 데이터 솔루션 구축
-
자동차 제조 혁신 선도하는 ㈜양헌기공의 ‘로터리 테이블’과 ‘SERVOCAMDRIVE’
-
[SHAPER AtoZ 1] 데이터 분석·시각화 플랫폼...“누구나 쉽게!” 지향
-
경희대 연구팀, 고속 충전 이차전지 개발 위한 혁신 방안 제시
-
KAIST, 버클리대와 특수전자소자 측정 시 오차 원인 규명
-
KAIST, 체온으로 전기 생산하는 웨어러블 열전소자 개발
-
KAIST 연구팀, 정확도 12.7% 향상된 헬스케어 AI 기술 개발
-
KAIST 연구팀, 빛 파장에 따라 색상 바뀌는 신소재 개발
-
KAIST, 반도체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균일 가공 기술 개발
-
KAIST 연구팀, 페트병 대체할 미생물 플라스틱 생산 성공
-
공중 초음파 이용한 촉감 재현 기술
- 2024-11-03 18:33
- 시노다 히로유키, 도쿄대학 대학원 신영역창성과학연구과 복합이공학 전공
-
강력 공중 초음파 이용 기술 동향
- 2024-11-03 18:15
- 미우라 히카루, 일본대학 이공학부
-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산업용 AI 활용
- 2024-11-02 16:52
- 하이코 클라우센, 아스펜테크 수석 부사장 겸 공동 CTO / 김흥식, 아스펜테크 한국지사장
-
nRF 클라우드 원격 프로비저닝으로 확장 가능한 셀룰러 IoT 구축
- 2024-11-02 16:41
- 노르딕 세미컨덕터
-
이더넷-APL 길라잡이(10)
- 2024-10-28 14:50
- 조익영 ODVA코리아 전무
-
UNIST, 소형 원전 위험징후 2초 안에 감지하는 기술 개발
-
“뇌 기반 AI의 난제 해결”...KAIST, 차세대 AI 기술 제안
-
KAIST, 화재 위험 없는 자가발전형 수소 생산시스템 개발
-
KAIST, 고분자 첨가제 없는 섬유형 열전소재 개발
-
KAIST, 소량의 전류로 전기차 배터리 진단하는 기술 개발
-
KAIST “로봇 제어 최적화 알고리즘에는 결국 인간이 필요”
-
KAIST 연구팀, 폐플라스틱 분해 돕는 고성능 촉매 개발
-
1
한화로보틱스, ‘로봇 AI 비전’ 기술 정부 공인 “제조업 AI 전환 선도”
-
2
[글로벌NOW] 기술은 진격, 현실은 제동...‘인프라 대전환’ 맞은 글로벌 산업
-
3
현대모비스, ‘미래차 생태계’ 왕좌 노린다...전동화·SDV 역량 강화 발표
-
4
[헬로BOT] ‘기술·미각 융합’ 에니아이, 조리 로봇 혁명으로 '맛의 균일화' 시대 연다
-
5
9월 1일 주목할 산업주: 농심·한화에어로스페이스·카카오·대한항공 [헬로스톡]
-
6
한화엔진, 세계최초 LNG운반선용 VCR 적용엔진 생산
-
7
[헬로FA] ‘올턴키 원스톱 솔루션’ 장착한 제니스일렉트로닉스, “불황 무풍지대, ‘AI·ESG’ 겨냥”
-
8
[헬로FA] ‘AI 시대, 모듈 혁신’이 뜬다...데이터센터 8주 완공 시대여는 슈나이더
-
9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베트남 호치민자동화협회, 전략적 MOU 체결
-
10
셀트리온·휴온스가 찜할 바이오 스타트업은?…충북대, 오픈이노베이션 참가사 모집